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꼬리별
추성
살별
미성
뉴스
"
혜성
"(으)로 총 277건 검색되었습니다.
태양계 밖에서 온 '성간유성' 8년전 파푸아뉴기니에 떨어졌다
연합뉴스
l
2022.04.14
방송이 13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성간 유성은 지구에서 관측되는 대부분의 유성이나
혜성
등이 태양계 형성 초기에 행성 등이 만들어지고 남은 암석 등으로 이뤄진 것과 달리 다른 항성(별)과 그에 딸린 행성계에서 떨어져나와 우주공간을 떠돌다가 태양 중력에 끌려 온 유성이다. 2014년 1월 8일 ... ...
'지름 136km' 역대 가장 큰
혜성
태양계로 접근중
동아사이언스
l
2022.04.13
먼 부분에서 볼 수 없을 정도로 희미한 수많은
혜성
중 빙산의 일각”이라며 “항상 이
혜성
이 먼 거리에서도 너무 밝아 커야 한다고 생각했는데 그것이 사실임을 확인했다”고 말했다 ... ...
소행성 탐사부터 중력파 관측 위성까지 중국의 우주굴기
연합뉴스
l
2022.02.22
낙하산을 달아 전달하게 된다. 그런 다음 지구와 화성의 중력을 이용해 심우주로 나가
혜성
'311P/PANSTARRS'을 탐사한다. 일본의 하야부사 2호와 미국의 오시리스-렉스가 각각 소행성 류구와 베누의 시료를 채취해 이미 지구로 가져왔거나 가져오는 중이라는 점에서 뒤따라가는 모양새다. 하지만 '2016 ... ...
우주에 버려진 스페이스X 로켓 3월쯤 달과 충돌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1.28
오전 7시 25분에 달과 충돌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빌 그레이는 근지구 천체와 소행성,
혜성
등을 추적하는 전문가부터 아마추어 천문학자들까지 사용할 수 있는 무료 소프트웨어 ‘플루토 프로젝트’의 개발자다. 이 소프트웨어는 미 항공우주국(NASA)에서 지원하는 우주 관측 프로그램에도 ... ...
새해 초 밤하늘 수놓는 유성우쇼 펼쳐진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1.03
대기와의 마찰로 불이 붙어 빛이 나는 현상이다. 사분의자리 유성우는 소행성 2003EH1과
혜성
C/1490 Y1의 잔해들을 통과할 때 나타난다. 1월에 펼쳐지는 사분의자리 유성우는 8월 페르세우스자리 유성우, 12월 펼쳐지는 쌍둥이자리 유성우와 함께 3대 유성우로 불린다. 사분의 자리 유성우는 이 중 매년 ... ...
38년 전 적외선 관측 자료 다시 들춰 찾아낸 제9 행성 후보
연합뉴스
l
2021.11.18
있을 것이라는 주장은 실체가 포착되지 않아 가설로만 남아있다. 해왕성 궤도 밖에
혜성
과 소행성, 얼음덩어리 등의 천체가 황도면에 띠를 이루고 있는 '카이퍼 벨트'에 작용하는 중력이 제9 행성의 존재를 나타내는 유력한 근거로 제시돼 있지만, 천문학자들의 노력에도 아직 관측된 적이 없다. ... ...
"달 '후기 대폭격' 소행성들은 지구 형성 과정서 남은 잔해"
연합뉴스
l
2021.11.09
넣었다는 이론적 계산이 제시돼 있는 것과 관련, "월석에서 태양계 외곽의 소행성이나
혜성
의 충돌 증거를 발견하지 못했다"면서 태양계 형성이 시작되고 약 1억 년 전쯤 지구가 형성되는 과정에서 일어나 지금까지 생각했던 것보다 더 일찍 발생했을 수 있다고 했다. 이는 최근 동적 모델과도 ... ...
지구방어 소행성 충돌 첫 시험 DART 우주선 내달 말 발사
연합뉴스
l
2021.10.06
주기로 돌고있는 디디모스는 지구에 3천만 마일(4천800만㎞) 이내로 접근하는 소행성이나
혜성
을 지칭하는 지구근접 천체로 분류돼 있다. DART 우주선은 로켓에서 분리된 뒤 태양광 패널을 펼치고 동력을 얻어 전기추진시스템으로 1년 가까이 순항하다가 충돌지점에 도달하게 된다. 과학자들은 DART ... ...
"해왕성 너머 어둠 속에 지구나 화성급 행성 숨어있을 수도"
연합뉴스
l
2021.10.05
바깥쪽 거대 가스형 행성이 존재하고, 그 너머로 명왕성과 에리스, 세드나 등의 왜행성과
혜성
과 같은 작은 천체만 있는 구조는 무언가 빠져있는 이상한 것이라고 지적했다. 자연스러운 행성계 진화 과정에서는 네 개의 거대 가스 행성 너머로 왜행성만 존재할 가능성은 희박하다는 것이다. ... ...
'첫 외계 천체' 오무아무아는 외계 지성체가 만든 것일까
연합뉴스
l
2021.09.24
세 번이나 바꿨다. 처음에는 'C/2017 U1'라고 불렀다. 'C'는
혜성
(comet)을 뜻한다. 그러나
혜성
으로 볼 수 없다는 점에서 소행성(asteroid)을 의미하는 'A/2017 U1'으로 바꿨다가 결국 '1I/2017 U1'로 선언했다. 'I'는 성간(interstellar)을 의미한다. 당시 '오무아무아가 성간 공간에서 왔다'는 것은 천문학계 모두가 ... ...
이전
1
2
3
4
5
6
7
8
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