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해조"(으)로 총 211건 검색되었습니다.
- [지구사랑탐사대] 바닷물고기 특별탐사! 첨벙첨벙 발 구르면~ 물고기가 파닥파닥!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7호
- 물고기는 좀처럼 잡히지 않았어요. 열심히 발을 굴러봐야 족대에 들어오는 거라고는 해조류뿐이었지요. 이십여 분이 지나 마침내 기쁨의 외침이 들렸어요.“와, 엄청 크다!”늘푸른 팀의 오민혁 대원이 이날 채집한 물고기중 가장 큰 별망둑을 잡았어요. 오 대원은 별망둑이 있는 채집통을 들고 ... ...
- Part 4. [우리의 노력 2] 1회용품 사용을 줄이자!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9호
- ‘롤리웨어(LoliWare)’는 식용 빨대 ‘롤리 스트로’를 개발했어요. 롤리 스트로는 해조류로 만들어져서 씹어 먹을 수 있고, 음료에 담가 놓으면 24시간이 지난 뒤 녹아내린답니다. 또 이 식용 빨대는 땅에 버리더라도 60일 이내에 100% 자연 분해되어 환경 오염 걱정이 전혀 없답니다. ➊ 독일 ... ...
- Part 5. [우리의 노력 3] 분리수거 제대로 해요~!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9호
- 만든 레고 블록과 해조류로 만든 빨대라니…. 정말 신기하지만 아직 우리 주변에서 찾아보기 어렵습니다. 지금 당장 우리는 어떤 노력을 할 수 있을까요? 지저분한 재활용품 NO!가장 중요한 건 제대로 분리수거를 하는 거예요. 현재 우리나라는 종이, 플라스틱 등 재활용 쓰레기와 음식물 쓰레기를 ... ...
- [과학뉴스] 해조류 죽이는 바이러스가 구름을 만든다?과학동아 l2018년 09호
- 수조에 담긴 바닷물에는 mL당 코콜리스 입자가 2000만 개가량인 것으로 조사됐다. 하지만 해조류가 EhV에 감염된 지 5일 뒤에는 바닷물에서 발견된 코콜리스 입자 수가 3배 이상 증가했고, 공기 중 코콜리스 입자 수는 10배 가까이 늘었다. 연구팀은 “수조 실험에서 대기 중 코콜리스 입자 수가 ... ...
- [통합과학 교과서] 새로운 능력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서식해요. 그런데 바다가 산성화되면 다시마 같은 대형 갈조류들은 사라지고 대신 작은 해조류들만 남아요. 이에 따라 중간 어종은 서식지가 없어지면서 그 수가 줄게 되고, 반면에 천적이 사라진 작은 물고기들의 수가 크게 늘어난 거예요. 연구를 이끈 이반 네이겔커켄 교수는 “육지 생태계로 ... ...
- 인공어초 파헤치기수학동아 l2018년 05호
- 후류역은 인공어초 설계에 아주 중요한 요소예요. 물고기가 헤엄칠 때 힘이 적게 들고 해조류 포자를 주변 암반에 안착시키거든요. 후류역을 정확하게 알아야 적절한 간격으로 인공어초를 설치할 수 있습니다. 만약 단일어초 하나의 후류 길이가 10m인데 간격을 30m로 뒀다면 포자가 암반까지 ... ...
- Part 2. 고층대기부터 유전체 발굴까지 극지 연구의 현재과학동아 l2018년 03호
- 물개, 지의류 등 육상 식생과 기지 앞 바다 마리안 소만의 조간대와 바닷속에 서식하는 해조류, 저서동물에 대한 기초 조사에 착수하며 연구 활동을 시작했다. 본격적인 해양생물연구는 1990년대 시작됐는데, 특히 기지 앞바다에 많이 살고 있는 ‘남극큰띠조개(Laternula elliptica)’의 얼음바다 속 생존 ... ...
- [Culture] 과일잼&미역잼과학동아 l2018년 03호
- 그래서 잼을 만들기 위해서는 설탕을 많이 넣어야 합니다. 한편 미역이나 다시마 등 해조류에는 메톡실기가 50% 이하로 적은 저메톡실펙틴(low methoxyl pectin)이 들어 있습니다. 이 펙틴은 고메톡실펙틴에 비해 에스테르결합이 적기 때문에, 가열하지 않고 칼슘이나 마그네슘 같은 2가 양이온(Ca2+, Mg2+)을 ... ...
- Part 3. 모래, 사라지면 모두 위험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0호
- 웅덩이가 움푹!바다에 사는 물고기들은 모래에서 알을 낳거나 겨울잠을 자요. 또 해조류나 새우, 산호 같은 동물은 모래에서 먹이활동을 하지요. 그래서 무분별하게 모래를 채취하면 바다 생태계가 파괴돼요. 특히 모래를 퍼올린 자리에 살고 있었던 생물은 직접적인 피해를 입는답니다. 문제는 또 ... ...
- Part 4. 나무를 지켜라! 바다에서 온 종이?!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4호
- 수술 재료나 몸에 부착하는 전자기기에도 활용할 수 있답니다.한편, 바다에 풍부한 해조류를 이용해 만든 종이도 등장 했어요. 충남대학교 서영범 교수팀은 우뭇가사리나 김 등의 ‘홍조류’에서 홍조 섬유를 얻어 종이를 만드는 기술을 개발했답니다. 홍조류는 바다 어디에서든지 자랄 수 있고, 두 ... ...
이전12345678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