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추세
동향
성향
풍조
성벽
방향
편향
스페셜
"
경향
"(으)로 총 770건 검색되었습니다.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10번 고맙다가 딱 1번 서운한 일만 기억하는 사람들
2023.12.23
돈을 나눈 사람들이 공정하게 나눈 사람들에 비해 더 자신의 공정함을 과대평가하는
경향
을 보였다.공정하지 못하게 타인의 몫을 가로챈 사람들이 그렇지 않은 사람들에 비해 더 자신은 공정하게 행동했다고 당당하게 말했다는 것이다. 이러한 일련의 연구를 통해 연구자들은 이기적인 사람들은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사적인 영역, 선 넘지 않기의 중요성
2023.12.02
서로를 존중하기보다는 떳떳치 못한 일을 함께 벌인 ‘공범’으로서의 관계를 강요하는
경향
이 있지만 관계마다 원하는 만큼의 선을 개인이 설정할 수 있는 사회도 있다는 것이다. 이렇게 다양한 바운더리들을 가진 관계들이 많이 생기다 보니 직장에서 난데없이 ‘가족’과 같은 끈끈함을 찾는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물리학은 생명을 이해할 수 있을까
2023.11.29
클라우지우스는 “우주의 에너지는 일정하다. 반면 우주의 엔트로피는 최대를 향하는
경향
이 있다”고 썼다. 오늘날 엔트로피는 무질서도를 나타내는 척도로 널리 쓰이고 있다. 그러고 보면 조립(A)은 엔트로피와 반대되는 특성이다. 즉 엔트로피가 무질서도 정보의 상실 정도를 정량화한 값이라면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힘든 경험'이 자신 전부를 설명하지 않는다
2023.11.25
핵심적 요소로 여기는 아이들의 경우 과거의 경험에 의해 현재의 선택을 지배당하는
경향
이 두드러진다고 했다. 또한 이들은 자신들이 바뀔 수 있다는 생각도 잘 하지 않으며 따라서 치료의 목적 또한 더 나은 삶을 사는 것보다는 스스로 내린 진단명을 재확인받고 위로받는 데 그치는 편이라고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배웠다는 '착각'
2023.11.18
때에 비해 사람들은 자신이 더 많은 정보를 얻었고 따라서 더 많이 배웠다고 응답하는
경향
을 보인다. 하지만 이렇게 잘 배웠다고 느끼는 것과 실제 배움 사이에는 큰 괴리가 나타나서 실제 정보를 얼마나 잘 숙지하고 있는지 시험해 보면 두 조건 사이에 큰 차이가 나타나지 않는 현상이 나타난다.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비판받으며 자란 아이, 자기 비난 키운다
2023.11.11
보인 양육자의 자녀가 그렇지 않은 양육자의 자녀에 비해 스스로를 쉽게 비난하는
경향
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스스로를 비난해버릇하는 자녀는 그렇지 않은 사람들에 비해 자신의 연인이 자신을 사랑하는지에 대한 확신이 적었고 연인을 다소 부정적으로 바라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
[표지로 읽는 과학] 식물 생태계 복원 위해 초식동물 개체수 조절 필요할까
동아사이언스
l
2023.11.05
밝혔다. 특히 기온이 높고 강수량이 적어 식물이 자생하기 척박한 환경에선 이러한
경향
이 더욱 뚜렷하게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연구팀이 시뮬레이션을 실시한 결과 초식동물 개체수를 인위적으로 조절하면 자연적인 회복이 진행되는 삼림지에선 식물 풍부도가 93% 증가할 것으로 예측됐다.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상대 행동에 '악의적 해석'하는 사람들
2023.11.04
질이 별로 좋지 못하고 자신의 행복도가 낮을 뿐 아니라 ‘상대의 행복도’ 또한 낮추는
경향
을 보인다. 결과적으로 비교적 높은 이혼율을 보이기도 한다(Karney & Bradbury, 1997). 관계는 문제의 실재 여부를 떠나 내가 상대방을 좋거나 나쁜 사람으로 바라보는 정도, 상대의 행동을 해석하는 방식에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병주고 약주는' Y염색체의 두 얼굴
2023.11.01
‘XX’이지만 말이다. 세포생물학에 충실한 필자는 소위 정치적 올바름의 하나인 이런
경향
이 거슬렸다. 그런데 최근 학술지 ‘사이언스’에 실린 한 기고문을 읽으며 ‘과학적 올바름’이라고 믿고 있는 것의 토대가 생각보다 견고하지 않다는 걸 깨달았다. 예를 들어 지금 내 몸에 Y염색체가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이·팔 전쟁 해법은...'집단적 감정'은 어떻게 움직일까
2023.10.28
포랫에 의하면 집단적 감정도 마찬가지다. 집단의 목적이 무엇이냐에 따라 달라지는
경향
을 보인다. 예를 들어 분쟁이 일어난 후 평화적으로 해결하기보다는 싸워서 이기는 것이 우리 집단에게 더 큰 이득이 된다는 분위기가 형성되면 많은 사람들이 분노를 느끼게 되지만 평화적인 해결이 ... ...
이전
1
2
3
4
5
6
7
8
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