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공전"(으)로 총 125건 검색되었습니다.
- 계절과 별자리가 어떤 연관이 있을까?기사 l20220213
- 있습니다) (제가 직접 찍은 사진입니다.) 겨울에는 이 별자리가 보입니다. 이렇게 계절에 따라 별자리가 다른 이유는 지구가 태양을 공전하기 때문입니다.태양 쪽에 있는 별자리는 태양 빛이 너무 밝아 볼 수 없고 태양 반대 쪽의 별자리만 볼 수 있습니다.그래서 지구가 움직임에 따라 우리가 볼 수 있는 별자리가 달아집니다. 이상 윤예진 기자였습니다 ...
- 『드림프렌즈』프롤로그포스팅 l20220212
- 공전으로 바뀌는건데요? 네로:..글쎄? 그게 과연 정확한 정보일까? 지금 한말이 틀렸을지도 모르잖아? 은하:그런가?자전인가? 공전인가? 하긴...과학에서 20점도 맞아본적이 없는데 뭐... 네로:그럼 잘 알겠네! 은하:네? 아니...20점 이하밖에 안 맞아봤는데요? 네로:에휴.....그 뜻이 아니잖아..어쨌든 잘 왔어!은하 ...
- 매일매일 오늘의 달시계 후기기사 l20211230
- 하겠습니다! 여기서 질문 하나! (*•̀ᴗ•́*)و ̑̑ 달의 모양은 왜 바뀔까요? 달의 모양이 바뀌는 이유는 달이 지구 주위를 공전하며 태양, 지구, 달의 배열이 달라 지기 때문입니다. 또한 달은 스스로 빛을 내지 못해 태양의 빛을 받는 곳만 밝게 보입니다. 하지만 빛을 받지 못하는 부분은 어둡습니다. 그래서 태양 지구 달의 순서로 ...
- 오늘 저녁 붉은 달이 뜬다? ‘부분월식’!기사 l20211119
- 달이 지구 그림자를 서쪽에서 동쪽으로 지나가면서 일어나게 되는데 이는 달의 공전 운동 때문이라고 합니다^^. 달의 공전 운동은 흥미로운 것 같아요~!! 이번 부분월식은 한국에서 볼 수 있는 올해 마지막이라고 합니다ㅠㅠ. 왜 그럴까요? 정말 아쉬운데 말이예요~. 이에 대해 한국천문연구원은 이번 부분월식이 올해 주목할 만한 천 ...
- 아도긂대 - 그공전 당발포스팅 l20211018
- -정ㅇ나님 출처 드디어 당발날입니다 !! 긴말 안하고 빨리 당발할게요 : ) 2분만 뽑고, 유튜브 프사는 1분(1등) 그림으로만 할 예정이에요 :P 2등!! https://kids.dongascience.com/presscorps/postview/3238 ...
- 아도의 프필 # 그공전 공지포스팅 l20211016
- 아도의 프로필을 그려주세요 ! - 그림공모전 [ 상품 깊콘 ] : 어린이과학동아&어린이수학동아 (dongascience.com) 이 링크 입니닷 : ) 참가 신청해주신 모든분들 감사합니다..!! 신청은 이렇게 끝났구요, 제출기간 17일까지에요오 ! 일단 신청해주신 분들은 소윤님 나윤님 유리아님 유나님 가은님 우진님 이ㅇ서님, 손ㅇ서님 은채님, (벌 ...
- 남극이 추울까 북극이 추울까??기사 l20211010
- 태양 빛을 가장 적게 받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우리가 사는 푸른 행성 지구는 23.5도 정도 기울어진 상태로 자전하며 태양 주위를 공전 합니다. 그렇다 보니 극지방은 때론 태양빛을 보지 못합니다. 와.. 그러다 보니 태양빛을 오랫동안 보지 못하거나 비스듬히 적은양의 태양빛을 받으니 추워지는거죠!!! 2. 남극이 북극보다 추운이유 북극과 ...
- 태양계 행성은 8개인데...원래는 9개였다고?기사 l20210927
- 물체 주위를 곡선으로 도는 이동 경로) 이유3:위성을 끌어당기는 힘이 약함 행성이 되려면 태양빛을 반사,태양을 중심으로 일정하게 공전하고,주변의 천체를 지배할 힘이 필요합니다. (천체:우주에 있는 별, ...
- 추석에는 왜 보름달이 뜰까?! 숨겨진 비밀!기사 l20210917
- 경우와 비슷하다고 하는데요, 하지만, 보름달이 뜰 때마다 월식이 일어나지 않는데, 그 이유는 지구의 공전 궤도와 달의 공전 궤도가 약 5도 정도 기울어져 있기 때문이며 '태양 - 지구 - 달'이 정확히 일직선이 됐을 때에 월식 일어난다고 해요. 정말 어려우면서도 신기하다고 생각되어요! 여기서, 한 가지! '월식' 의 뜻은 ' 달이 ...
- [9월 1일자] 제 9회 별빛 미션! 지구가 토성이나 목성의 위성이라면 무슨 일이 생길까요?놀이터 l20210826
- 6~17세기 이탈리아의 과학자 갈릴레오 갈릴레이는 1610년 목성의 위성 4 개를 처음 발견했어요. 그는 목성을 꾸준히 관찰해 4개 위성의 공전주기를 계산했는데, 이는 현재 알려진 값과 큰 차이가 없을 정도로 정확했답니다. 현재까지 알려진 목성과 토성의 위성은 각각 79, 82개로 매우 많아요. 이 중 목성의 위성인 가니메데와 토성의 위 ...
이전12345678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