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부대
군대
해군
d라이브러리
"
함대
"(으)로 총 58건 검색되었습니다.
현대전의 승패 판가름내는 전자전
과학동아
l
1993년 10호
채프뿐만 아니라 기구에 레이더반사기를 실어 독일군측 해안레이더에 대규모의
함대
와 같은 큰 목표물이 전시되도록 했다. 아울러 연합군측의 기만송신 허위문서유출 등의 기만작전으로 독일군은 병력을 허위목표물이 나타난 지역으로 집중시켰고 연합군은 이를 이용, 방어력이 약화된 노르망디에 ... ...
군함
과학동아
l
1993년 09호
경우 속도가 빠르고 핵탄두를 장착한
함대
지 미사일을 보유한 잠수함도 있다 이들 전략
함대
지 미사일을 장착한 잠수함은 원자력추진 핵잠수함이라고 불리며 은밀하게 위치를 수시로 이동하거나 적국에 근접해 공격할 수 있기 때문에 위협이 큰 전략적 병기로 인식돼 왔을 뿐만 아니라, 과거 소련의 ... ...
엑슨 발데즈 원유유출사건 그 후
과학동아
l
1992년 03호
배를 정지시키려면 4.8㎞나 미끄러져야만 했다. 이 배의 선장은 조셉 하젤우드. 그는 엑슨
함대
의 가장 우수한 선장 중의 한 사람이었다.발데즈 호가 터미널을 떠난 지 한 시간 후, 가장 위험한 해역인 발데즈 해협을 통과하고 있었다. 엑슨 발데즈가 항구를 빠져나가서 안전한 외해로 항해할 때까지는 ... ...
암호 만드는 기계, 암호 푸는 기계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장군이 이끄는 일본 최강의 연합
함대
는 미드웨이 해상에서 숨죽이며 기다리던 미국
함대
에 의해 완전히 괴멸하고 말았다.암호해독술과 재치가 안겨다준 승리였다. 당시 일본이 사용한 D암호는 자신들이 최강의 암호라고 믿었음에도 불구하고 90% 이상이 미국에 의해 해독됐다. 일본은 독려차 떠난 ... ...
울릉도 보물선을 건져 올려라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걸쳐 이루어졌지만 아직도 인양에 대한 실마리를 풀지 못하고 있다. 이순신 장군이
함대
지휘를 하지 못했던 시기에 여러 거북선이 침몰했으므로 패전 해역을 중심으로 고성 충무 거제도 여수 인근의 옛 격전지를 조사했으나 대상해역이 매우 넓어 탐색에 어려움이 많았다. 성공적인 인양이 ... ...
"이제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은 없다"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보냄으로써 사우디의 식수원인 담수화공장의 가동을 방해하고 해상의 다국적군 전투
함대
를 무력화시키자는 의도였을 것으로 풀이된다.그러나 정작 석유가 위협한 것은 다국적군 이전에 이 지역을 보금자리로 살고있던 수많은 해양생물이었다. '불모'의 사막이라는 주변지역 이미지와는 달리 ... ...
「X선 레이저 빔」 기술적 난관에 부딪쳐
과학동아
l
1990년 04호
10만개의 방사선 빔을 조사할 수 있다. X선 레이저 단 한발이면 순식간에 소련 미사일
함대
를 산산조각 낼 수 있지만, 폭발의 위력이 너무 엄청나서 심지어 X선 레이저 자체도 화염속에서 파괴될 정도다.그러나 아직 구체적인 실현단계에 이르지 못한 X선 레이저 연구는 기술적 재정적 문제와, ... ...
PARTⅠ날로 용도가 확대되는 태양열 발전
과학동아
l
1989년 09호
얻는 장비이다. 고대 그리스의 아르키메데스가 원시적인 평면경을 이용, 로마의
함대
를 불태워 무찔렀다는 기록이 태양로의 효시. 그후 1957년 트롬베(Trombe)는 태양열로 로켓 및 고온 응용에 쓰이는 난용해성 물질을 연구하기 위해 태양로를 부활시켰다. 3천℃이상의 고온을 취득하기 위한 방법으로 ... ...
PART3 역사상의 거선(巨船)들
과학동아
l
1989년 07호
맞이하였다. 우리는 그런 전형을 트라팔가해전(1805) 당시 넬슨제독이 탑승한 영국
함대
의 기함 빅토리호에서 찾아볼 수 있다. 다음은 빅토리호의 주요요목이다.17·18세기 유럽 열강은 해군력의 강화에 주력하면서 대개 빅토리호 만큼 거대한 기함과 이에 부수된 전함을 다수 보유하고 있었다. 전함은 ... ...
석유·천연가스 등 자원과 군사적필요에 의한 새로운 관심 북극
과학동아
l
1989년 02호
사정거리는 9천km 이상이므로 미국을 비롯한 서방의 주요 공업국가들은 모두 소련의 북극
함대
사정거리안에 놓여 있다고 할 수 있다. 미국이 소련으로부터의 선제공격에 대비하여 북극주변에 많은 수의 미사일 조기경보장치를 설치한 것도 바로 이 때문이다.북극이 군사전략적으로 중요하게 ... ...
이전
1
2
3
4
5
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