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원고
등본
복사
사본
글초
초단
초벌그림
뉴스
"
초고
"(으)로 총 145건 검색되었습니다.
세상에서 가장 얇은 유리 결정 만들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5.10
미국 로렌스버클리국립연구소(LBNL) 및 연세대 기초과학연구원 나노의학연구단의
초고
분해능 투과전자현미경을 이용해 새로운 물질 구조 분석에 성공했다. 연구팀은 원자 단위 이미징을 통해 1나노미터(nm, 10억분의 1미터) 미만의 두께를 갖는 세상에서 가장 얇은 1차원 게르마늄 칼코겐화합물 단일 ... ...
[프리미엄 리포트] 풍선에 매달린 기상관측·우주과학
2023.04.08
중국의 주장은 명료하지 않다. 일반적인 기상 관측용 풍선과는 재질과 구조가 다른
초고
압력기구이기도 하거니와 장기 체공을 염두에 둔 태양광 패널까지 장착돼 있었기 때문이다. 이 교수는 “추진 장치 없이 단순 바람의 흐름을 이용해 지구 반 바퀴를 돈 풍선으로 특정 군사시설을 정찰하는 것은 ... ...
머리카락 100분의 1 크기 픽셀로
초고
해상도 디스플레이 구현
동아사이언스
l
2023.02.22
복잡한 공정 없이 마이크로미터 스케일의 초소형 픽셀을 만들 수 있다"며 "차세대
초고
해상도 디스플레이와 나노 광전소자에 응용될 기반 기술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발광다이오드(LED) 소자 위에서 집속 이온 빔 조사로 픽셀을 만들고 있다. KAIST ... ...
[주말N수학] 日 수학자, K-드라마 보고 n차원 별자리 정리 풀었다?
수학동아
l
2023.02.18
2020년 12월 드디어 n차원에서도 원하는 모양의 별자리를 항상 만들 수 있다는 내용의 논문
초고
를 완성했습니다. 이후 다른 수학자가 논문을 조금 더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간결하게 수정해 2022년 4월 인터넷에 공개했습니다. 이 논문은 현재 학술지에 게재 신청을 한 상태로, 수학자들의 검증을 ... ...
[과학게시판] 원안위, 신한울 2호기 현장방문 및 간담회 개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3.01.27
등 바이오 전자현미경 분석 전문가로 꼽힌다. 또 2015년 세계 최초의 바이오 전용
초고
전압 전자현미경과 2016년 국내 최초의 초저온 투과전자현미경를 구축한 공로로 2018년에 국무총리 표창도 수상했다.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는 26일 '경제위기 극복을 위한 산업계 연구개발 활력제고 간담회'를 ... ...
[주말N수학] 임선희 교수 "여러 세대가 쓰는 아이디어 내고 싶어"
수학동아
l
2023.01.21
지치면 제가 달랬습니다." Q. 논문을 언제 완성한 건가요. "2015년 미국에 있을 때
초고
를 완성했어요. 그때 논문의 내용을 MSRI에서 무려 4회에 걸쳐 시리즈 강연으로 설명해 달라는 요청이 들어왔어요. ‘이 분야 수학자들이 논문 내용을 세세하게 알아야 할 만큼 중요한 내용을 발표하는 건가 ... ...
이달의 과학기술인상에 반도체 소재 고성능화 이뤄낸 김윤석 교수
동아사이언스
l
2023.01.04
때문에 강유전성을 높이기 위한 복잡한 후처리 공정이 요구됐으며 실제 반도체 소자의
초고
집적화 실현에 어려움이 있었다. 김윤석 교수 연구팀은 강유전성 발현 정도가 산화물 재료 결정구조의 산소공공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는 것에 주목했다. 산소공공은 산화물 재료의 결정구조에서 산소 ... ...
의약품 특성 결정짓는 '카이랄성' 눈으로 확인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2.12.15
좌측 위부터 오른쪽 방향으로 연구를 지도한 교신 저자(고려대학교 융합에너지공학과/KU-KIST융합대학원 이승우 교수, 서울대학교 재료공학부 남기태 교 ... 구별할 수 있는 시대가 도래했다”고 밝혔다.
초고
민감도 분자 카이랄성 측정기술 개발
초고
민감도 분자 카이랄성 측정기술 개발 ... ...
김정원 KAIST 교수, 美 광학회 석학회원 선출
동아사이언스
l
2022.11.25
광섬유 및 마이크로공진기를 기반으로 하는 광원들의 잡음현상을 연구해왔다.
초고
속
초고
분해능 펄스비행시간 센서 등 새로운 응용 분야를 개척했다는 평가다. 김 교수는 미국광학회에서 발간하는 `옵틱스 레터스' 편집위원, 레이저 분야 최대 학회인 `레이저 및 전자광학 국제학술회의 광계측 ... ...
제임스웹 이을 차세대 우주망원경 도전 과제는 암흑에너지와 우주 전체 촬영
동아사이언스
l
2022.07.15
약13조원), 25년이 소요된 JWST는 올해부터 본격적인 관측에 나서게 된다. JWST가 이날
초고
선명 풀컬러 사진을 공개하며 깜짝 데뷔했지만 벌써부터 후속 우주망원경들의 도전이 이어지고 있다. 미국을 포함해 유럽과 일본, 중국이 줄지어 우주망원경을 개발하고 있다. 한국 역시 미국과 함께 ... ...
이전
1
2
3
4
5
6
7
8
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