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코스모스
만물
스페이스
유니버스
공간
천지
외계
스페셜
"
우주
"(으)로 총 120건 검색되었습니다.
바이오프린팅에 날개를 달아준 방사선
한국원자력문화재단
l
2015.04.07
전만 하더라도 단순 기계 부품을 복사하는 신기한 정도로만 인식되던 3D 프린팅이 이제는
우주
선에 들어가는 복잡한 첨단 부품에서부터 인체에 들어가는 장기까지 못 만드는 것이 없을 정도로 활용성이 높아져 차세대 제조 산업의 미래라고 불리고 있다. 특히 3D 바이오프린팅은 신체 일부 및 장기를 ... ...
자연은 진공을 싫어하는가?
IBS
l
2015.03.26
이러한 연구의 성격상 빠른 시일 내에 결과를 얻기는 어렵겠지만, 궁극적으로는
우주
의 기원과 우리가 사는 시공간에 대해서도 중요한 통찰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 본 콘텐츠는 기초과학연구원의 온라인 뉴스레터 IBS 뉴스레터에서 발췌한 내용입니다. * 기초과학연구원(IBS) 뉴스레터 ... ...
쌍둥이에 관한 오해와 진실
KISTI
l
2015.03.10
머문 뒤, 누가 더 늙는지, DNA에 어떤 변화가 생기는 지 확인할 계획이다. 과연 쌍둥이
우주
인 형제가 빠르게 움직이는 물체일수록 시간이 느리게 간다는 아인슈타인의 ‘특수상대성이론’을 증명할 수 있을지, 후성유전학의 실마리를 제공할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된다. ... ...
모든 것의 시작을 찾는 여정
IBS
l
2015.02.25
나타난다면 이는 암흑물질이 존재한다는 강력한 증거가 된다. 20세기 후반부터 허블
우주
망원경을 위시하여 관측수단이 크게 발전하면서 암흑물질의 증거가 속속 보고되어 암흑물질은 실제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지금은 존재 여부를 증명하는 차원을 넘어 암흑물질의 분포까지도 알아낼 ... ...
[MATH] 시간 기록은 어떻게 할까?
KISTI
l
2015.02.09
교환하는 GPS와 신호를 주고받기 위해 매우 중요하다. 정확한 시간은
우주
비행사가
우주
공간을 여행하는 데도 매우 중요하며, 항공관제 시스템과 국제 경제와 같은 전 세계 컴퓨터 활동에 매우 중요하다. 여러 개의 시계가 동시에 가리키는 시간은 매우 빠른 통신 시스템에도 필요하다. 그래서 매우 ... ...
로제타호가 혜성에 닿기까지
KISTI
l
2015.01.26
이런 용도로 사용할 수는 없었다. 이에 모자란 속도를 얻기 위해 중력 도움을 이용하는
우주
비행법을 이용했다. 이는 탐사선이 어떤 행성의 중력권 안으로 들어가게 되면 그 행성과 함께 공전하게 되는데, 이때 이 공전 속도를 이용해 탐사선의 속도를 올리거나 내리면서 다시 그 중력권을 탈출하는 ... ...
분자 동영상 촬영해 물질의 3차원 구조 밝힌다
IBS
l
2015.01.16
심오한 문제를 해결하는 데 실마리를 제공할 수 있다"고 말했다. 예를 들어 미국항공
우주
국(NASA)은 분자의 입체구조를 밝혀낼 수 있는 실험 도구인 라만 광학활성(ROA) 측정장비를 화성에 보내 생명체 탐사에 적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검토하고 있다. 연구단은 작은 분자를 실시간으로 관찰하기 위한 ... ...
[이슈 속 과학기술] 실종 비행기 어떻게 찾을까
KOITA
l
2015.01.14
되살리기 위한 노력을 우선하다 보면 이런 일을 놓치는 경우가 생긴다. 심현철 KAIST 항공
우주
공학과 교수는 “비행사 매뉴얼은 위급상황에 의미 없이 교신을 하려하기 보단 기체를 되살리는데 최선을 다하도록 돼 있다”며 “당연한 조치라고 할 수 있지만 항공기 잔해를 수습하는 사람들은 이 ... ...
우주
여행의 지름길, 웜홀(worm hole)
KISTI
l
2015.01.13
것처럼 지구 밖에서 인간은 옷 하나 없이 정글에 던져진 아이처럼 무기력하다. 지구는
우주
의 오아시스임이 분명하다. 그런데도 우리는 별을 꿈꾼다. 별에서 그대가 오기를, 또 우리가 별로 간 그대가 되기를. 웜홀을 자유자재로 제어하며 언제든 내키는 대로 수십만 광년의 거리를 한달음에 왔다 ... ...
[생활 속의 기술] 아름다운 과학
KOITA
l
2014.12.29
그림의 표현 방식은 요즘의 위성 영상과 놀랍도록 닮았다. 이 때는 최초의 인공위성이
우주
로 올라간 때(1957년)보다 한 세기 이상 앞선 시대였다. 목숨 걸고 만든 첫 해류지도 오늘 교과서에서 아무렇지도 않게 배우는 해류지도는, 상당한 위험을 감수하고 직접 바다를 관측한 덕분에 얻을 수 ... ...
이전
1
2
3
4
5
6
7
8
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