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연구주제"(으)로 총 243건 검색되었습니다.
- 지사탐 12기의 시작 - 발대식을 다녀와서기사 l20240420
- 안녕하세요 허동혁 기자입니다. 2024년 4월13일 이화여자대학교에서12기 발대식이 진행되었습니다. 발대식은 지사탐 활동을 시작 하는 첫 번째 행사 입니다. 이번 발대식이 특별한 점은 다양한 행사 및 부스, 장이권 교수님과 최윤정 단장님의 신작 [지금, 자연은] 싸인회가 있었고 뽈짝이의 디자인이 바뀐점입니다. 지사탐 부스, 스푼빌 부스에서 다양한 용품들을 ...
- 12기 지구사랑탐사대 첫번째 현장교육 - 민물고기 탐사기사 l20240406
- 안녕하세요. 서원식 기자입니다.지난 3월 30일 강원도 강릉에서 12기 지구사랑탐사대 첫번째 현장교육이 진행되었습니다.지구사랑탐사대는 전문 생태학자 연구에 참여할 수 있는 시민과학 프로젝트 활동입니다.지구사랑탐사대 대원이 되면 자연에서 생물을 관찰하고 탐사기록을 팝콘플래닛에 올리면 그 자료로 연구가 진행됩니다.생태 전문가와 자연을 탐사하며 생물을 관찰하고 ...
- 고루한 사람.(프랑켄 2차 창작포스팅 l20240309
- 마지막으로 웃었을 때가 언제였더라. 기억이 나질 않아 찬찬히 뇌리 어딘가를 되짚어보면,아,하는 옅은 신음 아닌 탄성이 터져 나오고눈앞에 그날의 기억이 떠오른다. 무슨 주제의 얘기였는지는 기억 못하나나는 코트를 꺼내 입고 너는 안경을 옷자락에 대충 닦으며 했던 이야기가 있다.나의 발언에 대한 너의 반응이 너무 재밌어서 나는,앙리 자네 참 고루하군 그래,놀렸 ...
- 세상에서 가장 단단한 유리기사 l20240228
- (사진출처: 위키백과) 안녕하세요 김민규 기자 입니다. 오늘의 기사 주제는 세상에서 가장 단단한 유리인 루퍼트 왕자의 눈물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1.유래 방울의 이름은 17세기 초 네덜란드에서 생산되었으며, 보고된 바에 따르면 유리 제작자에게 훨씬 더 오랫동안 알려졌을 것으로 추측됩니다. 그러나 1660년에 영국으로 가져온 라인강의 루퍼트의 이름을 ...
- 서울시에 꽃봉오리보다 더 작은 쥐가 산다고? 멧밭쥐 현장교육!(feat.하늘공원)기사 l20231016
- 안녕하세요, 김도연 기자입니다. 지구사랑탐사대 대원이시라면 들어 보신 적이 있을텐데요, 아마 많은 분들께 이름조차 생소할 '멧밭쥐' 현장교육 후기를 남기도록 하겠습니다. 튤립 속의 멧밭쥐 (출처_Miles Herbert) 멧밭쥐는 갈대나 억새, 벼 같은 벼과 식물의 잎을 엮어 테니스공 같은 둥근 둥지를 짓고 그 속에서 휴식하거나 새끼를 기르며, ...
- 거미도 듣는다?! 거미 모음.zip (지사탐 특별탐사 후기)기사 l20230927
- 안녕하세요? 김규빈 기자입니다. 저는 지난 9월 9일 수원 광교푸른숲도서관 근처에서 진행된 지구사랑탐사대 ‘거미와 소리’ 특별탐사를 다녀왔는데요. 주제는 ‘거미와 소음의 상관관계’ 입니다. 거미가 주변의 소리에 반응을 한다는 것인데요. 귀도 없는 거미가 과연 어떻게 들을까요? 거미는 귀는 없지만 소리가 날 때 공기가 진동하는 것을 다리의 감각털을 통해서 알 ...
- 미션! 세종시 도시숲 생물종을 탐사하고 생태지도를 완성하자.기사 l20230907
- 안녕하세요. 서원식 기자입니다. 지난 8월 26일 토요일, 금강수변공원에서 지사탐 대원들과 함께 세종시 도시숲, 하루종일 탐사 현장 교육이 진행되었습니다. 국립세종수목원과 함께 하는 세종시 금강수변공원 생물종을 탐사하고 생태지도를 만드는 활동이었습니다. 저는 서울.경기팀으로 조류 탐사, 화분매개자 탐사, 식물 탐사 순서 였습니다. 1. 조류 탐사 ...
- 만화가 조경규에 대해 알아보자!기사 l20230829
- 안녕하세요~ 강민호 기자에요~ 오늘은 만화가 조경규에 대해 써보려고 해요. 함께 알아볼까요? (사진출처: 나무위키) ◇조경규는 누구일까? 조경규(1974 ~)는 한국의 일러스트레이터이자 그래픽 아티스트이고, 만화·웹툰을 그리는 작가에요. 현재는 계속 활동을 이어나가고 있지 않지만 2004년에는 인디 록밴드 '무규칙이종예술구국결사 극동3인방', 2005년부터 ...
- [챌린지] 노벨상 후보에 오른 한국의 파스퇴르, 이호왕 박사님기사 l20230731
- 내시는데요. 안타깝게도 일본에서 먼저 백신을 개발하며 해당 연구를 지속할 수 없었습니다. 이호왕 박사님은 유행성 출혈열을 새 연구주제로 택합니다. 유행성 출혈열은 갑자가 열이 나고 배가 아프다가 몸속에서 피가 나서 온몸에 멍이 드는 증상이 나타나는데요. 6.25 전쟁 당시 유행성출혈열로 많은 군인들과 민간인들이 큰 고통을 겪었습니다. 1950년 ...
- [챌린지] 한국 균학 발전에 헌신한 김삼순 교수님기사 l20230730
- 안녕하십니까 안혜린 기자입니다. 오늘은 우리 한국 균학 발전에 헌신한 김삼순 교수님에 대해 기사를 써보았습니다. 지금부터 시작합니다!! 김삼순 교수님은 1909년 전라남도 담양에서 태어나 1927년 경기여자고등학교를 졸업하셨습니다. 김삼순 교수님은 남다른 과학 열정으로한국 균학의 발전을 이끈 한국의 첫 여성 과학자 입니다. 1941년 한국 여성 최초로 제 ...
이전12345678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