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청색
뉴스
"
푸른빛
"(으)로 총 133건 검색되었습니다.
[표지로 읽는 과학] 소행성 ‘베누’의 시료를 기다리는 3개의 연구
동아사이언스
l
2020.11.08
사이언스 제공 국제학술지 ‘사이언스’는 6일 세 가지 색 영역으로 나눠진 소행성 ‘베누’ 모습을 표지에 실었다. 사이언스는 이날 ‘초기 태양계의 표본을 채취했다’는 제목을 달아 베누의 암석 시료 채집을 기념했다. 이번 호에는 베누의 구성 성분을 분석한 연구만 3개가 실렸다. 미국 ... ...
QLED 디스플레이 난제 '청색광 퀀텀닷' 왜 만들기 어렵나
동아사이언스
l
2020.10.19
내년부터 양산할 계획인 QLED 디스플레이도 푸른색 OLED를 광원으로 하고 앞에
푸른빛
을 받아 적색과 녹색을 내는 퀀텀닷 필름을 배치하는 방식이다. 연구진은 외부 빛이 아닌 전기가 가해지면 스스로 빛을 내는 광원인 퀀텀닷 개발에 착수해 지난해 효율과 안정성을 높인 적색광과 녹색광 ... ...
LED 연구에서 청색광이 마지막에 정복되는 이유는
동아사이언스
l
2020.10.15
동아사이언스DB 삼성전자가 푸른 빛을 스스로 내는 양자점(퀀텀닷) 발광다이오드(QLED)를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고 이달 15일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발표했다. LED 개발에서 푸른 빛을 내는 것은 마지막 난제로 꼽힌다. 푸른 빛이 다른 빛에 비해 에너지가 크다 보니 이를 내는 소재를 개발하기가 가장 ... ...
삼성전자 청색광 QLED 최고 효율 달성
동아사이언스
l
2020.10.15
삼성전자 모델이 CES2020에 앞서 5일 개최된 삼성 퍼스트 룩 2020 행사에서 마이크로LED 기술을 적용한 삼성전자 더 월 292형 제품을 소개하고 있다. 삼성전자 제공 삼성전자 연구진이 퀀텀닷발광다이오드(QLED) 디스플레이 시장 확대의 난제로 꼽혀온 청색광 양자점(퀀텀닷)의 효율을 끌어올리고 안정성 ... ...
[프리미엄 리포트]'맨해튼 프로젝트' 현장에 가다
2020.09.26
위키피디아 제공 영화 어벤저스 시리즈의 ‘배너 박사’는 평소엔 온화하다가 분노가 극에 달하면 초록색 괴물 ‘헐크’로 변합니다. 지난 화에 이어서 소개할 ‘강한 핵력’도 마치 헐크 같습니다. 핵분열이나 핵융합 반응으로 때로는 무서운 원자 폭탄이었다가 때로는 지구의 생명을 기르는 햇 ... ...
보현산천문대에서 포착된 '니오와이스' 혜성
동아사이언스
l
2020.07.17
15일 저녁9시 14분 보현산천문대에서 촬영한 니오와이즈 혜성의 모습이다. 천문연 보현산천문대 전영범 책임연구원이 촬영했다. 한국천문연구원 제공 태양에 근접했다 서서히 멀어지고 있는 혜성 ‘니오와이즈’의 모습이 15일 저녁 한국천문연구원 보현산천문대 카메라에 포착됐다. 천문연은 전 ... ...
[화보]밤하늘에 '오징어 성운' 떴다…제28회 천체사진공모전 수상작들
동아사이언스
l
2020.04.24
제28회 천체사진공모전 대상 수상작인 거대 우주 오징어 (장승혁). 세페우스 자리에 있는 행성상 성운 OU4는 오징어 성운이라는 재미난 이름을 가지고 있다. 푸른 오징어가 헤엄치는 듯한 모습이며, 주변의 붉은 성운은 나는 박쥐 성운으로 알려진 Sh2-129이다. 천문연 제공 가을철 북극 근처에서 보이 ... ...
[프리미엄 리포트]어린이 3명 중 1명은 '수면부족'
어린이과학동아
l
2020.02.08
수면 시간이 충분해야 할 성장기 초등학생들이 3명 중 1명꼴로 수면이 부족하다는 조사결과나 나왔다.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이 2017년 발표한 '아동청소년인권실태조사'결과를 보면 초등학생 3100명 중 약 33.1%가 ‘수면 부족’으로 답했다. 또 응답자의 절반이 넘는 약 1640명은 미국수면재단에서 ... ...
[2019노벨상] 전문가들이 예측하는 생물학·의학 분야 유력 후보10人
동아사이언스
l
2019.10.03
클래리베이트 애널리틱스가 2019년 노벨 과학상 수상자 발표에 앞서 수상자 후보로 지목한 19명. 이 중 생리의학상 수상자 후보로 꼽힌 6인과 화학상 수상자 후보로 꼽힌 4인이 생물학과 의학, 생화학 분야에서 선정됐다. 클래리베이트 애널리틱스 제공 매년 스웨덴 왕립과학아카데미(한림원)에서는 ... ...
[인류와 질병] 큰 뇌를 가진 인간, 변화에 적응하는 인류에겐 숙명인 질병
2019.09.14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삶은 여러 단계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각 시기에 달성해야 할 적응적 목표가 다르다. 어린 시절에는 성장을, 성인기에는 번식을 해야 한다. 노년기에는 주변을 돌보는 것이 유리할 것이다. 그런데 각 시기의 기간 및 에너지 투입량을 결정하는 최적 수준은 생태적 압력에 따라 ... ...
이전
1
2
3
4
5
6
7
8
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