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온도계"(으)로 총 59건 검색되었습니다.
- [H의 맥주생활 (19)] 집에서 맥주 만들 때 필요한 것 2가지는?2017.01.27
- 싹튼 보리), 홉, 효모 같은 맥주 재료 말고도 큰 냄비, 발효조, 주걱, 소독약, 곡물 주머니, 온도계, 비중계 등 준비해야 할 장비가 너무 많다. 이걸 하나하나 구할 필요는 없다. 서울홈브루, 크래프트브루어, 굿비어, 비어스쿨과 같은 재료 판매 사이트에 들어가면 15만~20만원 정도에 필요한 장비를 ... ...
- [후루룩촵촵] 노릇노릇한 고등어를 구워라!!!동아사이언스 l2017.01.23
- 빠져 나가다 약 60℃가 되면 콜라겐이 젤라틴이 되고 육즙도 빠져나가지 않습니다. 온도계 없이도 생선을 맛있게 굽은 방법은, 먼저 프라이팬을 센 불로 달군 다음 기름을 두르고 고등어를 올립니다. 프라이팬에 닿은 한쪽 면이 노릇하게 익으면 생선을 뒤집고 불을 약하게 줄여 천천히 안쪽까지 ... ...
- [영상] 온도는 어떻게 탄생했을까? 과학동아 l2017.01.18
- 300년이 채 되지 않습니다. 지금은 너무도 당연한 100℃에서 끓는 ‘물’을 기준으로 하는 온도계가 끊임없는 실험과 의문에서 나왔다는 걸 기억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 ...
- Quiz. 귀뚜라미가 많이 우는 날은 더운 날? 추운 날?2016.09.10
- 주변 온도에 매우 민감한 곤충입니다. 1897년 미국의 과학자 아모스 돌베어는 ‘온도계 구실을 하는 귀뚜라미’라는 제목으로 14초 동안 귀뚜라미가 우는 횟수에 40을 더하면 바로 그때의 화씨온도를 알 수 있다는 논문을 발표했는데요. 예를 들어 14초 동안 귀뚜라미가 20회 울었다면 화씨 60도가 되고 ... ...
- 집에 갓 데려온 강아지, 목욕시켜도 될까요?동아사이언스 l2016.09.02
- 모르는 백지 상태였습니다. 그렇다고 제가 강아지 목욕시키는데 물 온도 재겠다고 온도계를 들고 들어갈 수도 없는 노릇이고요. 다만 그간 목욕탕을 다닌 상식으로 볼 때, 체온이랑 온도가 비슷하면 미지근하게, 그보다 좀 높으면 물이 따끈따끈하게 느껴진다는 것을 알고 있었습니다. 그래서 ... ...
- 유전자 하나만 꺼도 무더위 못 느낀다2016.08.22
- 것일까. 물론 알코올 온도계처럼 100도가 넘는 범위의 온도를 정량적으로 알려주는 온도계는 없지만 우리 몸에는 여러 종류의 온도센서가 있어서 그 반응의 조합으로 외부 온도를 지각한다는 사실이 알려져 있다. 즉 차가움에 반응하는 냉센서가 있고 뜨거움에 반응하는 열센서가 있다. ● 여러 ... ...
- “스마트홈 결론은 말로 일 시키는 집사”… 글로벌ICT기업들 시장선점 경쟁 치열동아일보 l2016.04.11
- 라이프’라는 스마트홈 서비스를 발표한 뒤 현재 미국 70여 개 지역에서 도어록과 온도계, 폐쇄회로(CC)TV 등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곽도영 기자 now@donga.com - 이용섭·양향자, ‘5공식 발상’ 안철수에 “삼성車 유치 공개토론” 제안 - 더민주 “비례 포함해도 100석 어렵다…새누리 180석 가능” - ... ...
- 英-佛 절대온도(K) 논란, 한국인 과학자가 해결2015.10.30
- 양인석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책임연구원이 음향기체온도계를 이용해 온도 측정 연구를 하고 있다. -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제공 영국과 프랑스의 ‘켈빈 전쟁’이 한국인 과학자에 의해 ‘평화적으로’ 끝났다. 켈빈(K)은 절대온도 단위로 영하 273.15도를 0K으로 나타낸다. 2018년 개최되는 ... ...
- 인천대교 ‘건강검진 시스템’ 24㎞ 말레이시아 최장 다리에도 적용 2015.05.26
- 응력 측정 센서와 변형되는 정도를 측정하는 가속도계, 진동 측정 센서, 풍향·풍속계, 온도계 등을 설치해서 다리의 전반적인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시스템이다. 이제이텍은 페낭2교에 기존 교량계측시스템의 단점을 보완한 첨단 시스템을 구축할 계획이다. 부식에 약했던 금속 센서를 ... ...
- 온도계 읽듯 간편한 심근경색 진단기 개발2015.05.09
- 부어 주면 산소가 발생하면서 유리병 뚜껑에 연결된 모세관 속 잉크 방울이 온도계처럼 위로 올라간다. 반면 혈액 속에 트로포닌I가 없는 경우에는 병 속 내용물을 쏟아버릴 때 백금나노입자까지 배출돼 산소가 발생하지 않는다. 전 교수는 “트로포닌I이 0.1ng(나노그램) 정도만 있어도 10분 만에 ... ...
이전12345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