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스위취
개폐기
전환기
스윗
스윗치
switch
스위치무역
뉴스
"
스위치
"(으)로 총 248건 검색되었습니다.
쓸모없는 줄 알았던 '정크유전자' 알고보니 노화·발암에 관여
동아사이언스
l
2023.05.15
유전체의 불안정성이 발견돼 후성 유전체의 변화가 L1 점핑 유전자의 활성을 조절하는
스위치
임을 확인했다. 연구팀은 세포들의 배아발생과정을 추적해 이러한 후성 유전체 불안정성의 대다수가 초기 배아 발생과정에 형성됐음을 증명했다. 이번 연구는 향후 더 많은 조직에서 L1 점핑유전자 ... ...
신소재 '중고 신인' 강유전체...신경모방 컴퓨팅 미래 밝힌다
과학동아
l
2023.04.29
반도체의 가장 기본적인 소자인 트랜지스터 소자와 구조가 동일한데, 트랜지스터 고유의
스위치
기능에 더해 강유전체로 인한 메모리 기능까지 동시에 할 수 있습니다. 트랜지스터 겸 메모리로서 PIM 기술에 사용하기 적합하죠. 또한 잘 제어된 전기 신호를 활용하면 여러 분극 상태를 구현할 수도 ... ...
[주말N수학] 수학자가 사람 살리는 '수리생물학'에 빠진 사연
수학동아
l
2023.04.08
인산화
스위치
가 온도에 따라 다른 행동을 하더라고요. 그래서 벌십 교수에게 인산화
스위치
를 고장 낸 다음에 온도 변화를 주는 실제 실험을 해보라고 제안했어요. 실제로 그렇게 실험해보니 24시간 주기가 깨지더라고요. 결과를 듣고 ‘꺅!’하고 소리를 질렀습니다." 김 교수가 해결한 ... ...
바이오제약사 '우주 러시' 이유 있다...우주의학 연구 '봇물'
동아사이언스
l
2023.04.07
마이크로퀸의 연구는 세포 내부 환경 조절 단백질 TMBIM을 암 세포 사멸을 유도하는 '
스위치
'로 활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이목을 끌었다. 특히 연구 성과를 우주 공간에서 얻어내 학계를 놀라게 했다. 우주가 의학은 물론 인류의 미래를 바꿀 획기적 발견을 연구하는 공간으로 떠오르고 있다. ... ...
[과기원은 지금] KAIST, AI로 코로나19 치료제 팍스로비드와 기존 약물 반응 분석 外
동아사이언스
l
2023.03.17
했다. ■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은 서병창 뇌과학과 교수 연구팀이 우리 몸 속
스위치
역할을 하는 G단백질의 주기가 G단백질 연결 수용체(GPCR)의 구조변화에 실시간으로 미치는 영향을 처음으로 규명하고 연구 결과를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에 게재했다고 16일 밝혔다. GPCR은 냄새,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불안감과 두근거림 어느쪽이 먼저일까
2023.03.08
박혀있다. 연구자들은 생쥐에게 빨간빛을 내는 마이크로LED가 달린 조끼를 입혔다.
스위치
를 켜면 빨간빛의 일부가 피부를 투과해 심장까지 도달해 통로단백질이 열려 세포 바깥의 양이온이 안으로 들어오며 신호가 발생한다. 그 결과 심박수가 평소(분당 660회)보다 36%나 빨라져 분당 900회에 ... ...
[씨즈더퓨쳐] 먹는 남성 피임약 개발 과학자에게 직접 들었다
2023.02.26
켜는 ‘
스위치
’ 역할을 한다. 우리가 개발한 약은 이
스위치
가 켜지지 않도록 막는다.
스위치
를 막을 수 있는 약물을 다양하게 시험해봤고, 그중 가장 효율이 높았던 건 TDI-11861이라는 물질이다. " 정자가 정액으로 나올 때 움직이기 시작하는 모습을 나타낸 영상. / 인스타그램 @seize.the.future 캡쳐 ... ...
나노기술로 암·알츠하이머 유발 단백질 형성 원리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1.10
세포 사이의 접합을 제어하는 구조인 접착연접이 순차적 절단 과정의 순서를 결정하는
스위치
역할을 하며, 정상적인 노치 신호 제어에 필수적이라는 사실을 밝혀냈다. 특히 노치 수용체와 리간드(수용체와 결합해 활성을 조절하는 물질)간 상호작용과 수용체의 첫 번째 절단 과정은 접착연접 구조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제설제 원리 적용한 냉장고 나올까
2022.12.27
차이를 구현했다. 즉 전기장을 가해 이온이 빠져나간 상태에서 EC의 어는점은 35도이지만
스위치
를 꺼 NaI가 유입돼 섞인 상태에서는 어는점 내림으로 6.4도까지 내려갔다. EC 결정이 녹으며 흡수하는 열에너지는 204줄(J)로 얼음이 녹아 물이 될 때 흡수하는 열에너지 330J에는 못 미치지만 꽤 컸다. ... ...
분노는 ‘팡’ 터지지 않고 서서히 끓어오른다
동아사이언스
l
2022.11.04
것이다. 연구진은 “분노를 느끼고 공격성을 지시하는 뇌의 시상하부는 끄고 켜는
스위치
보다는 서서히 음량을 올리는 볼륨 조절기와 가깝다”며 "볼륨이 일정 수준을 넘어서면 마치 그릇에서 물이 넘치는 것처럼 공격 행동이 표출된다"고 설명했다. 공격성을 표출하는 과정에서 뇌의 ... ...
이전
1
2
3
4
5
6
7
8
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