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내측"(으)로 총 53건 검색되었습니다.
- 발달 장애 비밀 풀 ‘인공 뇌’ 제작 성공동아사이언스 l2017.08.01
- 억제 신경세포가 만들어지는 뇌 부위다. 그 뒤 각각 만든 오가노이드를 접합하자 내측 신경절 융기에서 만들어진 억제 신경세포가 대뇌 피질로 이동하는 것을 관찰했다. 피질로 이동한 억제 신경세포는 이미 대뇌 피질에 있던 활성 신경세포와 함께 대뇌의 신호를 전달했다. 연구진이 제작한 ... ...
- [카드뉴스] 정신줄 놓다 에 대한 3가지 고찰동아사이언스 l2017.06.10
- 뇌 영역들이 있는데요. 활성화 부위는 쐐기전소엽, 후대상회, 내측전전두엽과 일부 내측측두엽을 포함합니다. 이 부분들은 서로 기능적으로 연결돼 있어 일부 학자들은 내정 상태 회로라 부르기도 합니다. 과학자들은 이 상태의 기능에 대해 다양한 가설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하나는 주위 자극을 ... ...
- 20초 환각제, 해피벌룬 속 가스의 진실 동아사이언스 l2017.05.26
- 인간을 포함한 생명체를 통해서도 다량 발생한다. N20가 뇌간의 팔곁핵(PB) 및 내측뇌교 망상체 형성(mPRF)에서 시상하부 및 기저전뇌까지 이르는 주요 N-methyl-D-aspartate (NMDA) 글루타메이트 수용체와 결합하면서 자극으로 인한 흥분 전달이 차단한다. - doi:10.1016/j.clinph.2015.06.001 제공 아산화질소는 ... ...
- [카드뉴스] 귀신의 재구성동아사이언스 l2017.02.02
- 신경을 쓰도록 진화해왔기 때문입니다. 얼굴과 조금이라도 비슷한 모양을 보면 뇌의 내측두엽에서 바로 반응이 일어납니다. 그런데 측두엽에 문제가 있는 간질 환자는 이럴 때 귀신을 봤다고 느끼기도 합니다. 소설 ‘죄와 벌’로 유명한 러시아 소설가 표도르 도스토예프스키는 측두엽 간질 ... ...
- 신입사원의 뇌는 ‘베이즈 추론’으로 바쁘다동아사이언스 l2016.12.08
- 달랐다. 해마와 편도체는 본인과 관계없는 사람들의 지위를 파악할 때 주로 활성화됐고, 내측전전두엽은 본인과 관련된 정보를 처리할 때 반응했다. 지금까지 실험용 쥐가 베이즈 추론으로 지위 여부를 파악한다는 사실은 확인한 바 있지만 사람도 같은 추론을 하는지는 밝혀지지 않았다. 논문의 ... ...
- 깜빡하는 건망증, 혹시 치매일까2016.04.15
- 치매 환자의 뇌(오른쪽). 중증 치매 환자는 정상인과 비교해 그 크기가 눈에 띄게 작으며, 내측 측두엽이 위축돼 있는 걸 볼 수 있습니다. - 위키피디아 제공 ● 치매, 알츠하이머는 왜 생기는 걸까? 이러한 치매는 왜 생기는 걸까요? 원인이 되는 질환은 70여가지가 있지만, 그중 가장 흔한 원인은 ... ...
- 쉬면서도 페이스북 자꾸 보고 싶은 이유는?2015.06.09
- 문구를 본다거나, 수식을 볼 때는 이 부위가 활성화되지 않았다. 또 연구팀은 배내측전전두엽피질의 활성화가 잘 되는 사람이 눈치도 빠르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이런 사람들이 설명문을 빠르게 평가하는 경향이 있었고, 참가자 중 자폐증을 앓고 있는 사람들은 정상인보다 10배 정도 느리게 ... ...
- 우리가 정말 행복했을까?2014.11.10
- 때는 평범한 일을 기억할 때에 비해 뇌의 보상회로인 선조체(왼쪽 뇌 이미지 원 안)와 내측전전두엽피질(오른쪽 뇌 이미지)이 더 활성화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 뉴런 제공 끝으로 연구자들은 행복했던 과거를 음미할 때 보상회로가 관여한다는 결과를 확인하는 행동실험을 했다. 즉 ... ...
- 사고만큼 두려운, 반복되는 그날의 기억2014.07.16
- 사실이 발견됐다. 공포핵인 편도체(Amygdala)는 과활성을 보이며, 감정의 조절에 관련된 내측 전전두엽(Medial prefrontal cortex)과 기억저장과 관련된 해마(Hippocampus)는 저활성을 보인다는 기능적 뇌영상 연구 결과가 보고되기도 했다.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의 주요 증상은 1)당시의 상황을 반복적으로 ... ...
- 서서히 감퇴하는 기억력, 치매의 시작일까?2014.03.18
- 치매 환자의 뇌(오른쪽). 중증 치매 환자는 정상인과 비교해 그 크기가 눈에 띄게 작으며, 내측 측두엽의 위축이 두드러진다. - 위키피디아 제공 기억력 장애는 최근 기억의 장애로 시작한다. 환자들은 예전에 갖고 있던 기억(어린 시절 이야기, 과거 중요한 사건들)에 대해서는 잘 이야기하면서 ... ...
이전12345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