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밧데리
축전지
건전지
전지
베터리
바테리
바떼리
뉴스
"
배터리
"(으)로 총 1,458건 검색되었습니다.
"전자, 돌아가지 말고 직진"…AI 연산 지름길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4.25
기술이 상용화되면 스마트폰, 태블릿, 노트북 같은 기기에서 AI가 더 빠르게 실행되고
배터리
사용 시간도 더 길어지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지난달 19일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에 게재됐다. - doi.org/10.1038/s41467-025-58004-0 전기화학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조기 대선 집어삼킨 AI 공약 현실적인가
2025.04.23
국과수의 정밀 감식 결과를 무시하고 '외부 합선'에 의한 화재를 방지하기 위해 보조
배터리
를 '비닐지퍼백'에 넣어서 기내에 반입하라는 국토교통부의 황당한 지침을 지적하는 적극적인 관심이 필요다. 연소 효율이 매우 낮은 암모니아를 혼합해서 연소시키는 '혼소'(混燒) 기술의 정확한 의미를 ... ...
최고 과학기술훈장 '창조장'에 이상엽·황규영 교수
동아사이언스
l
2025.04.22
웅비장은 세계 최초로 이차전지용 음극 원천소재 K-LTO 개발 및 사업화 성공으로 K
배터리
산업 경쟁력 강화에 기여한 김양수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책임연구원, 도약장은 실시간 재난재해 대응을 위한 ‘이음5G 기반 DNA+드론 플랫폼’을 세계 최초로 개발한 임채덕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
[사이언스영상] 하프 마라톤 달린 휴머노이드 로봇
SEIZE
l
2025.04.22
톈궁 울트라는 앞서 달리는 조종사의 동작을 따라 움직이는 방식으로 움직였다. 경기 중
배터리
를 교체한 건 총 3번이었다. 이번 대회는 중국이 휴머노이드 로봇 개발에 속도를 내고 있음을 보여준다. 중국 정부는 보조금과 산업 단지 조성 등을 통해 휴머노이드 산업을 적극 지원하고 있다. 량량 ... ...
소화기처럼 불 끄는
배터리
로 열폭주 막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4.21
억제·방지하는 안전성 혁신 기술”이라며 “국내외 원천특허를 기반으로 리튬이온
배터리
가 필요한 모든 분야에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머티리얼즈 사이언스 & 엔지니어링 R-리포츠’에 지난달 27일 게재됐다. - doi.org/10.1016/j.mser.2025.100 ... ...
초음파로 무선 충전 가능한 생체 삽입형
배터리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5.04.20
갖춘 초음파 수신기를 설계해 인체 곡면에 밀착하면서도 안정적인 전력 변환이 가능한
배터리
를 개발했다. 수신기는 수중 3cm 거리에서 20메가와트(mW)의 전력을, 피부로부터 3cm 깊이에서는 7mW 수준의 전력을 전송했다. 저전력 웨어러블 기기나 이식형 의료기기의 지속적인 구동에 충분한 전력량으로 ... ...
로봇개와 함께 달려볼까…주말 대전서 즐기는 기상천외한 과학 체험
동아사이언스
l
2025.04.18
KAIST는 대전컨벤션센터에서 연구 성과 전시관인 '호기심 연구소'를 열고 한 번의
배터리
충전으로 마라톤을 완주할 수 있는 4족 보행 로봇개 '라이보'를 전시한다. 라이보는 황보제민 KAIST 기계공학과 교수팀이 개발한 로봇이다. 성지현 KAIST 원자력·양자공학과 교수팀이 만든차세대 원자력 ... ...
세계 경작지 15%가 비소·카드뮴·납 등 중금속에 오염
동아사이언스
l
2025.04.18
일부 지역에 퍼져 있었다. 기후변화에 대처하는 데 필요한 풍력 터빈 구축이나 전기차
배터리
, 태양광 패널 생산이 확대되면서 토양 중금속 오염을 악화시킬 수 있다는 우려도 나왔다. 토양 중금속 농도만으로는 아직 위험성을 예측하기 어렵다는 지적도 제기됐다. 식물이 토양에 있는 중금속을 전부 ... ...
전고체
배터리
전해질 성능 높이는 핵심 메커니즘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25.04.16
향상시키는 메커니즘을 규명했다는 점이다"며 “향후 더욱 안전하고 고성능의 전고체
배터리
개발을 위한 후속 연구를 적극적으로 추진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연구결과는 3월 25일 국제학술지 ‘어드밴스드 에너지 메터리얼즈'에 게재됐다. -DOI.10.1002/aenm.20250053 ... ...
음극재 바꿔 전기차
배터리
충전속도·용량 모두 잡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4.16
구조와는 빠르게 반응하면서도 높은 안정성을 유지했다. 박 교수는 “차세대 고성능
배터리
개발의 새로운 이정표를 제시했다“며 ”전기차, 대규모 에너지저장시스템 등 응용 분야에서의 활용이 기대된다“고 말했다. 송 연구원은 “고출력·고안정성·고에너지밀도를 동시에 구현하는 ... ...
이전
1
2
3
4
5
6
7
8
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