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유동체
액체
유형
동체
뉴스
"
유체
"(으)로 총 410건 검색되었습니다.
[사이언스게시판] 국립중앙과학관 30일 ‘드론배틀 체험장’ 오픈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7.29
핵심기술, 고민감 고정밀 자동화 체외 진단 의료기기 기술, MSR(Molten Salt Reactor)
유체
기기용 소재 부식 대응·평가 기술, 비귀금속 전극 촉매 기반 음이온 교환막 연료전지 기술 등에 대한 연구과제를 평가했고 두 기관은 이번 평가를 바탕으로 협력을 통한 연구 성과를 도출할 예정이다. ■ ... ...
[과기원NOW] KAIST, 항암제 효과 평가할 종양모델 칩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7.16
활용도를 이용해 3가지 서로 다른 조성으로 이뤄진 36개의 종양 모델을 하나의 미세
유체
소자에 집적시켰다. 세포를 배양해 물질 수송 핵심 구조물인 혈관벽과 종양 덩어리를 모사해 하나의 소자에서 12가지 실험조건의 약물 평가를 수행했다. 바이오프린팅과 랩온어칩 통합기술을 통해 체외 종양 ... ...
기후위기가 가져온 나비효과…홍수·가뭄이 지진 일으킨다
과학동아
l
2024.07.13
실제와 같다면 지하 틈새에
유체
가 채워져 공극압이 높을 땐 지진파의 속도가 느려지고
유체
가 적어 공극압이 낮을 땐 지진파의 속도가 빨라질 테니 말이죠. 결과는 어땠을까요. 시뮬레이션한 값은 정확하게 지진파 속도와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습니다. 시뮬레이션 결과 공극압 수치가 높은 구역은 ... ...
액체 방울 제조 기술로 '인공세포' 만들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5.31
반응들을 정확하게 재현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연구팀은 ‘드롭릿 기술’이라는 미세
유체
기술을 이용했다. 마이크로미터 규모에서 액체 방울을 정교하게 제조하는 드롭릿 기술을 토대로 양친매성 고분자가 스스로 자기조립되도록 유도해 마이크로미터 규모의 폴리머좀을 합성했다. ... ...
액체 기반 뉴로모픽 컴퓨팅 소자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4.26
진법이 아닌 여러 종류의 신호를 활용한 병렬적 학습과 추론이 가능하다. 박 교수는 "
유체
기반의 뉴로모픽 컴퓨팅 기술은 뇌 신경세포의 환경 및 작동원리를 가장 가깝게 모사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라며 ”뇌-컴퓨터 인터페이스(BCI) 및 생체 삽입형 바이오 센서 분야에도 활용이 ... ...
"인간 활동으로 땅속
유체
이동속도 빨라져…미생물에도 변화"
동아사이언스
l
2024.04.26
할 때로 보았다. 연구팀은 “현재의 기후 위기 해결책으로 제안된 전략들과 함께 땅속
유체
흐름에 대한 연구가 함께 진행돼야 한다”며 “지하층까지 책임 있는 관리를 할 때 지속 가능한 미래를 만든다”고 말했다 ... ...
실제 심장 같은 인공장기 나왔다…미세환경 구현해 임상 활용
동아사이언스
l
2024.04.25
등 동적 미세흐름을 구현하고자 미세
유체
칩을 활용한 동적 배양법도 개발했다. 미세
유체
칩은 마이크로 크기의 채널들로 연결된 오가노이드 챔버와 배양액 챔버를 교반기 위에 올려놓는 방식으로 미세흐름을 제공한다. 기존의 정적 배양법과 달리 산소와 영양분을 오가노이드 내부로 끊임없이 ... ...
가상현실서 이동해도 뇌 속 GPS세포 활성화 첫 입증
동아사이언스
l
2024.04.14
개발하기 위한 후속 국제협력연구를 진행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VR 기술을 이용해
유체
이탈 같은 위치에 대한 환각 증상이 나타날 때 뇌 속 세포가 활성화 되는 현상 실험을 설명하는 그림이다. KIST ... ...
동력 20% 절감 기술로 축류펌프 국산화
동아사이언스
l
2024.04.09
블레이드의 각도를 일치시킬 때 성능이 최대가 된다는 논리다. 최적 효율점이 아닐 때도
유체
의 양에 따라 IGV 각도가 자동으로 변경돼 펌프의 동력을 절감할 수 있다. 김 수석연구원은 “최적 효율점이 아닌 구간에서도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는 가변형 축류펌프 설계기술은 세계적으로도 유례가 ... ...
조용히 차 따르려면…커피와 차의 과학
과학동아
l
2024.03.23
이용해 이때 발생하는 소리를 측정하고 카메라로 물이 떨어질 때 원통 내부의 거품과
유체
의 흐름을 촬영했다. 그 결과, 물 속으로 떨어지는 물줄기가 갈라질수록 물이 떨어지는 소리가 더 크다는 사실을 밝혔다. 물소리는 물줄기가 가늘수록 더 컸다. 연구팀은 물을 따를 때 발생하는 소리 크기 ... ...
이전
1
2
3
4
5
6
7
8
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