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혐오"(으)로 총 175건 검색되었습니다.
- 신종 전염병, 장기전에 대비한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5호
- 9 확산으로 유럽에서는 아시아인을, 우리나라에서는 중국인을, 중국에서는 우한을 두고 혐오발언이 나오고 있어. 과학적인 근거 없이 비난하는 태도는 그저 사람들을 위축시키고, 감염 확산을 막는 것도 어렵게 해. 그러니 서로에게 선을 긋기 전에 다함께 바이러스를 ‘뻥’ 차자 ... ...
- 2040년 로봇을 예측하다과학동아 l2020년 01호
- 닮은 로봇은 여러모로 불편한 문제를 일으켜요. 인간에게 감정적으로 미움을 받거나 혐오스럽다며 배척을 당할 수도 있고, 반대로 지나치게 사람처럼 대접받을 수도 있죠. 그러면 일을 시킬 수가 없어서 또 문제가 되겠죠. 이런 상상 속 로봇의 실현 가능성은 어느 정도일까요? 작품을 집필하는 약 ... ...
- 청소년 자해, 스스로를 벌주는 아이들과학동아 l2019년 03호
- 정서조절을 할 수밖에 없다. 오 전문의는 “자해 경험자들은 대부분 수치심, 자기혐오, 절망 등 부정적 감정이 생길 때 그 감정을 해소하기 위한 방식으로 자해를 한다”고 말했다.배승민 가천대길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는 “자해는 연구 대상의 수조차 제대로 파악되지 못하다 보니 연구가 ... ...
- [프리미엄 리포트] 내 모든 걸 다 줬는데, 날 미워하면 안 ‘돼지’ 인류를 구원한 돼지과학동아 l2019년 01호
- 복과 다산(多産)을 상징하는 긍정적인 이미지다. 하지만 동시에 더럽고 천박하며 게으른, 혐오의 대상으로도 여겨진다. 사실 돼지는 인류를 위해 모든 것을 줬다. 그 시작은 가축화였다. 연간 20~30마리 출산, 식량에 최적화 자고로 돼지는 유목이 되지 않는다. 소나 양, 그리고 염소는 특별히 먹이를 ... ...
- 크리스마스에 솔로인 당신 ‘AI 연인’은 어떠세요과학동아 l2018년 12호
- 담긴 감정을 파악하는 방법을 터득했습니다. 이를 적용한 에버는 기쁨, 슬픔, 놀람, 화남, 혐오 등 12가지 감정을 담은 표정을 지을 수 있습니다. 장 수석연구원은 “사회학자 알버트 메리비안은 우리가 다른 사람의 말을 이해할 때 언어가 차지하는 비중은 7%, 음조, 억양, 크기 등의 목소리가 38%, ... ...
- [매스미디어] 뮤지컬, 프랑켄슈타인수학동아 l2018년 08호
- 아니었던 겁니다. 무시무시한 얼굴을 가진 자신의 창조물을 본 순간 숨 막히는 공포와 혐오감을 느낍니다. 빅토르는 창조물을 괴물로 규정하고 무책임하게 도망칩니다. 2년이 지나고 기억이 희미해질 무렵, 빅토르는 동생 윌리엄이 살해됐다는 비극적인 소식을 듣게 됩니다. 사람들은 빅토르 ... ...
- [Future] 오페라 무대 선 로봇 디바 ‘에버’과학동아 l2018년 04호
- 표정을 지을 수 있다”고 말했다. 에버가 만드는 12가지 표정은 기쁨, 슬픔, 놀람, 화남, 혐오, 두려움, 흥미, 좌절, 고통, 멍한 표정, 놀림, 윙크 등이다. 얼굴에 삽입된 23개의 소형 모터에 와이어를 달고 피부와 연결시켜서 표정을 구현한다. 이를 위해 연구팀은 사람의 얼굴 근육의 해부학적 배치와 ... ...
- [Culture] 과학동아가 선정하는 이달의 책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이후에도 배설물의 생태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고 말했다. 책 전반에서 이렇게 혐오스러운 이미지를 갖춘 대변(大便)을 대변(代辯)한다. 인간이 필요하지 않다고 여긴 찌꺼기가 다른 생명에겐 꼭 필요한 물질이 되는 사례들도 소개한다. 간단하게는 대변은 비료가 된다. 또 벌레는 다양한 ... ...
- Part 4. [이그노벨상] 고양이는 고체일까, 액체일까?과학동아 l2017년 11호
- 목록에 올랐다. 치즈를 싫어하는 사람의 뇌를 기능성자기공명영상(fMRI)으로 연구해 뇌가 혐오감을 느끼는 과정을 연구한 장-피에르 로이트 프랑스 리옹신경과학연구센터 박사팀이 의학상을 받았고, 나이 든 남자의 귀가 큰 이유를 연구한 영국의 물리학자 제임스 히스콧 박사는 해부학상을 받았다. ... ...
- [Culture] 과학동아가 선정하는 이달의 책과학동아 l2017년 10호
- 병이란 존재할 수 없다. 직장과 학교와 가정에서 맺는 수많은 관계 속에서 겪는 차별, 혐오, 고용 불안, 재난의 경험이 몸에 스며들어 병을 유발한다. 그리고 이 같은 요인은 모든 인간에게 동일하게 분포돼 있지 않다. 의료기술이 아니라 사회적 해결책이 필요한 이유다. 결국 개개인의 삶에 대한 ... ...
이전12345678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