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총칼
병장기
흉기
군비
병기류
군수품
병기
스페셜
"
무기
"(으)로 총 50건 검색되었습니다.
반도체의 탄생과 새로운 지평
KOITA
l
2013.06.17
한국과 일본의 주요 반도체 기업들은 10여 년간 엄청난 소송공세에 시달렸다. TI가 내세운
무기
는 이른바 킬비 특허. 반도체를 포함한 회로를 하나의 칩 위에 조합하여 집적회로의 기본 개념을 정립한 특허였다. 요컨대 현재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반도체 집적회로의 원천기술에 해당하는 셈이다. TI는 ... ...
휘어지는 투명 유기분자 메모리 소자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3.05.30
소자에 접목시켜 기능성을 나타내는 소자 *** 유기 전자소자 : 기존 실리콘 같은
무기
재료가 아닌 탄소를 중심으로 하는 유기분자의 소자 성균관대학교 화학과 이효영 교수와 서소현 연구교수(제1저자)가 공동으로 수행한 이번 연구는 미래창조과학부(장관 최문기)와 한국연구재단(이사장 이승종)이 ... ...
ETRI, 'WIS 2013'서 11개 첨단기술 전시
동아사이언스
l
2013.05.20
엔터테인먼트 다감각 체험 시스템 ▲스마트가전 자동설정 기술 ▲네트워크기반 국방
무기
체계용 고신뢰 SW 기술 등을 소개할 예정이다. 또 ‘방송통신미디어 및 SW분야’에서는 ▲모바일 앱 가상화 시스템 ▲TVWS 활용 다중채널 인지무선 시스템 ▲안내용 로봇을 위한 무선충전 시스템 ▲온라인 3D ... ...
원자의 세계에서 얻는 에너지
KAIST
l
2013.05.13
수소폭탄이 개발되고 실제 사용되기도 했었다. 전쟁이 끝난 후에는 핵분열과 핵융합을
무기
가 아닌 인간에게 이로운 수단으로 이용하고자 하였다. 핵분열은 원자력 발전소로 상용화되어 우리나라의 전력의 약 30%를 차지하고 있고, 핵융합도 상용화하기 위해 연구가 계속되고 있다. 그렇다면 이러한 ... ...
우주 과학을 탄생시킨 사상 최대의 기술이전
KOITA
l
2013.05.06
경제력이나 생산력, 동원력이 연합군에 비해 턱없이 열세였던 나치 독일은 기발한 신
무기
로 전력을 차이를 극복하려 했으며, 그 결과 실제로도 적지 않은 성과를 내던 참이었다. 세계 최초의 제트엔진, 세계 최초의 로켓, 세계 최초의 자동소총 등 종전 후 세상을 바꾸어 놓을 발명품이 쏟아져 ... ...
“연구 집중하는 임상교수 많아야 세계적 의대 나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11.05.23
학사 - 1987년~1989년 서울대 대학원 화학과 석사 - 1991년~1996년 미국 일리노이대 화학과
무기
화학전공 박사 - 1996년~1997년 미국 노스웨스턴대 박사후연구원 - 1997년~현재 서울대 화학생물공학부 교수 - 2010년~현재 서울대 중견석좌교수 - 2002년~현재 교육과학기술부 창의적연구진흥사업 ... ...
“BT는 ‘버티기’의 줄임말…대기업이 힘 실어줘야”
동아사이언스
l
2011.03.07
-1999~현재 영국국제인명센터 부의장 -2009~현재 국제백신연구소 선임연구원 -1999~현재 생물
무기
금지국제협약 정부대표 및 전문가 ※ 이 기획기사 시리즈는 교육과학기술부 및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와 공동으로 기획했습니다. ※ 이 기획기사 시리즈는 대한민국 생명공학정책 수립을 위한 연구자료로 ... ...
“생물자원전쟁, 새로운 전략이 필요할 때”
동아사이언스
l
2010.09.30
그래서 일본 정부의 노력을 내부에서 지켜볼 수 있었다. “일본이 풍부한 자금력을
무기
로 외교를 한다는 생각은 한국이 가진 선입견입니다. 일본은 생물자원 보유국과 신뢰를 쌓기 위해 10여 년에 걸쳐 노력했어요. 사실 생물자원 보유국은 이제껏 빼앗겨왔다는 인식이 강해 폐쇄적 성향을 갖는 ... ...
“독불장군은 없다… 연계형 연구개발 시대 앞당겨야”
동아사이언스
l
2010.04.14
연계해 최적의 성과를 내도록 노력한다. 그러다 연구가 어느 정도 궤도에 오르면 이를
무기
로 다양한 분야와 융복합연구를 펴 나가며 성과를 확대한다. ●“기초과학 한다고 착각하지 말아야” 오 단장은 미생물사업단의 총 책임자다. 이러다 보니 여러 과학자들에게 정부의 연구비를 나누어 주는 ... ...
“생명과학자가 쉽게 부자 되는 법을 아시나요?”
동아사이언스
l
2009.12.14
돈은 무려 31억원. 생명연 전체 기술이전 수익의 25%가 넘는다. 모두 기술력 하나를
무기
로 시장개발에 나선 결과다. 이런 성과로 바이오나노연구센터에 근무하는 박사급 과학자 8명 중 절반 이상은 억대 연봉자로 분류된다. 정 박사 역시 마찬가지다. 이런 정 센터장이 국내 생명공학의 발전방향에 ... ...
이전
1
2
3
4
5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