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야외
자생
어린이과학동아
"
야생
"(으)로 총 696건 검색되었습니다.
12기 지구사랑탐사대-제비꽃 현장 탐사
기사
l
20240421
때랑 잎 모양이 다릅니다. 꽃이 피어 있을때는 고깔처럼 오무라져 있는데, 꽃이 지면 잎이 활짝 펴집니다. 이미지 출처: 이명호의
야생
화 사이트 다양한 제비꽃 이외에도 같은 보라색인데, 종류가 다른 각시꽃도 알려주셨어요. 그리고 비가 와서 그런지 개구리, 두꺼비들도 많이 관찰 할 수 있었습니다. 현장 탐사를 해 본 건 처음이었는데 재미있 ...
야생
의 섭섭박사님께서 튀어나왔다!
탐사기록
l
20240413
미기록종 포유류 섭섭박사님!!!! ...
용인백상아리 - 240316 - 6
탐사기록
l
20240316
이것은
야생
고양이입니다 발톱은 날카롭습니다. ...
새 TMI 4편- 겨울가객 두루미
기사
l
20240303
하는것을 보았습니다. 사이사이 검은목두루미, 흑두루미도 운이 좋으면 볼수있습니다. 3. 흑두루미 흑두루미는 멸종위기
야생
조류 2급입니다. 천연기념물제 228호로 지정되어있습니다.형태는 온몸의 깃털이 회색빛이 도는 검은색이며 목 위는 마치 흰색 두건을 쓴것 같이 흰색입니다. 노랫소리는 과시행동이나 먹이 경쟁을 할때는 꾸루루르,카-어, 칵 하는 ...
영원히 멸종된 동물 - 아프리카 편
기사
l
20240225
수컷은 1~5마리에 암컷을 데리고 다녔습니다. 하지만 19세기 말 까지 유럽 이민자들에게 남획을 당하였고 1902년 튀니지에서 마지막
야생
개체가 죽었고 1923년 암컷이 동물원에서 폐사해서 완전히 멸종돼었습니다. 지금까지 아프리카에서 멸종된 동물 7마리를 알아보았는데요. 이 동물들은 모두 공통점이 있습니다. 바로 인간에 욕심 때문에 멸종된 ...
게임 관련 )) 여러분 저 오늘 운 좋은건가요
포스팅
l
20240224
포*몬 고 하는데 이렇게 생긴 애 색깔 다른 거
야생
에서 나왔는데 얘 좋은건가요?? 잡긴 잡았는데.. ...
겨울 철새 강연 및 탐조, 두루미 - 지사탐 특별 탐사
기사
l
20240215
잘 보전되어서 철새들의 개체수가 늘고 많은 새들이 찾아오는 곳이 됐으면 좋겠습니다. 시민과학자 활동에 대한 관심과 참여로
야생
동물을 보호하는데 도움이 되어야겠다고 다짐하였습니다. 지금까지 서원식 기자였습니다. 감사합니다. (사진출처:김성훈 대표님 강연 교육용 사진/직접 찍은 두루미 사진 ... ...
스푼빌에서 이루어진 2024년 첫번째 현장교육 - 겨울철새 탐조
기사
l
20240129
합니다. 알은 딱2개씩 낳고 가족끼리 다닙니다. 그래서 두루미 4마리가 같이 다니면 모든 알이 부화한 것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야생
두루미의 수명은 30~50년 정도이고 멸종위기종 1급입니다. 잡식성이고 강화도에서만 갯벌에 있는 두루미를 볼 수 있습니다. 철원이나 순천은 논에 두루미가 있습니다. 두루미의 꼬리는 원래 하얀색이지만 2번째 ...
겨울나기 새를 위한 솔방울 모이주머니 만들기
기사
l
20240120
수 있을까요? 바로 버드피더를 만들어서 새들에게 먹이를 주는 방법입니다. 버드피더(Bird Feeder)란? 새들의 겨울나기를 돕기 위해
야생
새들의 먹이를 나무에 걸어 놓는 것입니다. 버드피더는 여러 종류가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추운 날씨에 먹이가 부족해진 새들과 나누기 위해 감나무의 감을 까치밥으로 남겨놓는 것과 비슷하다고 느꼈습니다 ...
농약이 끼치는 피해
기사
l
20240107
농약이 검출되었으며 올해 초 쑥새 10마리, 멧비둘기 10마리, 새매 2마리 등에서도 역시나 농약 성분이 검출되었습니다. 보통
야생
조류는 미량의 농약을 섭취해도 죽음에 이르지는 않습니다. 그럼 이 새들은 왜 폐사하게 되었을까요? 바로 농작물 피해를 줄이기 위해 고의로 볍씨 등에 농약을 묻혀 대량 살포했기 때문입니다. https://n ...
이전
1
2
3
4
5
6
7
8
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