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용이
뉴스
"
간편
"(으)로 총 549건 검색되었습니다.
비만은 BMI 25 vs 27?…"허리둘레, 체지방률을 살펴야"
동아사이언스
l
2024.12.08
BMI보다 비만 위험성을 명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방법이 있다. 허 이사는 “BMI는 가장
간편
하게 평가할 수 있는 객관적인 지표이기 때문에 먼저 시행하는 것이고 다른 지표의 확인도 필요하다”며 “허리둘레, 허리-신장 비율, 체지방률 등을 사용해 비만을 측정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허리둘레 ... ...
"산전에 발견된 태아 염색체 이상, 산모의 암 암시"
동아사이언스
l
2024.12.05
DNA 샘플을 분리해 염기서열을 분석한다. 분리된 DNA 중 일부는 태아의 정보를 반영한다.
간편
하게 태아의 다운증후군과 같은 염색체 장애 보유 여부를 알 수 있다. 연구팀은 NIPT에서 '해독할 수 없는 검사 결과'에 주목했다. 2013년 미국 노스캐롤라이나대 의대 연구진이 NIPT에서 비정상적인 결과를 ... ...
3.5mm 초소형 코일로 뇌 자극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4.12.04
대구경북과학기술원 제공 국내 연구진이 초소형 코일로 뇌를 자극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간편
하고 정밀한 뇌 자극 치료에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은 김소희 로봇및기계전자공학과 교수 연구팀이 체내 이식이 가능한 정도로 작은 코일을 사용해 뇌 정밀 자극이 가능한 ... ...
꿈의 신소재 ‘탄소나노튜브’로 차세대 이차전지 용량 높인다
동아사이언스
l
2024.11.25
연구팀. 전기연 제공 국내 연구진이 차세대 이차전지의 친환경 건식 공정에
간편
하게 적용되는 제조 기술을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 차세대 이차전지의 용량을 높이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한국전기연구원(전기연)은 한중탁 나노융합센터 책임연구원 연구팀이 차세대 이차전지 친환경 ... ...
차세대 반도체 뉴로모픽 소재 '마그논' 미세구조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24.11.07
이번 연구에 활용된 마그논 관측 기술은 전기적 방식으로 기존 광학적 방식보다 빠르고
간편
해 관련 소자 연구개발에 폭넓게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안 초빙연구원은 "마그논은 뉴로모픽 소자 이외에도 양자 스핀 큐비트(qubit), 양자 초고속 연결망, 차세대 고정밀 센서를 구현할 소재로도 주목받고 ... ...
40분이면 암 진단…유전자가위 기반 진단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11.05
RNA) 등의 유전물질을 검출하는 방식이다. 기존의 조직 생체검사법이나 영상진단법보다
간편
하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액체 생체검사법은 임상에 적용하기 어렵다. 액체 생체검사법으로 정확하게 암을 진단하기 위해서는 체액 내 바이오마커를 정밀히 탐지해야 하는데 그 양이 매우 적다. ... ...
색깔 변화만으로 건물 노후화 진단하는 구조색 필름
동아사이언스
l
2024.11.04
"필름 나노광학 센서 기술을 활용하면 건축물과 시설물의 노후화 진단이 획기적으로
간편
해진다"며 "정확도 높은 모니터링 솔루션을 낮은 비용으로 제공해 사회 안정성 증대에 기여하겠다"고 밝혔다. - doi.org/10.1021/acsanm.4c03243 국제학술지 'ACS 응용나노재료' 9월 호 표지. ACS ... ...
'진짜' 액체수소로 탱크 안전밸브 성능 검사
동아사이언스
l
2024.10.31
제대로 진행하고 있지 않아 전문가들의 우려를 낳고 있다”면서 “좁은 장소에서도
간편
하고 안전하게 액체수소를 생산하고 안전밸브까지 한 번에 평가할 수 있는 전기연 장치를 통해 국내 수소 산업의 경쟁력을 크게 높일 수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 연구팀은 추가적인 실험을 통해 더 큰 ... ...
충전 필요없이 상처 치료하는 '전기 밴드'
동아사이언스
l
2024.10.30
상처를 빠르게 회복시킬 수 있는 자가구동 전자약이 개발됐다. 배터리 없이 작고
간편
해 상품화 가능성이 클 것으로 기대된다. 삼성서울병원은 최병옥 신경과 교수, 이종희 피부과 교수가 김상우 연세대 신소재공학과 교수와 함께 전자기파 에너지 하베스팅 기술 기반 ‘자가구동 상처치료 ... ...
전자레인지 원리로 나트륨 이온 전지 음극재 제조
동아사이언스
l
2024.10.07
실험 결과 30초 만에 1400℃ 이상으로 고속 가열됐다. 하드카본을 만드는 데 필요한 고온을
간편
하게 달성한 것이다. 연구팀은 자체 개발한 '멀티피직스 시뮬레이션(Multiphysics Simulation)' 덕분에 마이크로파 대역의 자기장이 나노소재에 가해질 때 일어나는 복잡한 과정을 이해하고 신개념 공정을 만들 ... ...
이전
1
2
3
4
5
6
7
8
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