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silicon
실리콘밸리
밸리
합성수지
규소수지
규소
silicone
뉴스
"
실리콘
"(으)로 총 766건 검색되었습니다.
韓 과학자 독창성, 2차원 반도체 소재 장벽 돌파
동아사이언스
l
2025.02.21
특성이 크게 떨어진다. 원자 1개 두께에서도 전기적 특성을 유지하는 2차원 물질이
실리콘
대체 물질로 유망한 이유다. 특히 몰리브덴(Mo) 등 전이금속과 황(S) 같은 칼코겐원소가 결합한 전이금속칼코겐화물(TMD)은 전기적·광학적 특성이 우수해 주목받는 2차원 반도체 물질이다. 현재 2차원 반도체 ... ...
포스텍, 페로브스카이트 기반 이미지 센서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5.02.18
TFPD)’ 기술을 개발했다. TFPD란 빛을 모으는 얇은 장치다. 개발한 기술을 기존
실리콘
센서와 결합해 2D와 3D 이미지를 동시에 처리하는 혁신적인 이미지 센서를 구현했다. 연구팀은 이미지 센서에 ‘간접 비행시간 측정(i-ToF)’ 기술도 도입해 기존 센서보다 훨씬 빠르고 정확하게 물체의 깊이 ... ...
우주환경 모사해 차세대 전력반도체 성능 평가
동아사이언스
l
2025.02.17
전력 변환을 제어하는 등 사람 몸의 근육 같은 역할을 한다. 현재 전력반도체 소재로는
실리콘
(Si)이 가장 많이 활용되지만 차세대 소재로 SiC, 다이아몬드 등 성능과 내구성이 뛰어난 전력반도체가 주목받고 있다. 우주방사선은 전력반도체의 전기적 특성을 저하하는 원인이다. 미국이나 유럽을 ... ...
[특별기고] CES서 현실이 된 AI와 '딥시크' 충격, 우리는?
2025.02.11
주장대로라면 딥시크를 창업한 런원펑은 좋은 장비 덕에 이런 혁신을 만들어 낸 건가.
실리콘
벨리의 기라성 같은 기업들은 하드웨어가 부족해서 딥시크 충격에 빠진 건가. 런원펑의 혁신은 데이터를 학습하는 방식, 강화학습에 대한 새로운 접근 같은 알고리즘과 소프트웨어의 혁신 아닌가. 채용 ... ...
ETRI, 美 아르곤국립연구소와 반도체 기술 연구 추진
동아사이언스
l
2025.01.17
검출하기 위한 디텍터와 디텍터에서 생성된 전기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CMOS가 집적된
실리콘
반도체를 말한다. ETRI와 아르곤국립연구소는 앞으로 우주 환경에서 발생하는 고에너지 입자를 검출·분석하기 위한 새로운 반도체 기술 개발에 힘을 모을 예정이다. ETRI는 고온 및 저온 환경과 방사선이 ... ...
건축물·차량 외관에 '딱'…고효율 반투명 태양광전지
동아사이언스
l
2025.01.13
전기로 변환하는 태양전지는 기후위기에 대응하는 청정에너지원이다. 현재 상용화된
실리콘
기반 태양전지는 부피가 크고 무거우며 불투명한 특성이 있어 도심 건축물과 조화를 이루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반투명 유기태양전지는 건축물·차량의 유리창, 디스플레이 등 투명한 부분에 적용할 수 ... ...
단일 소자, 다용도 활용…고성능 2차원 반도체 소자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12.30
클수록 반도체에 흐르는 전류 양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어 성능이 우수하다. 기존
실리콘
반도체에서 켜짐/꺼짐 전류비는 보통 1억 이하고, 다른 양극성 2차원 반도체도 n형과 p형에서 켜짐/꺼짐 전류비가 동시에 1억 이상인 경우는 없다. 연구결과는 2차원 반도체 공정 효율성을 높이고 회로 ... ...
햇빛으로 자가 충전하는 국내 첫 고성능 에너지 저장 장치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12.19
장기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했다. 나아가 연구팀은 슈퍼커패시터에
실리콘
태양전지를 결합했다. 태양광 에너지를 모아 스스로 충전하고 저장해 실시간으로 활용할 수 있는 슈퍼커패시터를 만든 것이다. 이 시스템은 63%의 에너지 저장 효율과 5.17%의 전체 효율을 기록해 자가 충전 ... ...
전이금속 없이
실리콘
화합물 '유기실란' 합성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4.12.15
연구팀은 분자 내에 포스포늄 루이스산을 도입해 플루오라이드 이온과 상호 작용하게 해
실리콘
과 플루오린 결합을 활성화하고 실란의 반응성을 높였다. 연구팀이 개발한 합성법은 실험실 수준을 넘어 산업적 활용이 가능한 그램 스케일(gram-scale)에서도 유용하다는 점이 확인됐다. 유기실란 ... ...
입자빔으로 반도체 기판 부풀려 성능 개선
동아사이언스
l
2024.12.10
절연막이 팽창하면서 위쪽 반도체 박막이 잡아당겨졌다. 실험 결과 입자빔이 주입된
실리콘
산화절연막은 1.18% 팽창하면서 박막을 잡아당겼다. 기판의 전하 이동도는 기존보다 최대 2.5배까지 상승한다는 사실이 확인됐다. 연구팀이 사용한 산화아연은 결정 구조에서 산소 원자(O)가 빠진 결함이 많이 ... ...
이전
1
2
3
4
5
6
7
8
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