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hybrid
리드
하이브
뉴스
"
하이브리드
"(으)로 총 517건 검색되었습니다.
이노스페이스, 한빛 발사체 '메탄엔진' 연소시험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4.08.29
“이번 메탄엔진 도입으로 고객의 요구에 따라 설계된 발사 임무의 특성에 맞춰
하이브리드
엔진 또는 메탄엔진을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게 돼 고객에게 더욱 유연하고 효율적인 발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면서 “앞으로도 세계 우주시장 변화에 신속히 대응할 수 있는 ... ...
"공기 중 수분 모아 물 만든다"…휴대용 물 수확기 국내 첫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08.20
“수분 포집 시스템은 기존 응축시스템이나 흡습 시스템의 원리를 복합해 사용하는
하이브리드
시스템”이라며 “에너지 사용량을 최소화하고 친환경 재료를 활용하는 지속가능형 기술”이라고 말했다 ... ...
혹한에도 끄떡없는 이차전지용
하이브리드
전극 소재
동아사이언스
l
2024.08.13
연구팀이 영하 20도의 혹한에서도 안정적으로 작동하는 이차전지용 금속-유기
하이브리드
전극 소재를 개발했다고 13일 밝혔다. 현재 리튬 이차전지의 음극을 구성할 때 가장 많이 쓰이는 소재는 흑연이다. 열역학적으로 매우 안정적인 구조를 갖추고 있으면서 가격도 매우 저렴하기 때문이다. ... ...
8월 과학기술인상에 김창석 교수…악천후에도 문제없는 자율주행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07.31
유리한 광통신용 레이저와 가변대역이 넓은 의료용 레이저 장점을 결합한 아이디어로 '
하이브리드
컬러변조 레이저 광원'을 설계했다. 컬러변조 레이저는 겉보기에는 백색 빛과 비슷하지만 초고속으로 특정 색깔 한 가지만 방출하도록 제어하는 특수 레이저다. 가변대역은 변화시킬 수 있는 ... ...
[과기원NOW] KAIST, 홀로토모그래피 기술의 첨단바이오 분야 적용 전략 소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7.30
공동으로 최근 자율주행 차량용 커넥티드 자동차 플랫폼 개발 연구 시제품 시연회인 '
하이브리드
차량사물통신(V2X) 데모 데이'를 성황리에 개최했다고 30일 밝혔다. 연구팀은 드라이빙 시뮬레이터의 가상공간에서 응급 환자가 발생한 상황을 선보였으며 에티포스와 국민대 연구팀은 자율주행중인 ... ...
글로벌리더연구·선도연구센터 선정…10년간 4069억원 지원
동아사이언스
l
2024.07.25
차세대 통신 분야는 한양대의 ‘한양-MIT Beyond-G 혁신센터’와 양자 분야에 서울대의 ‘
하이브리드
양자컴퓨팅 센터’가 선정됐다. 과기정통부는 3인에서 4인의 소규모 공동연구를 지원하는 기초연구실도 145개 선정(’24년 724억원)했다고 밝혔다. 기초연구실 사업의 올해 예산은 724억원으로 분야별 ... ...
초파리 360종 유전체 서열 규명...대규모 분류로 진화 단서 찾아
동아사이언스
l
2024.07.22
전통적인 ‘쇼트-리드 시퀀싱‘과 최신의 ’롱-리드 시퀀싱‘ 기술을 결합한
하이브리드
시퀀싱 접근법으로 저비용 고품질로 유전체 서열화를 진행할 수 있었다. 선행 연구를 통해 확보된 초파리 유전체 염기서열 데이터와 이번에 새롭게 확인한 데이터를 합쳐 연구팀은 총 360종의 계통 분류를 ... ...
"늘어나는 육류 소비…배양육 단가 낮추고 대량 생산 전략 필요"
동아사이언스
l
2024.07.12
한다”며 “가까운 미래에는 우선 동물의 세포와 식물 유래 단백질을 함께 섞는
하이브리드
방식의 배양육이 주를 이루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스캐폴드 개발 등 배양육과 연관된 지속적인 연구개발과 비용 대비 최적의 효율을 뽑아낼 수 있는 생산 환경이 갖춰져야 세포 함량이 높아지고 ... ...
7월 과학기술인상에 노준석…초박막 메타렌즈 대량 생산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07.03
박막을 20nm 정도로 매우 얇게 코팅해 렌즈 효율을 10%에서 90%까지 끌어올릴 수 있는
하이브리드
고굴절 소재를 구현했다. 공정 부분에서는 3가지 나노 공정 기술을 복합적으로 사용해 가시광선 영역에서 작동하는 메타렌즈를 12인치 웨이퍼에서 대량 생산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노 교수의 ... ...
[과기원NOW] UNIST, 태풍 강도 예측 정확도 50% 향상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7.02
수치모델 자료를 결합해 태풍 강도를 실시간으로 예측하는 방식이다. 연구팀이 개발한
하이브리드
-CNN 모델은 24, 28, 72시간 동안 태풍 강도를 예측하며 기존 대비 50% 향상된 성과를 보였다. 연구팀은 천리안 1호와 천리안 2A호 위성자료를 이용해 전이학습 기반의 태풍 강도를 추정했고 인공지능(AI)을 ... ...
이전
1
2
3
4
5
6
7
8
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