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예측
예기
예견
전망
기대
예보
예감
스페셜
"
예상
"(으)로 총 2,091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빛을 향하는 식물 '굴광성'의 비밀
2023.12.13
비췄다. 녹색형광단백질이 파란빛을 흡수하면 그보다 파장이 긴 녹색빛을 내보낸다.
예상
대로 정상 애기장대에서는 빛의 반대 방향으로 갈수록 형광이 줄어드는 반면 변이체에서는 거의 차이가 없이 전체적으로 형광이 나타난다. 그런데 ABCG5가 어떤 물질을 수송하기에 세포 사이 공간에 공기 대신 ... ...
[과기원NOW] KAIST, 미생물 세포 공장 구축에 활용되는 시뮬레이션 프로그램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3.11.09
AI) 모델로 섬진강 유역에 있는 댐들(섬진강댐·주암댐·주암조절댐)의 운영 패턴을
예상
하고 댐 수위 예측에 대한 설명 가능한 시나리오를 개발했다. 이를 위해 2002년부터 2021년까지 섬진강 인근 댐의 데이터로 딥러닝 알고리즘 중 하나인 게이트 반복 단위(GRU) 모델을 학습시켰다. 분석 결과 ... ...
[일상 속 뇌과학] 노화성 기억 감퇴 되돌리는 '전기충격기'
2023.10.06
기전들의 스위치를 켜게 되어 뇌기능 변화를 오랫동안 유지할 수 있게 만들 것이라
예상
할 수 있다. 특히나 노화성 인지기능 감퇴 정도가 훨씬 낮았던 노인들에게서 HD-tACS에 의해 더 높은 기억 회복 및 증강 효과를 얻었다는 결과는, 노화에 의한 기억 저하는 장기 시냅스 가소성 메커니즘이 노화에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오펜하이머'와 '반중력'
2023.10.04
2016년 반수소의 빛 흡수 스펙트럼 패턴이 수소와 같다는 실험 결과를 얻었다. 이 역시
예상
한 결과였지만 실험으로 증명해 불확실성을 없앴다는 게 중요하다. 2018년 연구자들은 미미한 힘인 중력의 영향을 측정하기 위한 정교한 장치를 만드는 실험을 진행했다. 몸무게가 수십㎏인 우리에게는 중력이 ... ...
[표지로 읽는 과학] 갈수록 더워지는 지구, 인간의 한계는
동아사이언스
l
2023.10.01
현재 할 수 있는 건 앞으로 허리케인이나 가뭄 같은 자연재난이 언제 어떻게 닥칠지
예상
하는 것 뿐이라고 설명한다. 기후변화는 동물과 인간의 행동 뿐만 아니라 온도, 습도, 강우패턴에 영향을 미치며 각각의 요인들이 또 다시 각 질병에 대해 다른 영향을 끼칠 수 있기 때문이다.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실천 없는 '무지성' 믿음은 해롭다
2023.09.23
하면 잘 될 거라는 믿음 하나로 단 몇 달 만에 별 다른 준비도 없이 시작했다가 현실이
예상
과 너무 다르다며 곤혹스러워하던 사람을 본 적이 있다. 별 다른 준비도 없이 아무런 사전 지식이나 경험도 공부도 없이 그냥 자신감 하나로 밀어붙이던 일이었기 때문에 옆에서 보기에는 전혀 놀랍지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오랜 이론 무색한 '기후 위기' 우려
2023.09.16
닥쳐오면 늘 그렇듯 그 전의 문제는 자연스럽게 잊혀지는 현상이 나타날 것이라고
예상
했다. 이를 “걱정의 양은 정해져있다(finite pool of worry)” 이론이라고 한다. 걱정에는 많은 인지적 자원과 에너지가 소모되기 때문에 어느 한 시기에 심각하게 걱정하는 문제의 양은 어느 정도 정해져 있다는 ... ...
[표지로 읽는 과학] 300km 길이로 남은 튀르키예 지진 흔적
동아사이언스
l
2023.09.03
이를 통해 동아나톨리아 단층을 포함한 최소 6개의 단층이 파열됐다는 점을 확인했고,
예상
치 못한 파열 경로와 다차원적으로 발생한 응집력 등을 확인했다. 연구팀은 이번 지진 파열 모델링이 지진 단층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지진 위험을 예측하는 데 도움을 줄 것으로 보았다. 연구팀은 지진 ... ...
[표지로 읽는 과학] 네이처 표지 장식한 IBS…고체가 구르는 궤적
동아사이언스
l
2023.08.12
인쇄해 이들을 실제 경사면에서 굴렸다. 그 결과 연구팀은 트레젝토이드가
예상
했던 경로를 따라 구불구불하게 굴러감을 확인했다. 일반적인 도형이 직선 경로를 따라가는 것과는 확연한 차이가 있었다. 그리보스키 연구팀은 이같은 연구 결과가 다양한 모양의 로봇을 만드는 등 로봇 공학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착한 바이러스의 사악한 전략
2023.08.09
실제 콜레라가 퍼져 많은 사람이 목숨을 잃기도 한다. 그럼에도 이런 일은 수질에서
예상
한 것보다는 훨씬 드문데 연구에 따르면 바로 파지 때문이다. 갠지스강에는 박테리아도 많지만 이를 숙주로 삼는 파지도 많아 강물이 체내에 들어와도 파지와 인체 면역계가 편을 먹어 박테리아가 힘을 못 ... ...
이전
1
2
3
4
5
6
7
8
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