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설계도"(으)로 총 4,701건 검색되었습니다.
- 지진 때 자동 탈출하는 이중문…전국학생과학발명품경진대회 대통령상에 이정민 인천과고 학생동아사이언스 l2025.08.28
- 이정민 학생의 발명품은 '지진 발생 시 자동 탈출 가능한 이중문(왼쪽)', 엄주연 학생의 작품은 '첫 장이 깔끔히 뽑히는 휴지 갑'이다. 과기정통부 제공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정통부)과 국립중앙과학관은 제46회 전국학생과학발명품경진대회 대통령상 수상자로 이정민 인천과고 3학년 학생을, 국 ... ...
- 뇌 깊숙이 약물 전달하는 무선 장치동아사이언스 l2025.08.28
- (왼쪽부터) 장경인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로봇및기계전자공학과 교수, 송수정·이혁준 석박사통합과정생. DGIST 제공. 인간의 위장 운동을 모사한 펌프 구조를 이용해 뇌 깊은 부위까지 정밀하게 약물을 전달할 수 있는 장치가 개발됐다. 파킨슨병, 간질 등 난치성 뇌질환 치료에 활용될 수 있을 ... ...
- 韓 독자설계 장비로 암흑물질 '액시온' 탐색범위 넓혔다동아사이언스 l2025.08.28
- 윤성우 기초과학연구원(IBS) 암흑물질 액시온 그룹장(CI, Chief Investigator) 연구팀이 고질량 액시온 탐색을 위해 자체 개발한 공진기 구조. IBS 제공 국내 연구팀이 자체 개발한 도구로 유력한 암흑물질 후보인 '액시온(Axion)'의 탐색 범위를 확장하고 민감도를 향상하는 데 성공했다. 기초과학연구원(IBS) ... ...
- 중력파로 노벨 물리학상 받은 라이너 바이스 92세로 별세동아사이언스 l2025.08.27
- 천재 물리학자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이 100년 전에 예측한 중력파의 존재를 최초로 증명해 낸 공로로 2017년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한 라이너 바이스 미국 매사추세츠공과대학교(MIT) 명예교수가 92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다. 위키미디어 제공 천재 물리학자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이 100여년 전에 예측한 ... ...
- 맥주마다 다른 거품 지속시간…비밀은 발효 방식동아사이언스 l2025.08.27
- 맥주 잔 속 거품을 과학 장비로 관찰해 겹쳐놓은 모습. CREDIT/AIP/Chatzigiannakis et al. 맥주 잔 위에 하얗게 올라오는 거품은 단순히 눈요깃거리가 아니다. 전문가에게는 발효가 잘 됐는지를 가늠하는 기준이 된다. 소비자에게는 맥주의 신선함과 완성도를 보여주는 상징으로 여겨진다. 어떤 맥주는 거 ... ...
- 출연연 개발 우주 태양전지 우주로 향한다…11월 누리호 실증동아사이언스 l2025.08.27
-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과 플렉셀스페이스가 개발한 CIGS 태양전지 샘플. 한국에너지연구원 제공 한국 태양전지가 우주로 향한다.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이하 에너지연)과 우주 태양전지 전문기업 플렉셀스페이스가 차세대 우주용 이중접합(탠덤) 태양전지 공동 개발에 착수했다. 27일 에너지연에 ... ...
- “비만치료제 위고비, 20년 후 대사·만성질환 치료제 될 것”동아사이언스 l2025.08.26
- 왼쪽부터 손종우 KAIST 생명과학과부 교수, 줄리 브로에 오노레 노보 노디스크 한국법인 선임이사, 송민호 KAIST 의과학대학원 교수. 박정연 기자 hesse@donga.com "비만은 당뇨처럼 장기 관리가 필요한 만성질환으로 인식돼야 합니다. 10~20년 뒤에는 '위고비'와 같은 글루카곤 유사 펩타이드-1(GLP-1) 수용체 ... ...
- 인공 광합성에 더 가까이…전하 저장하는 분자 개발동아사이언스 l2025.08.25
- 올리버 S. 웽어 스위스 바젤대 화학과 교수 연구팀이 개발한 특수 분자 이미지. 바젤대 제공. 식물이 태양 빛에너지를 화학에너지로 바꾸는 과정을 광합성이라 부른다. 결과물인 포도당은 생명활동에 필요한 에너지에, 산소는 호흡에 활용된다. 과학자들이 인공 광합성 연구에 중요한 전환점이 될 ... ...
- [과기원NOW] GIST, 기술경영(MOT) 포럼 개최동아사이언스 l2025.08.25
- 'AI, 산업전환 그리고 GIST의 역할' 포럼에 참석한 전문가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GIST 제공. ■ 광주과학기술원(GIST)은 22일 서울 엘타워 토파즈홀에서 ‘인공지능(AI,) 산업전환 그리고 GIST의 역할’을 주제로 기술경영 포럼을 개최했다고 25일 밝혔다. 이번 포럼은 AI 시대를 맞아 산업 전환과 ... ...
- 빛 세기 자유자재로 조절 나노 광소자 구현동아사이언스 l2025.08.25
- 이종원 UNIST 전기전자공학과 교수(아래줄 가운데) 연구팀. UNIST 제공. 국내 연구팀이 빛을 원하는 대로 꺾고 세기를 조절하며 색을 바꾸는 초소형 빛 제어 장치를 개발했다. 빛의 위상과 세기를 독립적으로 제어하는 전기 구동형 나노 광소자를 개발한 것이다. 차세대 양자 통신과 양자정보 처리 기술 ... ...
이전12345678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