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합성
조립
혼합
콤플렉스
구성
뉴스
"
복합
"(으)로 총 1,973건 검색되었습니다.
한국 나비 생태도감 온라인 무료배포…225종 3800장 사진 담겨
동아사이언스
l
2025.07.29
자료로 활용 가능하다"고 말했다. 주 저자인 정헌천 순천향대 한국자생동물자원활용융
복합
연구소 교수는 "본 도감이 나비들의 생태적 자료를 모두 완벽하게 담아냈다고는 할 수 없다"이라며 "지속해서 부족한 점들을 연구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현재 나방 도감을 출판하기 위해 편집 중이고 ... ...
'뇌질환 치료' 나노로봇 만드는 막스플랑크-연세 IBS 센터 개소
동아사이언스
l
2025.07.28
것이다"고 말했다. 윤동섭 연세대 총장은 "새로이 출범한 센터지만 최고 수준의 융
복합
연구센터로 도약할 수 있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 노도영 IBS 원장은 "우리 연구자들이 세계 무대에서 성장할 수 있는 연구 협력 기반을 더욱 확장하겠다"고 밝혔다. 정택렬 과기정통부 공공융합정책관 ... ...
수천겹 '전복 껍데기' 구조 모사한 유연·고강도 전자소재
동아사이언스
l
2025.07.28
혼합 비율에 따라 나타나는 초격자 층상, 실린더 구조(위). 일반 층상 구조보다 훨씬
복합
적인 '프랑크-카스퍼 상(Frank-Kasper phase)'의 전자현미경 이미지(아래). 포스텍 제공 연구팀은 물과 기름처럼 섞이지 않는 두 고분자를 하나로 연결한 '블록 공중합체(copolymer)'라는 소재를 활용했다. 여기에 양전하 ... ...
열매껍질로 만든 소재, 고성능 에너지 저장장치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7.25
여기에 코발트(Co)와 코발트 산화물(Co3O4)을 더해 자성을 띠는
복합
소재를 만들었다.
복합
소재는 외부에서 자기장이 더해지면 자석이 쇳가루를 한 방향으로 정렬시키는 것처럼 전극 물질의 방향을 질서정연하게 만드는 역할을 한다. 식물 기반의 탄소 소재와 코발트 기반의 자성 소재를 섞어 ... ...
[스페이스버드]⑦ '뉴 스페이스' 주도하는 KAI…"위성은 살아숨쉬는 존재"
어린이과학동아
l
2025.07.24
주고받는다. KAI는 차세대중형위성과 다목적실용위성과 같은 저궤도 위성, 정지궤도
복합
위성과 같은 정지궤도 위성 개발에 참여했다. 최상현 연구원은 "먼저 구조 조립실에서 인공위성의 뼈대를 담당하는 구조물을 제작하고 조립한 뒤 인공위성 작동에 필요한 부품을 구조물 안에 넣는다"고 ... ...
단백질·mRNA 필요할 때만 꺼내 쓰는 '릴리저'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5.07.23
어렵다는 점이 한계다. 연구팀은 특정 분자와 선택적으로 결합할 수 있는 단백질
복합
체를 활용해 릴리저 기술을 설계했다. 단백질이나 mRNA와 결합해 저장했다가 청색광을 받으면 방출하는 원리다. 빛이 없는 암흑 상태에서는 다시 결합한다. 인공 응축물 시스템 릴리저(RELISR) 개요. 청색광을 ... ...
신소재 '맥신' 이용해 해수로 전기 생산…친환경 수소 시대 앞당긴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7.23
고에너지 볼밀링 공정을 통해 산소 발생 촉매인 니켈페라이트(NiFe204)와 결합한 전극
복합
촉매를 제조했다. 고에너지 볼밀링은 높은 에너지를 사용해 재료를 분쇄하거나 혼합하는 공정기술이다. 연구진이 개발한 촉매는 기존 촉매보다 전류밀도가 약 5배, 내구성이 약 2배 향상됐다. 또 ... ...
전공의·의대생 복귀 특혜 논란…'입법 전선'으로 갈등 이동
동아사이언스
l
2025.07.22
여야는 공공의료 강화라는 명분 아래 환자단체 요구와 전공의 요구를 조율하는
복합
과제를 떠안게 됐다. 최근 복귀와 특혜 논란에 대한 주요 메시지는 여당에서 집중적으로 다뤄지고 있다. 더불어민주당은 7월 들어 공식석상에서 전공의·의대생 복귀 절차의 공정성과 형평성을 반복적으로 ... ...
식물도 '자가면역질환' 있다…원리 규명해 품종개량 방향성 제시
동아사이언스
l
2025.07.21
공동연구를 통해 초저온전자현미경(Cryo-EM)으로 식물 자가면역 반응을 유발하는 단백질
복합
체 'DM3'의 구조와 기능을 규명했다고 21일 밝혔다. 연구결과는 17일(현지시간) 국제학술지 '셀'에 공개됐다. 식물은 고유의 면역 시스템이 있고 종종 자기 단백질 구조를 병원균으로 오인해 스스로 공격하는 ... ...
아들부자·딸부자, 우연 아냐…초산 나이도 영향
동아사이언스
l
2025.07.21
출산하는 경우다. 이는 단순한 우연이라기보다는 초산 연령, 유전적·생물학적 특성 등이
복합
적으로 작용한다는 연구결과가 제시됐다. 결국 자녀 성별이 50대 50의 확률로 결정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하버드 보건대학원 등 공동 연구팀은 1956~2015년 미국 여성 5만8000여 명(출산 14만6000여 건)의 가족 ... ...
이전
1
2
3
4
5
6
7
8
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