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해독"(으)로 총 678건 검색되었습니다.
- [이달의 과학사] 1946년 2월 14일 컴퓨터의 선구자, ‘에니악’ 공개되다!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3호
- 1939년 미국 아이오와주립대학교의 아타나소프 교수가 만든 ‘ABC’나, 영국의 암호 해독가들이 1943~1945년 사이에 활용한 ‘콜로서스’가 최초의 컴퓨터라는 주장도 있지요. 특히 콜로서스의 경우 영국 정부가 국가 기밀로 숨겼기 때문에 오랫동안 존재조차 알려지지 않았지요.그렇지만 에니악이 ... ...
- 두 번째 방_수상한 잡동사니방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03호
- 글자만 1, 3, 2의 순서대로 읽어 봐요. 여러분은 방금 ‘크립토그램’이라는 문자 암호를 해독한 거랍니다. 크립토그램은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를 다른 문자나 숫자 속에 숨겨놓는 암호예요. ●보인다, 보여~. 숨은 규칙 퍼즐의 재미는 숨은 ‘규칙’을 찾는 데 있어요. 어떤 그림이나 문자, ... ...
- [특집] 한국호랑이 복원 프로젝트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2호
- 박종화 교수가 이끈 국제공동연구팀은 2013년 세계 최초로 호랑이의 유전자 지도를 해독했습니다. 그 결과, 한국호랑이는 지금 북한, 중국, 러시아 접경지대를 중심으로 서식하는 아무르호랑이와 유전적으로 같다는 사실이 밝혀졌죠. 한국호랑이는 우리나라 야생에 없을 뿐, 아직 사라진 건 아니라는 ... ...
- [상품암호문해독서] 겨울철 고민 실내 오염물질을 청정하게과학동아 l2022년 02호
- 쓰인다. 공기 질을 개선할 방법은 없을까. 상품에 숨은 기술을 살펴보는 ‘상품암호문해독서’에서 대표적 실내 오염물질인 포름알데하이드를 제거하는 기술을 살펴봤다. 미국폐협회(ALA)에 따르면 사람은 하루에 9000L 이상의 공기를 호흡한다. 전용면적 75m² , 높이 2.5m인 집을 가득 채운 공기가 1만 ... ...
- [엣지 사이언스] 윤리·데이터법 개정 물꼬 트나? 희귀질환 게놈 진단 시대과학동아 l2022년 01호
- 게놈을 해독한 결과를 논문으로 발표했고, 지난해 4월에는 초기 목표였던 1만 명 게놈 해독을 완료했다. 게놈 코리아 프로젝트를 이끌고 있는 박 교수는 “게놈 분석 수가 늘면 늘수록 질병을 진단하는 능력은 정확해진다”며 “한국도 100만, 1000만 게놈 분석 프로젝트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 ...
- [상품암호해독서] 껍데기는 가라, 스스로 녹는 캡슐 세제과학동아 l2022년 01호
- 오들오들 떨리는 추운 날씨에도 인스타그램에 첫눈을 인증하는 일은 잊지 않는 것. 그것이 바로 ‘프로감성러’의 길이다.빠르게 울리는 ‘좋아요’ 알림에 흐뭇하던 그때 문득 깨달았다. 내가 입은 롱패딩이 축축해지고 있다는 걸. 자취 1년차, 집에 들어오자마자 능숙하게 롱패딩과 캡슐 세제 ... ...
- [SF소설] 계산하는 우주과학동아 l2022년 01호
- 동류와 헤어진 뒤 한 번도 사용하지 않았던 인터버스 네트워크에 접속했다.“이 통신을 해독할 수 있으면 응답할 것.”답신할 수 없다면 상대는 인공지능이 탑승하지 않은 원시형 탐사기였다. 그러면 문제될 게 없었다.“응답 가능함.”장만은 한 가닥 희망을 버리지 않고 물었다.“자동 송신인가 ... ...
- [SF소설] 대합창과학동아 l2021년 12호
- 26 말고 다른 전파 신호는요? 다른 외계인들이, 다른 시대에 보낸 통신문 내용 중에도 해독된 게 있어요?”“몇 개 더 있어. 내용은 비슷해. 은하계 문명의 거의 보편적인 법칙처럼 생각해도 될 정도야.”“보편적이라면 다들 비슷비슷하다는 거예요? 시간적 유사성 가설?”“맞아. 몇 천 년 먼저 망한 ... ...
- [만렙! 디지털 리터러시] 외계인 찾는 디지털 협업이 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1호
- 때 컴퓨터가 인식하지 못하는 오래된 문서를 사람이 입력하게 하여 오래된 문서를 해독하는 프로젝트지요. 그렇다고 디지털 협업이 꼭 거창해야만 하는 건 아니에요. 어쩌면 평소 친구들과 온라인 채팅방에서 약속을 잡기 위해 정보를 공유하는 과정도 디지털 협업일 수 있어요. 원격 수업 과정에서 ... ...
- 잘 읽히는 글꼴, 기억 잘 되는 글꼴은 따로 있다?과학동아 l2021년 10호
- 읽은 사람으로 하여금 어떤 글자인지 판단하는 시간을 줄여 글자 읽는 속도를 높이고, 해독에 따른 피로도 낮춘다고 주장했다. 세리프가 다음 글자로 눈을 움직이는 데 도움이 된다고 주장하는 전문가도 있었다.하지만 가독성을 평가할 수 있는 과학적인 기준과 기술이 개발된 현재는 ‘꼭 ... ...
이전12345678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