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착오
잘못
착류
균차
뉴스
"
오차
"(으)로 총 538건 검색되었습니다.
체내에서 임무 수행 뒤 녹아 없어지는 다기능 의료로봇
동아사이언스
l
2024.05.20
로봇 표면에는 미세 패턴을 새겨 원하는 방향으로 정확히 휘어질 수 있도록 했다.
오차
는 약 1˚에 불과했다. 로봇은 자기장에 반응해 초속 1.2cm 속도로 이동했다. 연구팀이 개발한 로봇도 기존 소프트 로봇처럼 유충이나 손가락, 덩굴 식물 등의 움직임을 구현할 수 있었다. 쥐 실험을 통해 검증한 ... ...
고온의 굴뚝 미세먼지 실시간 측정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05.14
장치에 들어오는 배출 가스의 속도를 느리게 만들어 굴뚝 유속 변화로 발생하는 측정
오차
를 줄였다. 이를 통해 미세먼지의 정확한 측정이 가능하도록 했다. 연구팀은 또 굴뚝 내부 압력, 온도 등 다양한 환경 변화에도 배출 가스의 일정한 양을 추출하기 위해 공기 주입량을 자동으로 제어할 수 ... ...
[人투더스페이스]⑦ "우주기업 도전 여건 충분…실패 용인 프로그램도 필요"
동아사이언스
l
2024.05.10
말했다. 이노스페이스는 엔진 연소 시험을 수천회 실시하고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했다.
오차
범위를 줄이고 발사체 성능을 일관되게 유지하기 위해서다. 이같은 노력은 현재 이노스페이스만의 경쟁력으로 자리매김했다. 2차 발사는 내년 3월이 목표다. 1차 시험발사와 마찬가지로 브라질 ... ...
암흑에너지 규명 위해 1년간 데이터 모아보니 "기존 우주론 맞나"
동아사이언스
l
2024.04.15
오차
범위 0.5%로 측정했다. 지금으로부터 80~110억년 전 사이의 초기 우주의 역사는 1%
오차
이내로 정확하게 측정해 지도로 만들어졌다. DESI 연구팀은 추가 데이터를 모아 은하 3700만 개와 퀘이사 300만 개가 포함된 우주 지도를 만들 계획이다. 약 600만 개의 은하와 퀘이사의 거리와 방향이 찍혀 ... ...
[人투더스페이스]① "우주항공청이 강력하고 일관된 비전 제시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24.04.12
파악해야 한다. 현재 미국에서 궤도를 돌고 있는 물체의 데이터를 공유해주긴 하지만
오차
가 크다. 위성의 정확한 궤도 정보를 예측하는 비용은 매우 비싸 개인이 활용하기엔 부담스럽다. 우주로테크에서는 현재 소프트웨어 설치 형태로 궤도 정보 모니터링을 제공하고 있다. 앞으로 성능과 ... ...
최대 규모 '3D 우주 지도' 공개…"기존 우주론 수정해야 할지도"
동아사이언스
l
2024.04.05
연구팀은 "전체 우주의 역사에서
오차
가 0.5%, 80억년에서 110억년 사이의 초기 우주에서
오차
가 0.82% 정도인 높은 정밀도로 계산했다"고 말했다. 연구팀은 암흑에너지가 일정한 값을 가질 것이라 예상했으나 시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기했다. 기존 이론에 따라 암흑에너지가 일정하면 ... ...
눈물로 '혈당' 측정…혈액 측정기와
오차
거의 없어
동아사이언스
l
2024.04.05
‘일치 오류 격자’ 분석에서도 눈물을 통한 예상 혈당 수치와 혈당 측정기 결과값은
오차
가 거의 없었다. 이용호 교수는 “눈물을 이용한 혈당 분석 연구에 시간개념을 도입해 눈물당과 혈당 수치의 상관관계를 명확히 확인했다”며 “스마트 콘택트렌즈는 콜레스테롤, 안압 등도 정확히 ... ...
지구온난화가 지구 시간도 바꾼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3.29
지구의 자전 속도는 일정하지 않고 계속 미미하게 변하기 때문이다. 둘 사이의
오차
를 줄이기 위해 사람들은 1972년부터 UTC에 시간적인 불연속 값인 '윤초'를 계속 1초씩 더해 왔다. 원자시계로 잰 UTC가 지구의 자전을 기준으로 잰 시간보다 느려 이를 보정했다는 뜻이다. 애그뉴 연구원은 ... ...
한국 인공태양 'KSTAR' 1억도 플라즈마 운전 30초에서 48초로 신기록
동아사이언스
l
2024.03.20
프린스턴 플라즈마 물리연구소(PPPL)와 공동연구를 통해 KSTAR의 외부 자기장을 이용한
오차
자기장 최적화 모델을 개발했다. 플라즈마 가장자리와 중심 부분의 불안정성을 동시에 안정화시킬 수 있는 방안을 실험으로 입증하는 데 성공한 바 있다. 이같은 성과는 지난달 국제학술지 ‘네이처 ... ...
AI로 불길 찾고 로봇이 불 끄고...소방관 지키는 과학기술
동아사이언스
l
2024.02.16
인식에 실패했다. 팬-틸트 시스템은 움직이는 목표물을 추적하는 실험에서 5% 이내의
오차
범위를 기록하며 우수한 성능을 확인했다. ● 화재 진압 로봇도 등장 기다란 호스 형태의 소방 로봇 '드래곤 소방대원'이 2m 높이를 비행하며 물을 분사하고 있다. 일본 도호쿠대 제공 화재를 진압하는 첨단 ... ...
이전
1
2
3
4
5
6
7
8
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