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정
냉
뉴스
"
끌
"(으)로 총 137건 검색되었습니다.
고체로켓 사용제한 풀렸다지만 로켓 쏠 하늘이 없네
2020.08.03
보관도 용이하다"고 설명했다. 물론 액체로켓도 장점이 많다. 필요할 때 엔진을 켜고
끌
수 있어 로켓을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 이런 이유로 정지궤도 위성이나 달 궤도선을 쏘아올릴 때 사용하는 대형 우주발사체의 경우 제어가 쉬운 액체로켓을 주로 쓰고 고체로켓을 부스터(보조용 로켓)나 ... ...
거미줄 쏘고 전기장 걸면 68배 무거운 물체가 붙잡힌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7.17
미세한 전류에 영향을 받는 원리를 활용했다. 물체가 충분히 접근했을 때만
끌
어당기기 때문에 엉뚱한 물체가 달라붙은 상황을 방지한다. 선 교수는 “실험 결과 벽 너머에 있는 물체도 감지하는 것으로 분석됐다”며 “시각 장애인이 사용하는 지팡이에 적용하면 예상치 못한 물체와 부딪치는 ... ...
[이덕환의 과학세상] 되살아나는 항균‧살균 열기
2020.06.10
물론이고 주방에서 사용하는 그릇도 살균 기능이 있어야만 소비자의 관심을
끌
수 있었다. 비누·샴푸·치약도 살균·항균 기능이 없으면 무용지물이었다. 심지어 항균 기능을 자랑하는 내의와 양복도 있었다. 그런 사회 환경에서 성장한 세대는 지금도 살균·항균·소독에 대한 지나친 관심을 ... ...
'꿈의 물질' 그래핀 적층 순서 제어하는 기술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1.22
잘 통하며 멀수록 전기가 통하지 않는다. 밴드갭이 없으면 전자소자의 전원을 키거나
끌
수 없어 응용에 한계가 생긴다. AB 적층구조의 이중층 그래핀은 여기에 대한 해답을 줬다. AB 적층 그래핀은 위쪽에 쌓인 그래핀의 탄소 원자 중 절반이 아래쪽 그래핀 위에 위치한 A패턴과 B패턴이 반복되는 ... ...
CES 2020 메인 주제 된 5G…폴더블폰·카메라도 눈길
연합뉴스
l
2020.01.05
전시회는 아니지만 폴더블폰과 카메라 신기술을 탑재한 새 스마트폰도 적지 않은 관심을
끌
전망이다. 삼성전자는 작년 출시한 갤럭시 폴드를 전시할 예정이고, 모토로라도 이미 공개한 클램셸(조개껍질) 형태의 폴더블폰 '레이저'를 전시할 것으로 보인다. 중국 업체 원플러스는 최근 중국 ... ...
내년 5대 IT 트렌드는?…디지털치료·미래식품·안면인식 기술
연합뉴스
l
2019.11.21
탑재한 초인종, 소비자 특성을 분석하는 안면인식 플랫폼 등도 지난해에 이어 관심을
끌
것으로 예상됐다. 이밖에 노인과 어린이들을 위한 돌봄용 로봇, 원격 수업 등을 하는 교육용 로봇, 각종 매장이나 공항·호텔·병원 등 공공서비스 분야에서 활용되는 리테일용 로봇 등도 내년 CES의 관전 ... ...
항체 잡는 '빛 스위치' 기술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0.15
이용해 항체 활성을 빠르고 세밀하게 조절할 수 있는 만큼, 체내에서 면역 기능을 켜고
끌
수 있는 항체 의약품 개발에도 이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팀은 비슷하게 빛 대신 라파마이신이라는 화학물질을 가하면 GFP 나노바디가 합쳐져 활성화되는 ‘케모바디’ 기술도 개발했다. 이 ... ...
[사이언스N사피엔스] 야구공은 왜 날아갈까
2019.08.08
원인요소를 접촉기동자라고 한다. 소나 말이 있어도 수레와 밀착되지 않으면 수레를
끌
수 없다. 아리스토텔레스의 이런 설명은 우리의 일상 경험과 너무나 잘 맞는다. 접촉기동자를 고집했던 아리스토텔레스는 비어 있는 공간으로서의 진공이라는 개념을 싫어했다. 반면 데모크리토스와 ... ...
“얼굴 속에 얼굴 있는 돼지“ 화제
팝뉴스
l
2019.06.07
제공 돼지의 얼굴을 위에서 촬영한 이 사진은 무심코 보면 조금도 시선을
끌
게 없다. 그런데 ‘얼굴 속에 얼굴이 하나 숨어 있다’는 소리를 듣고 나면 다르다. 이마 부분에 선명한 얼굴이 보인다. 돼지의 두 번째 얼굴은 웃고 있다. 귀는 크고 얼굴 전체 모양은 둥글다. 많이 네티즌들이 낯이 ... ...
119년 전 개기일식 모습, 디지털로 되살아나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5.31
1837년부터 1901년까지의 시기는 기술과 마술이 공존하던 시기다. 당시는 마술쇼가 인기를
끌
시기로 마술사들은 마술 트릭 중 하나로 영화를 활용하려는 시도가 많았다. 매스켈라인이 마술사이면서도 영화제작자로 활동한 이유다. 브리오니 딕슨 BFI 무성영화 큐레이터는 “21세기의 기술적 마법을 ... ...
이전
1
2
3
4
5
6
7
8
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