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바윗돌
큰돌
암석
돌
암벽
암반
록
뉴스
"
바위
"(으)로 총 362건 검색되었습니다.
이란의 700년 된 집
팝뉴스
l
2023.05.31
팝뉴스 제공 소셜 미디어에서 해외 네티즌들의 눈길을 사로 잡은 사진이다. 무려 700년 전에 세워진 집의 모습이라고 한다. 이란에 있는 이 집은 부드러운
바위
를 깎아 만들었거나, 딱딱한 흙을 파서 만든 집으로 보인다. 인간의 힘이 아니라, 자연의 힘 덕분에 700년이나 버틴 집인 것이다. ...
해양 플라스틱 쓰레기 청소 기대주…'해파리 로봇' 등장
동아사이언스
l
2023.04.26
로봇의 힘이 필요하다. 기존 해양쓰레기 청소용 로봇은 부피가 크고 무거워 작은
바위
틈과 같은 구조에서 쓰레기를 치우는 작업을 수행하는 데 어려움이 있었다. 단단하고 각진 모양도 쓰레기를 처리하는 데 걸림돌이 됐다. 연구팀은 이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해파리의 모습에 ... ...
강원도 인제군에서 포착된 '해파리 성운'…천체사진공모전 대상
동아사이언스
l
2023.04.19
사진가를 촬영한 사진 사진부문 지구와 우주(은상)-울산
바위
설경과 은하수, 곽경언. 울산
바위
의 설경 위에 펼쳐진 은하수의 모습을 촬영한 작품. 사진부문 지구와 우주(은상)-서장대 뒤로 지는 초승달 궤적, 이청희. 수원의 서장대 뒤로 지는 초승달의 궤적을 한 프레임에 합성하여 표현한 사진 ... ...
우주선과 충돌한 소행성, 태양계 형성 비밀 알려줄까
동아사이언스
l
2023.03.24
공전 주기가 약 33분 단축됐다는 분석, 우주선 본체가 소행성 표면에 솟아오른 두 개의
바위
사이에 충돌해 폭이 40~60m 사이의 분화구를 만들었다는 분석 등도 나왔다. 과학자들은 추가 연구결과도 내놓을 전망이다. 전 세계 28개국 100여개 기관의 과학자들이 분석에 참여하고 있어서다. 국내에서는 ... ...
'다누리'에 실린 NASA 카메라 촬영 달 남극 사진 첫 공개
동아사이언스
l
2023.01.12
적합한 후보지를 탐색할 계획이다. 달 남극의 영구음영지역. 경사진 분화구에서 직경 5m의
바위
가 굴러 떨어진 경로가 상세하게 보인다. 항우연 제공 ... ...
[표지로 읽는 과학] 예상보다 더 많은 마그마를 품은 옐로스톤 화산
동아사이언스
l
2022.12.04
호수가 있다. 옐로스톤이라는 이름은 유황 성분이 포함된 온천수가 석회암층을 흐르며
바위
를 노랗게 물들여 붙여진 이름이다. 사이언스는 미국 일리노이대 지질학과 연구팀이 옐로스톤 화산 아래 당초 추정치보다 많은 양의 마그마가 존재한다는 내용의 논문을 1일자(현지시간)에 소개했다 ... ...
사막의 신비로운
바위
팝뉴스
l
2022.11.25
제공 기암괴석이라는 표현이 딱 어울리는
바위
의 모습이다. 사진만 봐서는 돌덩어리가 아니라 흙이나 플라스틱으로 만든 것처럼 보여서 일부 네티즌들은 사진이 조작된 것이 아닌가 의심한다. 촬영자에 따르면 사진은 미국 애리조나의 한 사막 지역에서 촬영되었다. 마치 우주에서 떨어진 듯한 ... ...
아이폰, 해안선 침식 연구에 '최적'...라이다 스캐너 활용
동아사이언스
l
2022.11.04
것이 중요하다. 분석 결과 아이폰의 라이다 스캐너는 해안 일대의 나무줄기나
바위
와 같은 작은 구조물을 사실적으로 포착했다. 해안 절벽 인근에 형성되는 구름들의 거리감도 포착했다. 또 실제 사물 간 거리를 0.02㎜ 단위로 확인할 수 있었다. 길이 130m, 폭 15m, 높이 10m 해안 절벽 전체를 스캔하는 ... ...
작년 크리스마스 이브 화성에 운석 충돌...규모 4 지진 발생
동아사이언스
l
2022.10.28
마그마가 있다는 사실도 확인했다. MRO는 충돌구 주변에서는 화성 표면 아래 있던
바위
크기의 얼음덩어리를 발견했다. 운석이 충돌한 곳은 화성에서 가장 따뜻한 적도 인근으로 얼음덩어리가 발견된 것은 처음이다. NASA는 28일(현지시간) 보도자료를 통해 "지하의 얼음은 향후 화성에 도착한 우주 ... ...
[기후위기와 산림] 문제는 기후변화 속도...구상나무는 살아남을 수 있을까
2022.10.27
더 힘든 여정을 보내고 있다. 이들은 왜 기름지고 비옥한 산의 낮은 지역을 벗어나
바위
가 많고 척박한 산의 정상 지역에만 남아 있는 것일까. 얼마나 오래전부터 우리 한반도에 있었으며 그때에도 지금처럼 산의 정상부에만 있었을까. 극한 기후현상에서도 땅에서 살아남기 위해 고군분투하는 ... ...
이전
1
2
3
4
5
6
7
8
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