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콜드워
암투
뉴스
"
냉전
"(으)로 총 100건 검색되었습니다.
[김우재의 보통과학자]유전자은행은 원자폭탄 만든 연구소에서 시작했다
2020.09.10
영향력을 행사하기 시작했다. 하지만 2차세계대전이 끝나고 시작된 미국과 소련의
냉전
상황에서 미국은 극우파들이 득세하기 시작했고, 트루먼 대통령은 수소탄 개발을 오펜하이머에게 요구하게 된다. 하지만 오펜하이머는 이 요구를 거절하고 수소탄의 개발이 정치적으로도 도덕적으로도 ... ...
[뉴스속으로]'푸틴 정적' 독살 시도에 사용된 건 노비초크, 어떻게 알아냈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20.09.09
옮겨져 지금까지 치료를 받고 있다. 9월 2일 독일 정부는 혼수상태에 빠진 나발니에게
냉전
시대 소련이 사용했던 화학무기인 노비초크(Novichok)가 쓰였다고 공식적으로 밝히며 독살 시도에 사용된 화학무기를 특정했다. 독일은 그 화학무기가 노비초크라는 사실을 어떻게 찾아냈을까. ○ 2년 ... ...
러시아 개발 완료했다던 코로나 백신 사실상 3차 임상 진행
동아사이언스
l
2020.08.17
알려졌다. 스푸트니크-V는 코로나19 백신 개발 경쟁을 벌이고 있는 미국을 겨냥해 1957년
냉전
시대 때 소련이 인류 최초로 발사한 인공위성의 이름을 땄다. 국제사회는 러시아산 백신과 관련해 우려를 표하고 있다. 3상 임상시험을 거치지 않아 안정성이 증명되지 않았다는 것이다. 1차 임상시험이 38명 ... ...
"러 패스트트랙 코로나19 백신 안전성 무시" 세계 과학계 우려
동아사이언스
l
2020.08.12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코로나19) 백신 사용을 승인했다. 백신의 이름은 1957년
냉전
시대 때 소련이 인류 최초로 발사한 인공위성의 이름을 따 ‘스푸트니크-V’로 정했다. 코로나19 백신 개발 경쟁을 벌이고 있는 미국을 겨냥했다는 분석이다. 국제사회는 러시아산 백신과 관련해 우려를 ... ...
지금도 핵실험은 계속된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8.07
등 미국 핵전력을 가다듬고 있다. 핵무기 현황을 조사하는 과학자단체인 과학자연맹은 “
냉전
이후 세계 핵무기 수는 1986년 약 7만300개에서 2020년대 초 1만3410로 감소했지만 오늘날의 무기가 훨씬 그 파괴력이 크다”고 말했다. 러시아도 미국과 동일하게 핵실험을 중단한 1990년 이후부터 슈퍼 ... ...
[사이언스N사피엔스]19세기 화학의 정점 주기율표의 성립
2020.06.11
여겨진다. 그래도 멘델레예프는 101번 원소 멘델레븀(Md)에 자신의 이름을 남길 수 있었다.
냉전
이 한참이던 시기 미국의 버클리 연구소에서 수많은 새 원소를 발견한 시보그 등 미국 연구진 덕분이었다(1955년). 당시의 메카시 광풍을 뚫은 과학자들의 사해동포주의가 빛을 발한 결과였다. 시보그의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때이른 혁명, 프리프린트의 탄생과 좌절
2020.04.09
처음으로 공개한다. 교환된 메모의 80% 이상이 논문으로 나왔고 이 국제적 교환에는
냉전
으로 서방의 적대국이던 공산주의 국가의 과학자들도 상당수 참여했다. 알브리톤이 프랜시스 크릭에게 보낸 편지. 출처 Cold Spring Harbor Laboratory Archive 혁신을 방해하는 세력들 1960년대에는 국가의 지원으로 ... ...
[인류와 질병]불과 철 같은 감염성 질환과 인간의 공진화
2020.03.15
종종 일종의 병리적인 휴전 상태에 도달한다. 암묵적인 경계와 규칙이 지배하는 일종의
냉전
이다. 겉으로 보면 평화로운 부부지만, 실상은 내적으로 치열한 다툼이 일어나고 있다. 할 말과 하지 말아야 할 말, 해도 되는 행동과 하면 안 되는 행동에 대한 복잡한 규칙이 지배하는 불행한 다이아드다. ... ...
플라스틱 쌓인 지금은 ‘인류世’ 시대… 생태 위기 해법은?
동아사이언스
l
2019.12.13
한국과 중국, 일본 등 세계 상위권 온실가스 배출국이 집중해 있는 지역이자
냉전
이 현실화된 곳”이라며 “이곳의 독특한 역사를 고려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많은 학자들이 인류세의 시점으로 1950년대를 꼽지만 이 무렵부터 인간 활동이 극도로 제한된 한국의 비무장지대(DMZ)는 다른 곳과 ... ...
美, 우주개발 패러다임 바꾸는 차세대 원자력 추진기술 개발 나선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9.14
한국도 지난 2일 영국 연구진과 우주 탐사용 원자력전지 개발 공동연구를 천명했다.
냉전
시대부터 경쟁적으로 우주 개발을 해온 미국과 러시아만 보유하고 있는 원자력전지 기술을 확보해 달 탐사 등 우주 탐사 핵심기술을 확보한다는 목표다. 미국의 차세대 핵 열추진 기술 개발은 탈원전 ... ...
이전
1
2
3
4
5
6
7
8
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