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축적
적축
누적
적립
축재
쌓아올림
쌓기
뉴스
"
집적
"(으)로 총 336건 검색되었습니다.
ETRI, 데이터 폭증 해결 광원 소자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01.24
에너지 소모 절감을 가능하게 했다. 광출력 세기를 모니터링하는 광검출기 단일
집적
을 통해 기존 별도의 광검출기 사용 구조 대비 단일 채널 광모듈은 물론 800G/1.6Tbps급 광모듈 제작에서 패키징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게 됐다. 연구진이 이번에 개발한 224Gbps 전계흡수변조형 광원 소자는 ... ...
[과기원NOW] 땀·털·각질 영향 덜 받는 ‘웨어러블 로봇’ 등장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1.24
접착성이 있는 전도성 기판에 피부 각질층을 통과할 수 있는 마이크로니들 어레이를
집적
해 고품질의 근전도 측정이 가능하도록 했다. 연구 결과는 17일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어드밴시스’에 게재됐다. ■ 광주과학기술원(GIST)은 국가안보를 위한 소형·경량·저전력 3차원 라이다와 인공지능 ... ...
622조원 투입 '세계 최대·최고 반도체 메가 클러스터' 키운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1.15
기업과 관련 기관이 밀집한 지역 일대를 의미한다. 현재 19개의 생산팹과 2개의 연구팹이
집적
된 메가 클러스터에는 2047년까지 총 622조원의 민간 투자를 통한 총 16개(생산팹 13개, 연구팹 3개)의 신규팹이 신설된다. 특히 2027년에는 생산팹 3기, 연구팹 2기가 완공된다. 2102만m2 면적으로 조성되는 메가 ... ...
0.6초만에 수소 누출 감지하는 차세대 센서
동아사이언스
l
2024.01.10
개발했다. 연구팀이 개발한 센서 소자는 히터와 감지 물질이 동일 평면상에 나란히
집적
돼 있다. 기존 센서는 히터-절연층-감지 물질이 수직으로 적층된 구조다. 감지 물질인 팔라듐 나노 소재는 '공중부양'된 구조로 하단부까지 공기 중에 노출돼 있다. 이를 통해 가스와의 반응 면적을 극대화해 ... ...
[과기원NOW] DGIST, 빛으로 작동하는 신개념 광 GPU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1.10
GPU를 하나의 GPU로 구현하는 기술이다. 공동 연구팀은 광-GPU의 단위 구성요소인 가변형 광
집적
회로에 'MEMS 기술'을 적용했다. MEMS 기술은 작고 미세한 크기의 기계적 및 전자적 요소들을 통합하여 시스템을 만드는 기술이다. 이를 통해 대기전력 소모를 기존 대비 100만배 이하로 낮춰 발열 문제를 ... ...
KAIST '전자 코' 기술, 2023년 10대 나노기술 선정
동아사이언스
l
2023.12.29
㎛, 100만분의 1미터) 크기의 초소형 LED 바로 위에 고민감도의 금속산화물 나노소재가
집적
된 광활성식 가스센서 플랫폼을 개발했다. 가스 감지 소재로 활용되는 원리를 적용했고, 딥러닝 알고리즘을 이용해 여러 종의 가스를 실시간으로 높은 정확도로 선택적 판별을 하는 전자 코 기술을 ... ...
수천년 만리장성 보존 첨병은 '이끼'
동아사이언스
l
2023.12.08
가해지는 압력을 견디는 강도가 맨 흙벽 상태일 때보다 약 124% 높았다. 염류가 흙 속에
집적
되면서 토양의 물리적 특성을 변화시키는 토양 염류화 정도는 40% 가량 줄었다. 토양 염류화는 강수량이 적고 건조한 지역에서 많이 발생한다. 연구팀은 바로 이 점 때문에 바이오크러스트가 춥고 건조한 ... ...
[과기원NOW] KAIST 김용대-조성환 교수, 2024 IEEE 석학회원 선임 外
동아사이언스
l
2023.12.01
보안전문가로 인정받는다. 조성환 교수는 반도체
집적
회로설계 전문가로 아날로그
집적
회로 분야에서 도전적인 연구로 기술 발전에 중요한 기여를 해 왔다. 한국에선 처음으로 IEEE 회로 및 시스템 소사이어티 최고논문상을 수상하고 국제반도체회로 학술대회(ISSCC) 극동지역 우수논문상도 수상했다 ... ...
[나는 1저자다] ⑥"외국인 연구자를 위한 일자리 정보 부족"
동아사이언스
l
2023.12.01
양자비트로 활용하는 것이다. 개별 양자비트의 크기가 1나노미터(nm) 이하로 구성된 양자
집적
회로를 구현해 양자비트 간 정보 교환을 원자 단위에서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는 능력을 확보했다. 초전도체 등 특수한 재료를 사용해야 하는 다른 플랫폼과 달리 다양한 원자를 양자비트의 재료로 선택할 ... ...
장비 구매기간 줄이고 연구자 기술료 보상 올리고…尹정부 R&D혁신안
동아사이언스
l
2023.11.27
이에 필요한 운영인력을 함께 지원한다. 대학 내에 R&D 자원(인력·정보·지식)이
집적
되고 대학의 연구역량을 확충할 수 있도록 대학 내 연구소와 같은 연구기반 구축 지원을 확대할 예정이다. 유망한 젊은 과학자가 세계적 수준의 독립된 연구자로 빠르게 성장하도록 초기 연구실구축에 최대 ... ...
이전
1
2
3
4
5
6
7
8
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