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벌레
곤충
대충
chung
뉴스
"
충
"(으)로 총 213건 검색되었습니다.
화재 위험 낮은 전고체전지 상용화 '한걸음…고체전해질 최적 혼합법 찾아
동아사이언스
l
2024.07.29
이용률(이론 용량 대비 실제 구동 용량)’과 ‘율특성(저전류
충
·방전 대비 고속
충
·방전)’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수의 데이터를 확보했다. 그리고 그 결과를 시제품까지 적용해 전고체전지의 성능 향상을 확인했다. 연구를 이끈 하윤철 책임연구원은 “전고체전지 보급 확대를 위해 고체전해질 ... ...
전기차 주행거리 늘릴 리튬금속전지 안정성 높였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7.16
리튬금속 전지를 차세대 전기자동차에 이용할 수 있게 된다면 전기자동차의 1회
충
전 주행거리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화학공학회지’에 지난달 22일 온라인 게재됐다 ... ...
[과기원NOW] UNIST, 태풍 강도 예측 정확도 50% 향상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7.02
NCM 양극재 주사전자현미경 사진을 합성곱 신경망 기반 AI에 학습시켜 주요 원소 함량과
충
·방전 상태를 99.6%의 정확도로 맞추는 방법론을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고 2일 밝혔다. 배터리 소재의 성능과 품질을 향상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될 것으로 기대되는 이번 연구는 국제학술지 ‘npj ... ...
이차전지 수명 3배 늘린다…새로운 리튬 복합소재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06.05
적용하자 전지의 수명이 크게 개선됐다. 대면적 파우치 셀에 적용했을 때 안정적인
충
·방전 특성을 나타내며 실제 전지 적용 가능성을 보였다. 연구팀은 이번에 개발한 기술을 최근 선정된 ‘글로벌 TOP 전략연구단’ 사업에 연계해 개발된 리튬 복합소재의 고성능 및 대면적화를 위한 공정 기술 ... ...
리튬이온전지 성능 '업'…흑연 대체 실리콘 음극재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05.27
위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실리콘 소재의 경우 낮은 전기전도도 뿐만 아니라
충
·방전을 반복하면 부피가 팽창해 장기 안정성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성균관대 연구팀은 실리콘 기반 고엔트로피 합금 소재를 개발, 한 가지 소재로 구현하기 ... ...
500회 급속
충
전에도 멀쩡한 안정적인 전기차 배터리 구현
동아사이언스
l
2024.05.27
관계처럼 여겨져 전기차의 대중화를 막는 원인 중 하나”라며 “이번 성과를 통해 급속
충
전에도 안정적인 고에너지밀도 리튬이온전지를 구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전기차 보급 확대와 범국가적 탄소중립 실현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어드밴스드 ... ...
리튬배터리 에너지밀도 극대화하는 3차원 구조체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05.20
리튬 금속 음극에 균일하게 증착됐다. 구조체가 적용된 배터리는 200주기 이상
충
·방전을 반복한 후에도 높은 안정성을 보였다. 또 연구팀은 "실험실 수준의 코인(coin) 셀이 아니라 실제 산업 현장에서 쓰는 파우치(pouch) 셀 수준으로 실행을 진행했다"며 "기술 상용화 가능성이 매우 크다"고 설명했다. ... ...
[과기원NOW] KAIST, 전해질 첨가제로 최초 장수명 배터리 기술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5.16
표면에서 전자전도도와 이온전도도의 균형을 맞추는 데 성공했다. 연구팀은 "배터리
충
·방전 횟수 증가에 따른 급격한 용량 감소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기술"이라고 설명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어드밴스드 펑셔널 머터리얼즈'에 9일 온라인 게재됐다. ■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 ...
말라리아가 수명도 좌우…노화 연관 백혈구 텔로미어 길이 줄여
동아사이언스
l
2024.05.05
사실을 확인했다고 ‘미국 유전학 저널’에 2일 발표했다. 말라리아는 말리리아 원
충
이라는 병원체를 가진 모기에게 물렸을 때 걸리는 질환이다. LTL은 유전적 요인의 영향을 받는다. 일반적으로 아프리카 혈통인 사람들이 보다 긴 LTL을 갖고 있다. LTL의 다양성은 주로 유전적 요인으로 설명 ... ...
니켈·코발트 없이 에너지밀도 40% 높인 리튬이온전지
동아사이언스
l
2024.05.01
전극 제조 시 다중벽 탄소나노튜브를 사용해 DRX 양극재의 낮은 전자전도도를 보완하고
충
·방전 간 부피 변화를 견딜 수 있게 하자 전극 내 양극재 비율을 96%까지 끌어올려도 전자 전달 네트워크와 전지 성능이 열화되지 않았다. 니켈, 코발트 없이 전극 무게 기준 약 1050Wh/kg(킬로그램 당 킬로와트 ... ...
이전
1
2
3
4
5
6
7
8
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