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눈초리
눈길
시선
뉴스
"
눈꼬리
"(으)로 총 180건 검색되었습니다.
[프리미엄리포트] 50년 만에 첨단 CG로 부활한 거대 타조공룡 데이노케이루스
2019.11.17
한국 연구진이 3D모델링으로 복원한 데이노케이루스 유난히 뜨거웠던 2009년 8월, 필자가 속한 ‘한국-몽골 국제공룡탐사’ 연구팀은 몽골 부긴자프에서 충격적인 공룡 화석을 발견했다. 두개골과 앞발, 뒷발 골격은 도굴된 상태였으나 어깨와 앞다리 골격만으로 확신할 수 있었다. 반세기 동안 공 ... ...
[애니멀리포트]개의 초롱초롱한 눈빛은 인간과 소통 위한 진화의 결과
과학동아
l
2019.09.21
근육을 비교했다. 그 결과 개는 늑대와 달리 눈썹과 눈꺼풀을 들어올리는 눈윗근육(LAOM·
눈꼬리
올림근)이 발달했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또 ‘늑대개’라는 별명을 가진 시베리안허스키를 제외하고 모든 개에게서 눈꺼풀을 귀 쪽으로 당겨서 눈을 크게 보이게 만드는 눈옆근육(RAOL·눈옆꼬리수축근 ... ...
호기심의 눈으로 지켜본 화산섬 제주…28~30일 '탐험대학 캠프'
어린이과학동아
l
2019.07.01
제주 차귀도에서 수월봉으로 이동하는 선상에서 포즈를 취하는 탐험대학 학생들. “저기 주상절리 좀 보세요. 육각기둥 모양이에요. 요트에서 보니 더 신기해요.” 파도에 일렁이는 요트 위에서 제주 해안지형을 관찰하던 아이들의 탄성이 울려 퍼졌다. 선상에서 바라본 육각기둥 모양으로 ... ...
[이강운의 곤충記]플라스틱 먹는 애벌레, 지구의 근심 덜어줄까
2019.06.05
바다거북 콧속 플라스틱 빨대. 유투브(YouTube/Christine Figgener) 캡쳐 플라스틱 쓰레기에 목 졸린 채 발견된 아기 바다사자나 인도네시아 해안에서 죽은 채 발견된 9.5m 고래 뱃속에서 플라스틱 쓰레기가 쏟아져 나온 사진을 보고 충격을 받지 않을 사람은 없다. 거북이 콧속 깊숙이 박혀 있던 플라스틱 ... ...
[이강운의 곤충記] 꽃가루 알레르기를 막는 방법
2019.05.22
찔레꽃 개나리, 진달래 그리고 축제의 단골 메뉴인 벚꽃까지. 한꺼번에 시샘이라도 하듯 피워내는 노랑, 붉은 연분홍의 꽃과 찔레꽃, 보리수의 은은한 향기를 생각하면 봄은 가장 아름다운 계절이다. 그러나 봄 향기와 꽃을 기다리며 설레던 기분을 눈처럼 날리는 꽃가루가 봄을 가장 견디기 힘든 ... ...
[개발자 아빠의 교육실험](11) 깔끔하게 코드 정리하기
2019.05.18
소프트웨어 개발자는 대개 게으르다. 적어도 컴퓨터 앞을 잘 떠나지 않는다는 면에서 그렇다. 책상 한편에 수북이 쌓인 음료수 캔이나 간식 포장지 따위는 개발자들이 모여있는 공간에서 쉽게 목격할 수 있는 광경이다. 움직이지 않는 만큼 만성적인 운동 부족에 시달린다. 개발자는 돼지나 멸치 중 ... ...
동네 하수구 속의 악어 ‘무서워’
팝뉴스
l
2019.05.03
팝뉴스 제공 미국의 한 네티즌이 공개한 영상 중 일부이다. 동네를 걷는데 하수구 쪽에서 이상한 소리가 나는 것 같았다. 고개를 숙여보니 빛나는 두 눈이 보였다. 악어였다. 악어가 하수구에 엎드린 채 있었던 것이다. 꼬리로 첨벙첨벙 소리를 내는 걸 제외하고는 악어는 움직이지 않았다. ... ...
동네 하수구 속의 악어 ‘무서워’
팝뉴스
l
2019.05.02
팝뉴스 제공 미국의 한 네티즌이 공개한 영상 중 일부이다. 동네를 걷는데 하수구 쪽에서 이상한 소리가 나는 것 같았다. 고개를 숙여보니 빛나는 두 눈이 보였다. 악어였다. 악어가 하수구에 엎드린 채 있었던 것이다. 꼬리로 첨벙첨벙 소리를 내는 걸 제외하고는 악어는 움직이지 않았다. ... ...
안드로메다의 자세한 모습을 사진에 담다…제27회 천체사진공모전
동아사이언스
l
2019.04.08
공양식 씨의 '안드로메다 은하 24시'가 제27회 천문연 천체사진 공모전에서 대상을 차지했다. 천문연 제공 우리 태양계가 속한 은하와 가장 가까운 안드로메다는 나선형 은하다. 우리은하와 가장 가깝다고 하지만 거리가 250만 광년에 이른다. 빛의 속도로 달린다고 해도 250만년 후에나 도착할 수 ... ...
[이강운의 곤충記] 곤충의 속도 경쟁
2019.03.20
지구상에서 최초로 하늘을 날았던 동물은 곤충이다. 하늘을 나는 일은 먹이를 발견하고 짝을 찾아 번식을 하고 새로운 서식처를 발견하거나 천적을 따돌리는데 더 없이 좋은 방법이다. 이러한 비행 능력 때문에 곤충은 3억5000만 년 전부터 지금까지 지구 생태계의 가장 번성한 생물군으로 성공 신 ... ...
이전
1
2
3
4
5
6
7
8
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