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기하학"(으)로 총 354건 검색되었습니다.
- 100만달러 상금 걸린 수학난제 실마리 찾은 AI동아사이언스 l2024.03.18
- 지난 1월 구글 딥마인드는 국제수학올림피아드(IMO)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AI인 ‘알파 기하학’을 공개하기도 했다. 2021년 알고리즘을 거래하는 영국 기업 ‘XTX 마켓’도 IMO에서 금메달을 딸 수 있는 AI를 만들면 1000만 달러(약 129억 원)를 주겠다고 발표한 바 있다. 이규환 미 코네티컷대 교수. ... ...
- 국제우주정거장서 자율비행한 로봇 데이터셋 최초 공개동아사이언스 l2024.03.15
- 동일한 데이터 셋으로 평가 환경을 구성하고 비교실험을 했다. 대부분의 시나리오에서 기하학 기반의 알고리즘이 안정적이고 정확한 성능을 보였다. 연구를 이끈 김 교수는 “이번 연구 성과는 실제 국제우주정거장에서 얻어진 다양한 데이터셋과 자율항법 실험 결과를 통해 향후 우주 임무를 ... ...
- [주말N수학] "찰나의 즐거움을 위한 학문?"…수학의 본질이란수학동아 l2024.02.03
- 평행선 공준에만 초점을 맞춰 보는 거지요. 에우클레이데스가 정의한 것부터 비유클리드 기하학에 이르기까지 여러 학자가 어떤 비판과 새로운 시도를 해왔는지만 살펴봐도 좋은 공부가 됩니다. 마지막으로 수학사 사료를 볼 때 가급적 그 시대의 기호와 접근 방식으로 공부해보세요. 오래된 ... ...
- 수학 올림피아드 AI '금메달리스트' 나올까…딥마인드 '알파 기하학' 공개 동아사이언스 l2024.01.18
- 2000년부터 2020년까지 출제된 국제수학올림피아드 문제 30개 세트를 풀게 한 결과 알파 기하학은 그 중 25개 문제를 해결했다. 연구팀에 따르면 이는 올림피아드 금메달 수준의 문제풀이 실력이다. 역대 올림피아드 금메달리스트들은 평균 25.9문제를 풀었다. 한편 구글 딥마인드는 수학을 푸는 AI를 ... ...
- 구르고 돌고 회전하는 신개념 ‘소프트 로봇’ 등장동아사이언스 l2024.01.09
- 수집하고 이를 기반으로 결정을 내리고 행동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한다. 링봇의 기하학적 구조를 변경하면 행동을 미세 조정할 수도 있다. 연구팀은 “꼬임의 개수, 꼬임의 폭, 비튼 방향 등으로 운동을 제어할 수 있다”며 “두 개의 서로 다른 회전 방향 등을 가진 링봇을 한 공간에 두면 더 ... ...
- 2028년 수능 '심화수학' 제외 논란…'대학생 수포자' 걱정하는 교수들동아사이언스 l2024.01.05
- 과정에서 미적분학을 접한 학생은 대학 교육과정에 해당하는 수준의 미적분학, 대수학, 기하학을 배울 때 두 배 이상의 숙달도를 보였다. 이러한 경향성은 고등학교 미적분학 성적이 낮았던 학생에게서 더 뚜렷하게 나타났다. 연구팀은 "비록 성적이 좋지 않더라도 고등학교에서 미적분을 배우는 ... ...
- [사이언스게시판] 과총, 필즈상 수상 싱퉁 교수 기술교류회 초청동아사이언스 l2024.01.05
- UNIST)에서 양자 분야 기술교류회를 개최한다고 5일 밝혔다. 양자장론, 대수, 미분기하학 관련 연사들이 ‘Calabi-Yau 다양체’에 대해 논의할 예정으로 1982년 다양체의 존재성을 증명해 필즈상을 받은 싱퉁 야우 하버드대·칭화대 석좌교수가 주요 해외 연사로 참석한다. 양자 분야는 기술패권을 좌우할 ... ...
- [주말N수학] KAIST 퍼즐 동아리가 밝힌 '데블스 플랜' 필승전략수학동아 l2023.12.24
- 수학동아 제공 ● 기하학적인 직관이 필요한 '협동 퍼즐 2화' 수학동아 제공 노희윤 "기하학적인 직관이 필요한 게임이에요. 프로게이머 출신 기욤 패트리 씨가 특유의 공간지각 능력을 발휘해 퍼즐을 잘 맞추더라고요. 관건은 특정 위치에 들어갈 수밖에 없는 유일한 조각을 찾아내는 거예요. ... ...
- [주말N수학] 수학에서 증명은 왜 중요할까수학동아 l2023.12.16
- 언제, 어디에서 처음 시작됐나요. A(인문학자). "기원이 하나가 아닐 수 있지만 465개의 기하학 명제를 일일이 모두 증명한 에우클레이데스의 '원론'이 증명의 중요성을 각인시킨 건 분명합니다. 물론 고대 그리스뿐 아니라 중국, 바벨로니아, 이집트 등 여러 문명에서 각자만의 증명 방식이 ... ...
- 최범준·이현욱 등 차세대 과학기술 리더 24인 'Y-KAST 회원'동아사이언스 l2023.12.11
- 가능성이 높은 연구자를 최종 선출한다. 올해 선출된 회원의 평균나이는 만 39.6세다. 기하학적 해석학 분야의 젊은 석학 최범준 포스텍 교수, 이차전지 소재 연구에서 독보적 성과를 도출하고 있는 이현욱 울산과학기술원(UNIST) 교수 등 국제학계에서 주목받는 과학자도 다수 포함됐다. ... ...
이전12345678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