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제반
여러가지
각반
전부
일체
모든일
뉴스
"
모든것
"(으)로 총 8,018건 검색되었습니다.
"감자의 조상은 900만 년 전 토마토"
동아사이언스
l
2025.08.01
덩이줄기가 없는 감자 식물 종과 덩이줄기가 있는 감자 식물 종. 심천 농업유전체연구소 제공. 감자의 조상이 900만 년 전 토마토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오늘날 둥근 감자 모양의 시작과 식물 진화의 새로운 실마리를 제시하는 데 단서가 될 것으로 보인다. 황 산웬 중국농업과학원 산하 심천 농 ... ...
악플러 '혐오 표현' 지적받으면 악플 더 쓴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7.31
유효선 성균관대 테크놀로지와민주주의연구소 선임연구원(왼쪽)과 이재국 교수(소장). 성균관대 제공. 뉴스 댓글을 인공지능(AI)으로 분석한 결과 혐오 표현을 쓰는 댓글 작성자는 지적을 받으면 더 많은 혐오 댓글을 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균관대는 이재국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교수팀 ... ...
주변 빛 에너지로 쓰는 무선 웨어러블 플랫폼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5.07.30
연구팀이 개발한 플랫폼을 센서에 적용한 모습. KAIST 제공 주변 빛을 활용해 배터리 전력 부담을 줄인 무선 웨어러블 플랫폼이 개발됐다. KAIST(총장 이광형)는 권경하 전기및전자공학부 교수팀이 박찬호 미국 노스웨스턴대 박사후연구원팀과 공동연구를 통해 주변 빛을 활용해 배터리 전력 부담 ... ...
[이덕환의 과학세상] 닮은듯 다른 입시경쟁…中 '과기 굴기'·韓 '의대 추종'
2025.07.30
정부와 교육계가 '의대 교육 정상화 방안'을 논의하는 가운데 의대 총장들이 의대 본과 4학년이 추가로 의사국가시험(국시)를 치를 수 있도록 정부에 건의하기로 했다. 연합뉴스 제공 '의대 광풍'(狂風)에 내몰린 수험생들의 안타까운 현실을 적나라하게 소개한 KBS의 '다큐인사이트'는 충격이었다. ... ...
방사성 물질로 아픈 고양이 치료…원자력연, 국내 1호 동물용 방사성의약품 인증
동아사이언스
l
2025.07.30
한국원자력연구원이 개발한 고양이 갑상선기능항진증 치료제인 싸이로키티 주사액(I-131). 원자력연 제공 장기간 약물치료와 수술 외의 대안이 없었던 고양이 갑상선기능항진증을 주사 한 번으로 치료할 수 있는 치료제 '싸이로키티'가 국내 방사성의약품 최초로 농림축산식품부 농림식품신기술(NET ... ...
납 원자핵이 금 원자핵으로…LHC에서 실현된 영겁의 연금술
2025.07.26
Midjourney, 과학동아 제공 2025년 5월 7일 국제 학술지 ‘Physical Review C'에 게재된 한 논문이 순식간에 세계적인 주목을 받았다. 이유는 간단했다. 바로 금(Au)이다. 이 논문은 유럽핵입자물리연구소(CERN)의 거대강입자충돌기(LHC)에서 납(Pb) 원자핵들을 가속 충돌시키는 실험 도중 납 원자핵이 아주 짧은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마음의 독립은 '행복'으로 가는 유일한 길
2025.07.26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한국에서는 점점 증가 추세인 것 같지만 미국에서는 심리 상담, 인지행동치료를 주기적으로 받는 사람들이 비교적 흔한 편이다. 그래서 지난번에 상담사와 이런저런 이야기를 주고받았고 어떤 점이 좋고 나빴는지 하는 이야기를 심심치 않게 듣는다. 그중에서 문화 차이로 인 ... ...
15년 전 '비소 생명체' 논문 철회 놓고 과학계 '갑론을박'
동아사이언스
l
2025.07.25
펠리사 울프-사이먼 베이 에어리어 환경연구소 수석연구원(왼쪽)이 2010년 NASA에서 비소 생명체에 대해 강의하는 모습. Paul E. Alers/NASA 제공. 생명과학계에서 화제가 됐던 '비소 생명체' 논문이 발표 15년 만에 공식 철회됐다. 연구부정 행위는 없었지만 핵심 결론이 실험으로 뒷받침되지 않는다는 이유 ... ...
신약개발 토대 '유전체 데이터', 백인 편향 해결책 제시
동아사이언스
l
2025.07.25
모든 인종을 위한 의료의 미래를 표현한 이미지. 서울대 제공. 유전체 분석을 할 때 인종 간 편향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수학적 모델이 개발됐다. 그 동안 유전체 연구에서 소외된 인종 집단에게도 정밀의료의 혜택을 제공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한범 서울대 의과대학 교수 연구팀은 ... ...
애플·삼성 등 스마트폰 보안 취약점 11개 발견…4개는 미해결
동아사이언스
l
2025.07.25
KAIST와 경희대 공동연구팀이 찾아낸 스마트폰 네트워크 보안 취약점을 이용해 스마트폰 통신을 실제로 마비시키는 시연 장면. 초당 23메가바이트(MB)로 데이터가 전송되다가 조작된 패킷이 주입되자마자 데이터 전송이 중단되고 이동통신 신호가 완전히 사라졌다. KAIST 제공 국내 연구팀이 4세대 이 ... ...
이전
1
2
3
4
5
6
7
8
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