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본질
알맹이
실재
진수
정수
근본
내용
스페셜
"
실체
"(으)로 총 197건 검색되었습니다.
38년 전 적외선 관측 자료 다시 들춰 찾아낸 제9 행성 후보
연합뉴스
l
2021.11.18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태양계 끝 어둠 속에 거대한 제9 행성이 있을 것이라는 주장은
실체
가 포착되지 않아 가설로만 남아있다. 해왕성 궤도 밖에 혜성과 소행성, 얼음덩어리 등의 천체가 황도면에 띠를 이루고 있는 '카이퍼 벨트'에 작용하는 중력이 제9 행성의 존재를 나타내는 유력한 근거로 ... ...
코로나19와 전쟁 일등공신 데이터 공유 철학을 듣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1.11.02
공청회 영상 캡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코로나19) 팬데믹 시대 바이러스의
실체
를 규명하고 방역을 위한 근거를 제공하는 과학의 역할은 어느 때보다 중요하다. 확산을 억제하는 방역정책이 대중의 설득력을 얻어야 효과를 볼 수 있고 이 설득력은 결국 일관된 과학적 데이터와 ... ...
[강석기의 과학카페]새는 고추의 매운맛 못느낀다
2021.10.26
통증을 유발한다는데 착안해 통증수용체를 찾기로 했다. 캡사이신 분자라는 물리적인
실체
를 이용하면 실험이 훨씬 쉽고 빠르게 진행될 수 있을 것 같아서다. 그리고 예상대로 수년 만에 수용체를 찾았다. 줄리어스 교수팀은 통증수용체 TRPV1으로 여러 실험을 하다가 놀라운 현상을 발견했다. 주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초파리에게 간헐적 단식을 시켜보니
2021.10.19
코놉카는 염색체에서 per 유전자가 있는 위치를 알아내는 데서 그쳤다. per 유전자의
실체
(염기서열)는 1980년대 다른 연구자 세 사람이 밝혔고 이 업적으로 이들은 2017년 노벨생리의학상을 받았다. 벤저와 코놉카는 이미 세상을 떠난 뒤였다. per 유전자의 존재가 알려지고 50년이 지났음에도 생체시계 ... ...
[과학자가 해설하는 노벨상] 촉각수용체 발견, 만성통증 치료 시대 올까
2021.10.05
발전에 힘입어 감각신경에 존재하면서 주변 환경의 변화를 전기신호로 바꾸는 분자들의
실체
가 서서히 밝혀지고 있다. 빛(시각)을 감지하는 망막의 로돕신 분자, 냄새(후각)를 감지하는 후각상피의 후각수용체 분자에 관한 연구는 이미 노벨생리의학상을 수상한 바 있다(각각 1967년, 2004년). 청각,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비만치료제 게임체인저 나왔나
2021.09.23
호르몬과 구조가 비슷해 GLP-1 수용체에 달라붙어 신호를 보낸다. GLP-1은 비교적 늦게
실체
가 드러난 호르몬이다. 같은 양이라도 포도당 주사를 맞을 때보다 포도당을 먹을 때 혈당조절이 잘 된다는 사실이 알려진 뒤 과학자들은 이 현상을 규명하는 연구를 진행했고 마침내 음식을 먹을 때 장에서 ... ...
[사이언스N사피엔스] 전자의 발견
2021.09.02
주류 과학계에서는 대체로 인간이 직접 경험할 수 없는 대상을 자연에 실제로 존재하는
실체
로 받아들이기를 꺼렸다. 카우프만도 그런 전통에 속해 있던 과학자여서 톰슨보다 훨씬 더 좋은 실험결과를 얻었음에도 그 결과를 적극적으로 해석하는 데에 실패했다. 톰슨은 이런 전통에서 비껴나 있었고 ... ...
[감염병 시대 우리말](하)한국만 쓰는 코로나19, 선택이 맞았나
2021.08.30
불리는 코로나19가 전세계에서 맹위를 지금도 떨치고 있는 상황에서도 각국은 지금도
실체
규명과 함께 백신과 치료제 개발을 통해 과학적 성과들을 일구고 있다. 이 가운데 일부 지식들은 현장의 의사와 방역당국, 제약기업들 사이에 공유되고, 일부는 위기를 지혜롭게 넘기기 위한 정책 결정을 ... ...
[사이언스N사피엔스] X선의 발견, 20세기 물리학의 시작
2021.08.05
가장 유명한 성공사례를 꼽으라면 DNA의 이중나선 구조를 밝힌 것이다. 유전물질의
실체
인 DNA의 분자적인 구조는 1953년 제임스 왓슨과 프랜시스 크릭이 규명한 것으로 유명하다. 그러나 이들이 이중나선이라는 결과를 얻는 데에는 X선을 이용해 DNA의 내부구조를 찍었던 로잘린드 프랭클린이라는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얼마나 많은 논문이 잘못됐을까
2021.07.15
여전히 과학기술 분야에서 논문 조작은 내부 고발이나 누군가의 제보를 통해서만 그
실체
를 드러낸다. 얼마나 많은 과학기술 분야의 논문이 조작되었는지 아무도 정확하게 짐작하지 못한다. 하지만 게재된 논문의 철회를 감시하는 사이트인 '리트랙션워치'가 발표한 통계에 따르면 논문이 게제된 ... ...
이전
1
2
3
4
5
6
7
8
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