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고지대
대지
산
언덕
동산
고지
산지
뉴스
"
고원
"(으)로 총 94건 검색되었습니다.
전국 곳곳 황사 영향 미세먼지 나쁨 수준…18일까지 황사 이어진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3.16
따르면 2002년부터 2020년까지 한국에 영향을 준 황사발원지 중 51%가 고비사막과 내몽골
고원
이다. 기후변화로 점차 빈도가 늘어나는 다른 기상이변들과 달리 최근 국내 황사는 점차 줄어들고 있다. 기상청에 따르면 지난 30년간 평균을 뜻하는 평년 기준 연간 7일 발생했던 황사는 최근 10년 5.1일,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과학계는 '공정한 차별' 받아들일 준비가 되어 있을까
2021.02.25
-오찬호(2015). 우리는 차별에 찬성합니다: 괴물이 된 이십대의 자화상. 경기도: 개마
고원
. (Translated in English) Oh, C.H.(2015). We are in favour of discrimination: Self Portrait of a monster in your twenties. Gyunggi: Gaemagowon -”박남기. "실력주의사회에 대한 신화 해체." 敎育學硏究 54.3 (2016): 63-95. “에서 재인용 - 존 롤스, ... ...
인간도 곰처럼 겨울잠 잤을까
2020.12.21
곰처럼 동면하는 동물들에게서도 보이는 현상이라는 것이다. 연구팀은 또 "갈라
고원
숭이나 여우원숭이 등 영장류도 겨울잠을 잔다"며 "초기 인류가 '음식 공급이 제한되고 체지방이 충분히 저장된 가혹한 조건에서 오랫동안 살아남는 '대사 상태'를 선택했을 수 있다"고 분석했다. 일부에선 ... ...
[IBS 과학리포트] 강력했던 2020년 장마는 과연 지구온난화가 주요 원인일까
2020.08.26
영향을 줄 수 있다. 예를 들어 태평양이나 인도양 지역 해수면 온도 상태나 봄철 티베트
고원
적설 면적이 평년과 다르게 바뀌면 대기 정체파(연못에 돌을 던지면 발생하는 잔물결과 유사)가 발생될 수 있다. 고기압과 저기압이 번갈아 나타나는 대규모 파동은 지역 몬순 시스템과 상호작용하면서 ... ...
[애니멀리포트]호랑이를 길들이지 못하는 세 가지 이유
과학동아
l
2020.06.27
미국 플로리다주에서 눈표범을 사육하는 장면도 나온다. 눈표범은 눈 덮인 티베트
고원
이 서식지인데, 플로리다주의 연중 기온은 17~32도다. 반면 2002년 한국임상수의학회지에 게재된 에버랜드 동물원(현재의 주토피아) 대형 고양잇과 동물의 폐사 통계를 살펴보면 한겨울인 1월 폐사율이 39.6%로 ... ...
멕시코서 '最古最大' 마야유적 발견…"10m높이 1.4㎞ 인공
고원
"
연합뉴스
l
2020.06.04
유적 건설 시기를 밝혀냈다. 그 결과 이 유적은 길이 1.4㎞, 높이가 10~15m에 달하는 인공
고원
으로 이루어져 있고 9개의 넓은 둑길 구조물 갖추고 있어 규모가 마야 역사상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건설 시기는 기원전 1천~800년으로 추정돼 마야유적 중 가장 오래된 것으로 밝혀졌다. 지금까지 ... ...
"'한강에서 썰매타기' 앞으로는 불가능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1.03
하지만 2018년에는 불과 55.9%가 얼어붙어 있던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중국 티베트
고원
과 동유럽, 미국 알래스카 등 겨울에는 강이 얼어붙었던 지역에서 어는 범위가 급격히 감소했다. 전문가들은 얼어붙는 강 면적이 줄어드는 원인으로 기후 변화를 꼽았다. 연구팀은 2009년에서 2029년까지, ... ...
나일강 물줄기 미스터리 풀렸다
과학동아
l
2019.12.06
강은 오랜 시간 흐르면서 물줄기의 방향이 바뀐다. 하지만 북아프리카 에티오피아
고원
에서 지중해로 흘러나가는 나일강은 한 번도 물줄기의 방향이 크게 휘어진 적이 없다. 이는 과학자들이 풀지 못한 ‘나일강 미스터리’였다. 클라우디오 파세나 미국 오스틴 텍사스대 지질과학과 교수가 이끄는 ... ...
'우주 불꽃놀이' 감마선 폭발, 최초로 지상 관측·분석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19.11.21
섬광과 감마선을 발생시킨다. 매직 연구단 제공 매직은 독일이 스페인 라팔마섬의
고원
지대에 건설한 두 대의 지름 17m 전파망원경이다. 입자가 지나갈 때 입자가 다른 입자로 변하며(붕괴) 빛을 내는 ‘체렌코프’ 현상을 통해 강한 에너지를 갖는 입자를 검출할 수 있다. 매직은 에너지가 2000억 eV인 ... ...
[강석기의 과학카페] 2억 년 전 화석 계보 밝힌 고(古)단백질체학
2019.10.22
5월 16일자에는 고단백질체학의 위력을 보여주는 논문이 실렸다. 해발 3280m인 티벳
고원
의 한 동굴에서 발견된 16만 년 전 턱뼈의 주인이 데니소바인이라는 사실을 턱뼈에 붙어있는 어금니의 상아질에서 추출한 단백질을 분석한 결과 밝혔기 때문이다. 중국과학원이 주축이 된 다국적 연구팀은 ... ...
이전
1
2
3
4
5
6
7
8
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