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이변
이적
미라클
호적
경적
나팔
조화
스페셜
"
기적
"(으)로 총 122건 검색되었습니다.
[잠깐과학]콜라의 탄생
어린이과학동아
l
2021.05.08
결과, 제2차 세계대전 이후에는 전 세계에서 팔리는 음료가 됐습니다. 효능이 불분명한
기적
의 약이 세계인이 사랑하는 음료수가 된 셈입니다. 코카콜라는 100년이 넘는 세월 동안 제조법이 여러 번 바뀌었습니다. 지금은 코카인이 들어가지 않으니 안심하고 마셔도 됩니다. 코카 열매. AGRIPO ... ...
[이덕환의 과학세상]'김치의 진정한 세계화'를 위한 전략
2021.03.31
했다. 본격적으로 김치를 세계에 자랑스럽게 내놓기 시작한 것은 1980년대의 ‘한강의
기적
’과 1988년 ‘서울 올림픽’ 덕분이었다. 김치의 매운 맛과 마늘 향이 우리만 좋아하는 것이 아니었다는 사실은 우리에게 신선한 충격이었다. 가장 한국적인 것이 가장 세계적인 것이라는 사실을 뒤늦게 ... ...
[사이언스N사피엔스]특수상대성 이론이 등장하기까지
2021.03.18
쓴 셈이었다. 1905년은 아인슈타인에겐 '
기적
의 해’로 불린다. 1666년이 뉴턴에게 '
기적
의 해'였다면 말이다. 이해에 아인슈타인은 여러 편의 논문을 썼다. 브라운 운동에 관한 논문은 원자와 분자의 존재를 확증할 수 있는 내용을 담고 있었다. 광전효과(금속에 빛을 쪼이면 전자가 튀어나오는 ... ...
생각이 다른 전문가의 입 막지 마세요…한국기자협회·한국과학기자협회 입장문 발표
동아사이언스
l
2021.02.04
효능은 인정되지만 변이 바이러스를 비롯해 여러 가지 한계가 있고 코로나19를 완치할
기적
의 치료제는 아니라는 지적을 내놨다. 이는 최근 항체치료제를 개발하는 일부 기업들을 중심으로 인터넷과 주식시장에서 효능이 지나치게 부풀려지고 있다는 점을 염두에 둔 지적으로 풀이된다. 하지만 ... ...
“항체치료제 '
기적
의 약' 아냐"..."변이 등장했는데 집단면역 목표 조정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21.02.02
훨씬 많을 수 있는 약물인 만큼 주의해서 써야 한다”며 “코로나19를 치료할 ‘
기적
의 약’은 없다”고 말했다. 최근 변이 바이러스가 전세계적으로 확산하면서 집단면역 형성에 필요한 환경이 바뀌고 있는데도 정부가 전문가들의 최신 권고를 듣지 않고 있다는 지적도 나왔다. 정부가 지난달 ... ...
[이덕환의 과학세상] 가습기살균제, ‘살인적 사용법’이 문제였다
2021.01.20
물질의 경우에는 실험에 사용한 쥐가 2년 정도의 자연수명으로 사망할 때까지의 전주
기적
관찰이 필요하다. 독성이 나타나는 메커니즘에 따라서 증상이 발현되기까지 걸리는 시간이 다른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이다. 더욱이 가습기살균제처럼 장기간에 걸쳐 연속적으로 낮은 농도의 독성물질에 ... ...
[이덕환의 과학세상]이제는 방역 패러다임 바꿔야 한다
2020.12.23
자랑해왔던 ‘K방역’의 성공은 사실 진단키트·신용카드(교통카드)·CCTV가 만들어낸
기적
이었다. 물론 개인정보의 무차별적인 침해를 묵묵히 견뎌준 국민들의 인내심이 없었더라면 불가능했던 일이다. 그런데 이제는 상황이 달라졌다. 감염 경로의 추적이 불가능한 ‘깜깜이 감염’과 감염 사실을 ... ...
[이덕환의 과학세상]과학기술이 보이지 않는다
2020.11.25
만들었던 성과를 적극적으로 인정받아야 한다. K-방역의 성공은 과학기술이 만들어낸
기적
이다. 이덕환 서강대 과학커뮤니케이션 교수 ※필자소개 이덕환 서강대 명예교수(화학·과학커뮤니케이션). 대한화학회 탄소문화원 원장을 맡고 있다. 2012년 대한화학회 회장을 역임하고 과학기술,교육 ... ...
[사이언스N사피엔스] 세기의 전환
2020.11.12
아인슈타인이 특수상대성이론 논문을 발표한 것은 1905년이었다. 이 해를 아인슈타인
기적
의 해(Annus Mirabilis)라 부른다. 반면 양자역학은 많은 사람들이 오랜 세월에 걸쳐 이론적 틀을 갖추었기 때문에 어느 한 시점과 사람을 고르기가 쉽지 않다. 다만 많은 사람들이 양자역학의 출발점을 1900년 1 ... ...
[이덕환의 과학세상] 노벨상 수상도 준비를 해야
2020.10.14
대신 절박한 경제 성장을 위한 기술 개발에 총력을 기울였고, 전 세계가 놀라는 한강의
기적
을 이룩했다. 1960년대 초 우리의 1인당 국민소득은 60달러 수준이었다. 1달러로 1주일을 견뎌야 하는 힘든 상황이었다. 그런데도 우리는 1958년부터 원자력 기술에 투자를 했고, 1965년에는 기술 개발을 위한 ... ...
이전
1
2
3
4
5
6
7
8
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