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구성
조직
구출
구제
조립
구원
기구
뉴스
"
구조
"(으)로 총 7,868건 검색되었습니다.
세계에서 가장 많이 인용된 논문 '용액 속 단백질량 측정법'
동아사이언스
l
2025.04.16
2015년 사전공개 후 2016년 정식 발표됐다. 연구결과는 이후 바둑 AI인 알파고, 단백질
구조
예측 도구인 알파폴드 등 AI 도구 개발에 기여한 것으로 평가된다. 21세기 이후 인용 수 순위는 WoS 외에 오픈알렉스(OpenAlex), 디멘션스(DImensions) 등 다른 논문 데이터베이스까지 포함한 결과가 포함됐다. ... ...
음극재 바꿔 전기차 배터리 충전속도·용량 모두 잡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4.16
나트륨 이온은 흑연이나 실리콘과의 전기화학 반응성이 낮지만 하드카본-주석 나노 복합
구조
와는 빠르게 반응하면서도 높은 안정성을 유지했다. 박 교수는 “차세대 고성능 배터리 개발의 새로운 이정표를 제시했다“며 ”전기차, 대규모 에너지저장시스템 등 응용 분야에서의 활용이 ... ...
환각제 LSD, 원자 2개 바꾸니 조현병 치료제 후보로
동아사이언스
l
2025.04.15
치료하는 기능이 있지만 환각성이 강해 실제로 활용하긴 어렵다. 연구팀은 LSD 분자
구조
에서 원자 2개를 바꾼 합성 분자인 JRT를 만들었다. 쥐 실험을 통해 확인한 결과 JRT는 LSD처럼 대뇌 피질에서 수상돌기 척추 밀도를 증가시키고 시냅스 생성을 촉진했지만 쥐에게 LSD를 투여했을 때 일반적으로 ... ...
암세포 돕는 나쁜 세포 공격하는 면역항암제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5.04.14
M2 대식세포를 표적 삼는다는 점을 확인했다. 독성분 물질의 독성을 낮추는 방향으로 분자
구조
를 재설계한 뒤 M2 대식세포 내 활성형 CD18 단백질을 치료 표적으로 특정했다. CD18 단백질은 세포 접착과 신호 전달, 면역 반응에 관여하는 단백질이다. 연구팀이 개발한 펩타이드-약물 접합체(TB511)는 ... ...
윤훈한 GIST 교수, '2차원 물질 젊은 과학자상' 수상
동아사이언스
l
2025.04.14
효율을 갖춘 첨단 반도체 기술이 요구되는 시대에 살고 있다”며 “단위 면적당 소자
구조
의 크기를 줄이거나 소자 개수를 늘리는 전통적인 방법만으로는 기술을 고도화하는 데 한계가 있다”고 말했다. 이어 “2차원 물질에서 발현되는 특별한 양자 현상을 토대로 AI 반도체와 양자컴퓨팅 ... ...
스펀지 같은 탄소나노튜브로 만든 열전 소재…성능 5.7배
동아사이언스
l
2025.04.13
특성을 유지하면서 낮은 성능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탄소나노튜브를 부피감 있는
구조
로 제작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일반적인 기존 유기 열전 소재는 액체를 얇게 굳힌 필름 형태로 만들어진다. 연구팀은 기존과 달리 다양한 모양의 틀에 재료 분말을 채우고 열을 가하면 몇 시간 뒤 스펀지처럼 ... ...
'사이버불링' 겪는 뇌, 전쟁터에 있는 것처럼 반응
과학동아
l
2025.04.12
필수인 이유 사이버불링은 더 이상 개인의 문제가 아니다. 이것은 디지털 환경의
구조
적인 문제다. 현재 일부 연구팀은 디지털 윤리 알고리즘을 개발 중이다. 이 알고리즘은 유해 콘텐츠 차단 기능에서 더 나아가 AI 시스템에 윤리적 원칙을 통합해 온라인 공간에서 긍정적 상호작용을 촉진하는 것을 ... ...
[표지로 읽는 과학] 1㎣ 생쥐 뇌에 담긴 우주
동아사이언스
l
2025.04.12
재구성했다. 기록된 뇌 활동 영상에서 얻은 데이터와 빈틈없이 일치시켰다. 뇌의
구조
와 활동 데이터를 하나의 데이터셋 안에 통합해 각 뉴런이 어떤 자극에 반응하고 어떻게 연결돼 있는지를 동시에 파악한 것이다. 이렇게 가장 상세한 생쥐 뇌 연결 및 기능 지도를 완성했다. 생쥐 뇌 연결 및 ... ...
강단 선 이세돌 "AI가 인간 약점 '고정관념' 깰 수 있어"
동아사이언스
l
2025.04.11
제공 알파고 개발을 주도한 데미스 허사비스 구글 딥마인드 최고경영자(CEO)는 단백질
구조
를 예측하는 AI 도구 개발에 기여해 2024년 노벨화학상을 받았다. 이 교수는 2016년 알파고와의 대국 당시 허사비스 CEO와 다시 만나 AI의 미래와 바둑 발전에 대해서 이야기를 나누면 좋겠다고 한 것이 아직 ... ...
대만서 발견된 미스터리한 인간 화석은 데니소바인
동아사이언스
l
2025.04.11
규명된 것이다. 형태학적 특징도 이같은 분석을 뒷받침했다. 펑후 1 화석은 견고한 턱
구조
와 크고 두꺼운 어금니, 특이한 치아 뿌리 형태가 관찰됐다. 티베트 샤허 동굴에서 발견된 데니소바인 화석과 유사한 해부학적 특징이다. 지질학적 분석에 따르면 펑후 1 화석은 19~13만 년 전 또는 7만~ ... ...
이전
1
2
3
4
5
6
7
8
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