스페셜
"자식"(으)로 총 90건 검색되었습니다.
- [인류와 질병]알레르기의 진화2019.12.21
- 1989년 흥미로운 연구가 발표되었다. 아이를 혼자 키우는 집보다 대가족에서 여럿의 자식을 키우는 집에서 알레르기가 적었다는 것이다. 갓난아기 때부터 형이나 누나가 밖에서 묻혀서 가지고 온 더러운 항원에 노출된다는 것이다. 비슷한 연구가 계속 발표되었다. 대도시에 비해 시골에서 ... ...
- [인류와 질병] 남성 10명 중 4명 울리는 탈모2019.12.14
- 아내로서는 바라는 일인 지도 모른다. 잠재적인 외도의 가능성은 줄어들고, 배우자와 자식에게 충실할 가능성이 높아질 것이다. 그것도 원숙하고 온화하게 말이다. 물론 바로 위 문단의 설명은 과학적인 설명은 아니다. 글쓴이의 소망이 담뿍 담긴, 그저 그럴 수도 있다는 식의 이야기다. 하지만 꼭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치매 환자가 암이 잘 안 걸리는 이유2019.12.10
- . 괴사가 일어나는 세포는 세포질과 소기관이 부풀고 세포막이 터지고(검은 화살촉) 자식작용이 일어난 세포는 이중막 소체가 형성돼 있다(검은 화살표). '셀' 제공 그런데 해설을 읽다 보니 이게 좀 다른 얘기다. 미토콘드리아가 아니라 세포막에 있는 코큐텐이 ‘페롭토시스’라는 세포사멸을 ... ...
- [인류와 질병]인간이 겪는 최고의 고통, 출산은 어떻게 진화했나2019.11.23
- 인류는 왜 ‘수고하며 자식을 낳도록’ 진화한 것일까? 두발걷기 인간을 다른 동물과 구분해주는 가장 중요한 형질은 무엇일까? 언어일까 높은 수준의 문화일까. 아니면 협력인가, 도구나 지적 능력인가. 모두 일리 있는 주장이다 ... ...
- [인류와 질병] 몸니, 옷과 함께 진화하다2019.11.16
- 하지만 지금도 아기를 낳는 것은 정말 ‘쉬운’ 일이 아니다. 인류는 왜 ‘수고하며 자식을 낳도록’ 진화한 것일까? 참고자료 -Kirkness, Ewen F.; et al. (2010). "Genome sequences of the human body louse and its primary endosymbiont provide insights into the permanent parasitic lifestyle".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of the ... ...
- [사이언스N사피엔스] 갈릴레오, 하늘을 보다2019.11.14
- 여인과 12년을 사귀었는데 둘 사이에 비르지니아, 리비아, 빈센초 이렇게 2녀1남의 자식이 있었다. 갈릴레오와 마리나 감바는 결혼하지 않았다. 비르지니아와 리비아는 연년생으로 비르지니아는 조르다노 브루노가 화형당했던 1600년에 태어났다. 막내인 빈센초는 1606년생으로, 갈릴레오가 ... ...
- [인류와 질병] 고기 먹는 국가에 비만이 오히려 적다? '식단의 진화'2019.10.27
- 사실 오르탕스 드 보아르네는 ‘원래’ 나폴레옹의 아내 조제핀이 전남편 사이에서 낳은 자식이므로 나폴레옹의 의붓딸이었다. 즉 조카와 결혼한 나폴레옹의 동생의 아들이 나폴레옹 3세인데, 사실은 그것도 아니었다. 누구의 아들인지는 아직도 모른다. 나폴레옹 3세는 프랑스를 안팎에서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2억 년 전 화석 계보 밝힌 고(古)단백질체학2019.10.22
- 남녀가 만나 짝을 이루는 낭만적인 장면이 종종 묘사됐다. 그러나 게놈 해독으로 이들의 자식, 즉 1세대 혼혈의 존재가 밝혀질 거라고 기대한 사람은 없었다. 로또 1등 당첨에 버금가는 행운을 거머쥔 논문의 제1저자인 독일 막스플랑크 진화인류학연구소의 고(古)유전학자 비비안 슬론 박사는 ... ...
- [인류와 질병] 비만의 진화2019.10.19
- 성장에 할당된 자원을 가급적 번식으로 돌리는 편이 좋다는 것이다. 점점 몸은 작고 빨리 자식을 낳는 형질이 나타났다는 것이다. 아마 두 가지 이유가 모두 작용할 것이다. 일반적으로 피그미족은 주로 평균 신장이 150cm이 안되는 경우로 정의한다. 그런데 이 기준을 조금 완화하기도 한다. 155cm로 ... ...
- [인류와 질병] O형의 비밀2019.09.21
- 적은 환경이다. 이런 환경이라면 얼른 많은 자식을 낳는 전략보다는 천천히 소수의 자식을 낳는 전략이 유리하다. 수명은 자연스럽게 길어졌고 수초화는 늦은 나이까지 지속되었다. 이는 세대 간 정보 전달에 유리했지만, 불가피하게 일부 개체는 다발성 경화증을 앓게 되었을지도 모른다. 아직은 ... ...
이전12345678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