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뒤"(으)로 총 3,933건 검색되었습니다.
- [강석기의 과학카페] 일본서 사망자 나온 붉은누룩의 비밀2024.04.03
- 한 종(P. citrinum)에서 처음 스타틴을 분리했다(훗날 메바스타틴으로 명명). 그 뒤 누룩곰팡이의 한 종(A. terreus)에서도 또 다른 스타틴을 찾았고 1987년 고지혈증 치료제로 승인받았다. 최초의 스타틴 약물인 로바스타틴이다. 홍국균을 비롯한 모나스쿠스속 곰팡이는 박테리아를 공격하기 위해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식물이 잘 자라려면 오후에 강한 빛 있어야2024.03.20
- 미오이노시톨이 많이 만들어져 성장 모드로 바뀌는 것이다. 이는 식물이 해가 뜬 뒤 일정 시간 동안(단일 또는 장일의 전반부) 만들어진 광합성 산물은 녹말로 바꿔 밤에 쓸 에너지원으로 저장하고 그 뒤(장일의 후반부)의 광합성 산물을 성장에 투자하는 전략을 진화시킨 결과로 보인다.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오렌지 없는 오렌지주스 나올까2024.03.06
- 포멜라라는 뜻이다. 보통 과실수의 육종은 잡종 식물체를 키워 열린 열매로 평가한 뒤 식물체를 선별해 다시 교배를 해 자손을 얻고 평가하는 작업을 여러 차례 반복하므로 시간이 많이 걸린다. 이번 연구로 오렌지 향의 정체성을 부여하는 유전자를 알게 됨에 따라 교배로 얻은 씨앗을 많이 뿌려 ... ...
- [표지로 읽는 과학] 어린 별의 성장을 방해하는 자외선 바람동아사이언스 l2024.03.03
- 원시 행성 원반 표면이 강한 자외선의 영향을 받는 영역인 광해리 영역(PDR)을 관측한 뒤 분석했다. 이를 통해 d203-506이 원자외선의 영향으로 아주 빠르게 질량을 잃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계산 결과 d203-506에서 질량이 손실되는 속도는 100만년 내에 원반 안에서 가스를 거의 제거해 가스가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1000만원대 전기차, 어떻게 가능할까2024.02.21
- 대상이 사라지면 아무런 느낌도 없을 것이다. 1991년 리튬이온배터리 상용화에 성공한 뒤 지속적인 개선이 이뤄져 적용 범위가 모바일 기기에서 자동차로 넓어지며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지금도 여러 면에서 성능과 비용 개선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흑연인 음극에 실리콘을 더하거나(1) 리튬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중성자별과 블랙홀의 경계는2024.02.07
- 이라면 가시광선 범위의 전자기파가 검출돼야 하지만 이 영역의 관측 데이터를 샅샅이 뒤져봐도 찾지 못했다. 따라서 동반성 역시 중성자별 아니면 블랙홀일 것이다. 추정 질량의 중간값이 태양질량의 2.35배이므로 중성자별이라면 가장 무거운 기록이고 블랙홀이라면 가장 가벼운 기록이다. 질량 ... ...
- [표지로 읽는 과학] 국내 연구진, 뇌속 노폐물 청소 경로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2024.01.27
- 주입한 뒤 생쥐의 두뇌를 관찰했다. 뇌척수액은 목 안쪽 점막 내에 있는 말 안장을 뒤집어놓은 모양의 림프관망으로 모여들었다. 이후 목 림프관을 경유해 목 림프절로 배출됐다. 배출량은 앞서 2019년 확인한 두개골 후측방을 통해 배출되는 뇌척수액의 양보다 1.8배 많았다. 비인두 림프관망이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항생제 내성 박테리아와의 전쟁서 이길 수 있을까2024.01.24
- 판단에 리보솜 구조 관련 최초의 대중강연 연사로 라마크리슈난을 선택했다. 그 뒤 라마크리슈난은 mRNA와 tRNA가 달라붙은 리보솜 구조를 밝혀 번역의 분자 메커니즘을 제시하는 등 후속 연구를 이어갔고 결국 놀러를 제치고 수상자가 됐다. 박테리아는 세포벽 구조에 따라 그람양성균과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데이터 과학으로 본 '손흥민'의 대단함2024.01.10
- 월드컵인 18회 아시안컵이 열린다. 우리나라는 1956년 1회와 1960년 2회에 연속 우승한 뒤 무려 64년 동안 우승컵을 들지 못했다. 현재 프리미어리그 득점 3위와 6위, 최근 프랑스 슈퍼컵을 들어 올린 이강인, 지난해 발롱도르 22위로 수비수 가운데 가장 높은 김민재 등 어느 때보다도 화려한 선수진을 ... ...
- [사이언스게시판] KAIST, KSA 학생 4명 '2023 대한민국 인재상' 수상 外동아사이언스 l2023.12.27
- 커리큘럼 체계화, 교원 확보 등 노하우 습득, 전공운영 활성화 및 체계화를 달성한 뒤, 2년 후 단독 전공 신설과 박사과정, 석박사 통합과정 확대 여부를 결정할 계획이다. UST 설립연구기관장회의의 향후 1년을 이끌 신임 의장에는 이영국 한국화학연구원 원장이 선임됐다 ... ...
이전12345678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