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억울
분통
원통
원기둥
분업
분장
분말
스페셜
"
분
"(으)로 총 2,942건 검색되었습니다.
[과기원NOW] UNIST, 고순도 그린수소 생산 수전해 촉매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1.11
모양을 유지하도록 설계해 목표 지점에서 스탬프와 물질 간 접촉면적을 줄임으로써 쉽게
분
리되도록 했다. 실험 결과, 연구팀이 개발한 스탬프는 다양한 열역학적 부하 조건에서 높은 접착력과 접착 가역성을 보였다. 연구팀은 이 스탬프를 사용해 표면이 거칠고 구 모양의 입체 구조를 가진 물질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데이터 과학으로 본 '손흥민'의 대단함
2024.01.10
관심을 받지 못했다. 현재는 기계학습으로 기존 경기의 50만 개가 넘는 슈팅을
분
석해 기대득점을 산출하는 인공지능 프로그램 퀸(Qwinn)을 개발해 쓰고 있다. 실제 2017년 프리미어리그 아스널의 아르센 벵거 감독이 맨체스터에 1:3으로 지고 나서 “보다시피 기대득점으로는 그들이 0.7이고 우리가 0.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음력설’은 중국에만 있는 것이 아니다
2024.01.03
불구하고 야체와 젓갈을 섞어서 만드는 ‘김치’는 ‘파우차이’(泡菜)와
분
명하게 구
분
되는 우리나라 고유의 전통 음식이다. 물론 UN이 매년 발행하는 기념우표의 ‘중국설’(Chinese New Year)은 ‘음력설’(Lunar New Year)로 바꾸는 것이 마땅하다. ※필자소개 이덕환 서강대 명예교수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빛을 향하는 식물 '굴광성'의 비밀
2023.12.13
수송하는 데 관여할 것으로 추정했다. ABCG5 유전자가 고장 난 변이체는 세포벽 구성 성
분
의 수송이 원활하지 못하게 되면서 세포벽의 방수력이 떨어지면서 세포질이 흘러나와 세포 사이 공간을 채웠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식물은 자엽초 또는 하배축에서 파란빛 세기의 감소 기울기를 극대화하기 ... ...
[표지로 읽는 과학] 덫에 갇힌 동료 구하는 돼지
동아사이언스
l
2023.12.10
소개했다. 연구팀은 먼저 돼지 축사 안에 작은 창문과 문이 달린 상자를 놓았다. 몇
분
후 호기심을 갖기 시작한 돼지들이 상자 주변으로 모여들고 킁킁대며 냄새를 맡기 시작했다. 처음에 돼지들은 문을 열고 상자 안으로 들어갈 수 있다는 걸 인지하지 못한 상태였지만, 돼지 한 쌍이 문을 밀고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고대 백내장 수술로 시작된 안과 수술
2023.12.03
치료를 시도했다가 후회를 하게 되면 인생 내내 마음이 편치 않을 수 있으므로 정보는 충
분
히 얻되 결정은 당사자가 심사숙고하여 직접 결정하는 편이 바람직하다. ※ 참고문헌 Daniel M. Albert.(Editor) The History of Ophthalmology. Wiley-Blackwell. 1996 쿤트 헤거. 삽화로 보는 수술의 역사. 이룸. 김정미 옮김. 2005. ... ...
[과기원NOW] KAIST, 국제백신연구소(IVI)와 백신연구 업무협약 체결 外
동아사이언스
l
2023.11.23
이 공정으로 표면이 가공된 실리콘 나노와이어는 기존 벌크 실리콘 대비 열전도도가 약 30
분
의 1로 감소했다. 열전 성능은 약 300배 향상됐다. 기존 반도체 공정으로 실리콘의 한계를 극복하고 대면적 반도체 공정 기술을 통해 열전 반도체 대량생산과 상용화의 가능성을 엿볼 수 있었다고 연구진은 ... ...
[사이언스게시판] 과기정통부, 동물실험 연구자 위한 안전가이드 발간 外
동아사이언스
l
2023.11.23
CCO) 특별강연과 전문가 강연 등 일반인 대상 프로그램도 운영된다. 어려운 과학을 3
분
강연을 통해 알려주는 '페임랩 코리아'와 과학을 발라드, 판소리, 랩 등 다양한 장르 노래로 풀어내는 오디션 '필 더 사이언스' 결선도 열린다. ■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3일 서울 강남구 한국과학기술회관에서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배웠다는 '착각'
2023.11.18
한다. 미국 아이오와주립대의 심리학자 알렉산더 토프트네스 연구팀은 사람들에게 31
분
짜리 강의 영상을 보여주었다. 이 때 한 그룹의 사람들에게는 강사가 말을 유려하고 하고 아이컨택트도 적극적으로 하며 좀 더 열정적이고 흡인력 있게 가르치는 영상을 보여주었다. 또 다른 그룹의 ... ...
[표지로 읽는 과학] 차세대 광자반도체 토대 소형 레이저
동아사이언스
l
2023.11.12
기반 '소형 모드 잠금 레이저'를 개발했다. 연구팀이 개발한 MLL은 나노미터(nm·10억
분
의 1m) 단위에서 작동하며, 기존 나노광학 플랫폼에서 활용돼 온 MLL에 비해 훨씬 높은 펄스 에너지(2.6pJ)와 피크 파워(0.5W)를 측정했다고 밝혔다. 해당 연구를 표지에 실은 '사이언스'는 기존 MLL을 칩 크기 ... ...
이전
1
2
3
4
5
6
7
8
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