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해양"(으)로 총 1,916건 검색되었습니다.
- [4컷 만화] 공벌레는 로봇의 손!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4호
- 로봇의 그리퍼로 활용될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어요. 연구팀은 공벌레와 해양 연체 동물인 군부에 주목했어요. 공벌레는 몸을 공 모양으로 만들어 물체를 가둡니다. 군부는 발로 물체를 강하게 붙잡는 특징이 있죠. 연구팀은 로봇의 팔 끝에 동물들이 앉을 수 있는 자리를 3D 프린터로 ... ...
- [과학뉴스] 목이 긴 타니스트로페우스의 약점은?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4호
- 포식자의 표적이 될 위험에도 불구하고 긴 목은 1억 7500만 년에 이르는 긴 시간에 걸쳐 해양 파충류에서 계속 발견된 특징이에요. 스테판 스피크만 박사는 “긴 목이 포식자의 표적이 될 위험보다 생존에 유리하게 작용했을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라고 말했습니다 ... ...
- [통합과학교과서] 벼락 맞은 집을 지켜줘!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4호
- 바 있습니다. 지난 6월 20일, 미국지질조사국은 통가 해저 화산 폭발 당시 미국 국립해양대기청(NOAA)에서 운영하는 정지궤도위성 고스(GOES)-17의 데이터를 분석한 새로운 결과를 발표했어요. 연구팀은 위성에 탑재된 번개 분석 데이터를 이용해 통가 화산이 분출할 때 반경 약 140km 내에서 19만 2000번의 ... ...
- [가상인터뷰] 한국 고유종 ‘미유기’를 지켜라!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3호
- 한국 고유종인 미유기의 개체수를 유지하기 위해 여러 노력을 하고 있어. 경기도해양수산자원연구소가 인공적으로 미유기를 번식해 강에 방류하는 사업이 대표적인 사례지. 이를 위해서는 미유기의 산란에 관한 지식이 필요한데, 그간 미유기가 어떤 조건에서 알을 잘 부화시키는지에 관해서 ... ...
- 대만 지질탐험대 여행 미리보기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3호
- 공원대만의 그랜드캐니언이라 불리는 타이베이 남동쪽에 위치한 타이루거 공원. 필리핀 해양판이 유라시아 대륙판과 충돌하며 대만을 형성했고, 천천히 융기한 산맥의 지표암이 풍화와 침식을 거쳐 표면에 대리석으로 드러났어요. 이 대리석 암반은 리우 강에 의해 침식되고, 계속 융기되면서 ... ...
- [한 장의 과학] 서남극 빙붕의 돌이킬 수 없는 미래과학동아 l2023년 12호
- Circumpolar Deep Water)가 흐르는데, 이 해류는 기후변화에 따라 더욱 강해진다. 연구팀은 해양 모델 시뮬레이션을 이용해 지구 평균 온도가 산업화 이전 대비 1.5℃ 오르는 시나리오와 2℃ 오르는 시나리오, 현재 추세로 온실가스를 계속 방출하는 시나리오인 ‘RCP 8.5’ 시나리오 등 5가지 시나리오에 따라 ... ...
- [기획] 해저 5000m 아래 보물찾기, 바다생물은 안전할까? 심해 채굴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2호
- 안녕? 나는 태평양 수심 4000m 아래 사는 ‘캐스퍼 문어’라고 해. 유령처럼 투명한 몸으로 깊은 바다의 바닥을 기어다니지. 그런데 최근 고요하던 심해를 소란스럽게 하는 방문객들이 많아졌어.거대한 기계들이 바닥에 놓인 돌을 가져가는데?누가 그 이유를 좀 설명해줄래? ▼이어지는 기사를 보 ... ...
- 심해의 돌 속엔 배터리가 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2호
- 있어요.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형기성 연구원은 “중금속이 해수에 녹아들면 평상시 해양 환경에서는 극히 낮던 중금속 농도가 비정상적으로 높아질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 ...
- [통합과학 교과서] 더위를 피하려던 임금님, 사기 당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2호
- 이름이 붙었지요. 구름이 만들어지고 비가 내리고 바람이 부는 기상 현상은 해양과 대기의 순환 덕분에 일어나요. 이 때문에 바닷물의 온도는 주변 기상 현상에 큰 영향을 줍니다. 따라서 엘니뇨 현상이 나타나면 동태평양 지역에선 상승 기류가 강화돼, 큰 구름이 생기고 많은 비가 내립니다. ... ...
- [최신이슈] 과학동아로 돌아본 올해의 이슈 10과학동아 l2023년 12호
- 오염수 방류 시작8월 24일, 일본 후쿠시마 제1 원자력발전소에 쌓여 있던 오염수가 최초로 해양에 방류됐다. 일본원자력규제위원회가 오염수를 희석해 바다에 버리겠다는 도쿄전력의 계획을 승인한 데 따른 결과였다. 이후 10월 5일에는 2차 방류, 11월 2일에는 3차 방류가 이뤄졌다. 후쿠시마 제1 ... ...
이전12345678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