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깃
윙
우익
지느러미
방향조정 날개
시준판
뉴스
"
날개
"(으)로 총 656건 검색되었습니다.
쉬지 않고 아프리카서 남미까지 4184km 이동한 나비
동아사이언스
l
2024.06.26
아프리카에 있는 작은멋쟁이나비와 유전적으로 유사하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나비
날개
의 동위원소도 분석했다. 나비 애벌레가 특정 지역의 식물을 먹으면 이 식물이 갖고 있던 지역 특유의 동위원소 분포를 갖게 된다. 나비의 동위원소를 조사해 이들이 서유럽, 북아프리카, 서아프리카에서 ... ...
최강 우주발사체 스페이스X '스타십' 비행 성공은 '스뎅' 덕분?
동아사이언스
l
2024.06.16
임무를 무사히 마치고 귀환 과정에 성공했지만 대기권에 재진입할 때 발생한 열로
날개
등 로켓 일부가 손상됐다. 스테인리스강의 높은 녹는점은 어마어마한 마찰열을 견디기 유리하다. 녹는점이 1400℃에서 1500℃ 이상이다. 알루미늄강의 녹는점은 대략 700℃ 내외이다. 탄소 섬유는 금속처럼 특정 ... ...
역대 최강 '스타십' 궤도 왕복비행 첫 성공…화성에 한걸음 더
동아사이언스
l
2024.06.07
'플라즈마'로 인해
날개
가 녹아내렸다. 이 과정에서 우주선 동체는 비행 과정을 버텼고
날개
도 완전히 떨어져나가지 않았다. 스페이스X 창업자인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는 엑스에 "많은 타일(tile)이 손실되고 플랩이 손상됐지만 스타십은 바다에 연착륙했다"고 말했다. 빌 넬슨 미 ... ...
벌새 뇌 속엔 3D 지도…빠르게 나는 이유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6.01
군집이 활발히 활동하면서 뇌의 신호를 보내는 모습이 관찰됐다. 연구팀은 특히
날개
가장자리에 가해진 자극에 반응하는 신경세포 군집이 정교한 비행에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고 설명했다. 또 벌새의 뇌는 발에 대한 자극에도 민감하게 반응했는데 이는 안전한 착지 장소를 찾기 위해서인 것으로 ... ...
드론에 항공기까지 '구름씨' 살포…5년간 인공강우로 산불예방 실험
동아사이언스
l
2024.05.05
실험을 하는 동시에 구름이 잘 만들어지는지 관측할 수 있다는 점이다. 나라호 오른쪽
날개
에는 강수입자, 구름입자를 관측하는 기다란 기기가 탑재돼 있고 왼쪽에는 상층수증기량 등을 관측하는 기기가 있다. 이 부장은 "나라호로 실험하면 구름씨를 뿌려 바로 강수입자가 서서히 커지는 모든 ... ...
1초에 3m나 찍! 매미 소변의 비밀
어린이과학동아
l
2024.04.20
오줌을 빠르게 심지어 가장 빠른 속도로 분사한다는 점에 주목했습니다. ‘유리
날개
명사수’라 불리는 곤충은 한 번에 한 방울씩 튕겨내는 방식으로 오줌을 배설한다. Saad Bhamla et al. 제공 사드 밤라 교수는 “매미의 배뇨 방식이 독특한 건 식습관 때문”이라고 설명했습니다. 매미는 다른 ... ...
파리
날개
근육의 비밀 밝혔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4.19
경첩이 어떻게 작동하는지 확인하고 실제 파리처럼 비행하는 로봇을 제작, 곤충
날개
의 비행 원리를 규명했다"며 "곤충의 경첩은 자연계에서 가장 정교하고 진화적으로 중요한 골격 구조 중 하나"라고 말했다. 연구팀은 또 이번 연구를 통해 곤충의 비행 움직임을 연구할 수 있는 강력한 물리 ... ...
[人투더스페이스]② "우주청, 민간이 이익 내는 구조 만들어야…R&D 인재 사천 유도 필요"
동아사이언스
l
2024.04.16
무게를 획기적으로 줄인 초경량 신소재다. 동시접합기술이라는 고난도 기술을 적용한 뒷
날개
구조물을 생산한 것은 국내 중소기업 중 송월테크놀로지가 처음이다. 위성에 들어가는 패널도 송월테크놀로지의 주력 생산 제품 중 하나다. 이미 달 탐사 궤도 위성 등에 납품한 경험도 있다." Q. ... ...
이스라엘은 어떻게 이란 공격 막아냈나…최첨단 과학기술 '집약'
동아사이언스
l
2024.04.16
미사일은 길이 3m, 직경 16㎝로 날아오는 로켓에 1m 이내로 근접해 폭발한다. 여러 개의
날개
와 전자광학센서를 장착해 요격 성공률이 높다. 사거리는 최대 70km이며, 아이언 돔 1개 포대는 93㎢의 범위를 방어할 수 있다. 2021년 5월 하마스가 쏜 로켓을 대부분 막아내면서 아이언돔의 능력이 부각됐다. ... ...
나비도 외모 보고 배우자 찾아
동아사이언스
l
2024.03.25
결과 멜포메네와 티마레타가 붉은
날개
를 선호하는 데는 동일한 유전자가 작용했다. 흰
날개
를 선호하는 사이드노는 구애 행동을 할 때 이 나비들과 달리 '레구칼신1(regucalcin1)'이란 유전자가 더 높은 수준으로 발현되는 것으로 파악됐다. 연구팀은 이번에 나비에게서 발견된 유전자가 배우자를 ... ...
이전
1
2
3
4
5
6
7
8
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