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입증
증명
실증
확인
검사
스페셜
"
검증
"(으)로 총 93건 검색되었습니다.
에너지의 미래, 결국 사람이다
한국원자력문화재단
l
2015.04.13
반드시 준수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반박한다. 한수원 역시 계속운전 발표 후 전문가
검증
에서 지적된 보완사항에 더해 자체 안전대책을 추가하여 2015년까지 조치를 끝낼 계획이다. 이는 근본적으로 보면 ‘최소한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규정’과 ‘실질적인 안전성을 확보’하는 입장의 대립인 ... ...
월성 1호기, 재운전을 결정하기까지
한국원자력문화재단
l
2015.04.13
심사에 대한 기준점 역할을 한다는 점을 잘 아는 원안위로서도 월성1호기에 대한
검증
에 소홀할 수 없었을 것이다. 이는 유럽보다 강화된 기준을 적용하여 여러 차례의 심사를 시행했다는 점에서도 엿볼 수 있다. 다만 원자력 전문가와 지역민들의 시각 차이는 앞으로 풀어가야 할 과제다. 월성1호기 ... ...
원전도 스트레스를 받는다! 원자력발전소 안전을 평가하는 스트레스테스트
한국원자력문화재단
l
2015.04.06
방법일 뿐, 테스트의 1차적인 목적은 불의의 상황에 대비하여 안전을 확보할 수 있는지
검증
하는 것이다. 스트레스테스트에서는 세 가지 극단적인 상황을 가정하여 대처능력을 확인한다. 첫 번째는 원전의 설계기준을 초과하는 지진이나 해일 발생, 두 번째는 원전 내 전력 차단이나 냉각수단 상실로 ... ...
스트레스테스트, 어떻게 이루어지나?
한국원자력문화재단
l
2015.04.06
통해 투명하게 공개됐다. 또한 주민 생활에 큰 영향을 줄 수 있는 사안인 만큼 전문가
검증
과정에 지역추천 전문가를 포함한 민간 전문가를 대거 참여시켰다. 고리1호기와 월성1호기 테스트 과정과 그에 따른 회의록 및 보고자료는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의 별도 페이지(http://voc.kins.re.kr)에서 확인할 ... ...
자연은 진공을 싫어하는가?
IBS
l
2015.03.26
내놓기도 했지만 타당한 해석을 내놓는 데는 모두 실패했다. 결국 50여 년 간 이어진 재
검증
끝에 지구를 둘러싼 에테르의 흐름 따위는 존재하지 않는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아인슈타인이 광전효과를 발표하여 빛의 입자성이 입증되고부터는 에테르가 물리학에서 거의 완전히 축출되기에 이른다. ... ...
[혁신의 열쇠] ‘십대의 낙관’으로 췌장암 조기진단에 성공하다
KOITA
l
2015.01.26
발명에 논란이 없는 것은 아니다. 2011년부터 의학계에서는 안드라카의 발명품을
검증
하려는 논문이 여럿 나왔으며, 그 중에는 췌장 검사 키트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경우가 있음을 지적하는 것도 있었다. 게다가 안드라카 본인은 ‘자유로운 정보 공유’를 중시했으나 췌장 검사 키트의 핵심 ... ...
다이나믹한 연구단 생활이 즐겁다
IBS
l
2014.11.29
암흑물질의 가장 유력한 후보 중 하나인 약하게 상호작용하는 중입자(WIMP)의 존재를 직접
검증
하는 것을 목적으로 실험·연구하는 조직이다. 이 연구단에서 행정업무를 맡은 이승현 행정원을 본원에서 만나봤다. 지질학 석사 출신의 엘리트 행정원 이승현 행정원은 연구단 내에서 연구자들을 ... ...
과학자의 성공, 행복하고 정상적인 삶에 있다
과학기술인공제회
l
2014.10.29
아니라 은행원 교육과 운영 효율 등에서 한국이 어떤 나라에도 밀리지 않는다는 것이
검증
된 거죠." 이를 증명하듯 최근에는 핀란드의 한 연구진이 내성균주은행에 세균을 받으러 방한하겠다고 연락해 왔다. 한국 내성균주은행의 세균을 활용해 발표된 논문을 보고 아무런 스스럼없이 한국의 세균을 ... ...
[Green Focus]‘3세대 바이오매스’ 미세조류가 뜬다
동아사이언스
l
2014.10.14
1단계(2010~2011년)에서 바이오매스인 미세조류를 확보하고 2단계(2012~2014년)에서 이를
검증
하고 3단계(2015~2018년)에서 미세조류 바이오연료를 상업화하게 된다. 현재 연구단이 자연에서 분리한 균주 중에서 주목할 만한 것이 2종류가 있다. 양 단장은 “북극에서 분리한 균주 ‘극지 클로렐라’와 ... ...
[Green Lab_현장탐방]바이오연료 만드는 생물시스템공학의 산실
동아사이언스
l
2014.10.14
하면 아주 간단해 보이겠지만 실제로 이 유전자들을 조작했을 때 나타나는 변화를 모두
검증
하려면 1000개 중에서 3개를 뽑아내는 조합의 수인 1억 6600만 번에 달하는 실험을 수행해야만 합니다.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일이지요. 그러나 가상세포를 이용하면 컴퓨터 계산으로 예측해 원치 않는 결과를 ... ...
이전
1
2
3
4
5
6
7
8
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