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하지"(으)로 총 5,227건 검색되었습니다.
- [Rethinking] 제12화. 수학의 본질은 무엇인가?수학동아 l2024년 01호
- 오늘 이 시간 나눈 짧은 논의로 수학이 무엇인지 알았다고 말하기는 어렵습니다. 하지만 적어도 1년 동안 이 연재를 함께한 여러분에게 수학에 대해서 자신만의 생각을 가지는 기회가 됐으면 좋겠습니다. 지금까지 Rethinking을 사랑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
- 몸과 머리의 비율이 중요해!어린이수학동아 l2024년 01호
- 다루는 만화에서는 실제 사람의 비율과 가장 비슷한 6등신과 7등신 캐릭터를 많이 활용하지요. 캐릭터와 웹툰을 그리는 이지연 작가는 “괴물처럼 독특한 특징을 가진 캐릭터를 그릴 때는 얼굴에 비해 몸을 지나치게 길게 그리는 등 일부러 비율에 맞지 않게 그리기도 해요. 이렇게 비현실적으로 ... ...
- 맞춤형 생성AI 만들기 - 위대한 이론물리학자, 아인슈타인 챗봇과학동아 l2024년 01호
- 자연의 본성은 내가 생각하는 ‘실재’와 일치하지 않았소. 나는 “신은 주사위 놀이를 하지 않는다”라는 유명한 말로 이러한 견해를 표현했소. 나는 물리적 현상이 근본적으로 결정론적이며, 완전한 이론은 이런 결정론적 본성을 반영해야 한다고 믿었소. 내가 양자역학에 대해 제기한 가장 ... ...
- [과동키즈] “꿈이 있다면, 자신을 믿고 도전하세요”과학동아 l2024년 01호
- “꿈이 있다면 도전하라”고 말하고 싶다. 기초과학은 인문학이나 예술에 가깝다. 하지 않아도 먹고 살지만 인류 문화의 다양성과 지적 경계를 넓힌다. 호기심을 해결하려는 시도가 수백 년 후엔 전 인류의 삶을 바꿀 수 있는 일. 그것이 기초과학이다. 우주가 어떻게 존재하는지, 그 기저에 뭐가 ... ...
- [이달의 책] 재난에 맞서는 과학: 오늘의 과학 탐구과학동아 l2024년 01호
- 경계나 그것들이 일어나는 이유는 물론, 하거나 하지 않는 방법까지 무엇도 간단, 분명하지 않다는 사실을 말이다. 그는 ‘행동’에서 생물학과 신경학이 결합한 그의 신경과학 지식과 뇌의 신경생물학, 뇌를 자극하는 호르몬의 내분비학, 인간 개체의 유전학, 인간들이 모인 역사학, 도덕철학을 ... ...
- [눈치상] 갈매기는 남의 과자가 더 맛있어 보인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24호
- 결과, 사람이 아무 행동을 하지 않았을 때는 갈매기의 18.75%만 과자 봉지에 접근했어요. 하지만 간식을 먹는 시늉을 하자 갈매기의 47.57%가 봉지에 접근했고, 그중 95.45%는 사람이 든 것과 같은 색의 과자 봉지 속 감자칩을 쪼아 먹었습니다. 연구팀은 재갈매기가 사람의 행동에 주의를 기울이는 높은 ... ...
- [질문하면 답해ZOOM] 지구온난화라는데 왜 겨울이 더 추워지나요?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24호
- 눈은 하루 종일 분비물을 만들지만, 깜빡임 덕분에 안구 표면에 노폐물이 쌓이지 않아요. 하지만 자는 동안에는 오랜 시간 눈을 깜빡이지 않기 때문에, 눈꼬리와 속눈썹 라인을 따라 분비물이 쌓인 채로 굳어 눈곱이 생기지요. 눈곱이 끼었을 때 손으로 눈을 비비고 싶은 유혹이 생기더라도 참는 게 ... ...
- [꿀꺽! 생활 속 수학 두 입] 코딩으로 널 찾으러 가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24호
- 미로에는 장애물은 없지만, 빙글빙글 미로를 계속해서 돌도록 코드 블록을 나열해야 하지요. 이때, 바로 뒤에 같은 코드 블록이 반복해서 나온다면 ‘반복하기 블록’을 사용할 수 있어요. ‘코드 실행’의 빈칸을 채우고, 달팽이 미로를 통과하세요. 달팽이 미로 끝에서 열쇠를 찾을 수 있어요.내가 ... ...
- [Level up! 디지털 바른생활 범용인공지능(AGI)의 시대 그대들은 어떻게 살 것인가?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24호
- 범죄가 될 수 있지요. 그저 냉장고의 전원을 켰다 끄는 것과는 다를 수 있으니까요. 하지만 의식과 지능은 별개의 영역이기 때문에 지능이 아무리 뛰어나도 인공지능에게 의식이 생기지는 않을 거라는 지적도 나와요.이렇듯 AGI에 대한 여러 기대와 우려의 목소리가 있습니다. 여러분은 앞으로 AGI와 ... ...
- [출동, 슈퍼M] 귀에 쏙쏙 들어오는 노래의 비밀은?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24호
- 두 번째 박에는 약하게, 세 번째 박에는 중간 크기로, 네 번째 박에는 약하게 소리를 내야 하지요. 박자와 셈여림에 맞춰 박수를 치면서 아래 동요를 불러 보세요! 박자뿐만 아니라 노랫말에도 규칙이 숨어 있어요. 노래를 귀에 쏙쏙 들어오게 만드는 규칙을 자세히 알아봐요! 한 번만 들어도 기억에 ... ...
이전12345678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