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초원
잔디밭
목초지
스텝
잔디
목포지
목장
d라이브러리
"
풀밭
"(으)로 총 67건 검색되었습니다.
큰실베짱이의 탈피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5호
곤충은 어미가 낳은 알에서 어른벌레가 되기 전에 애벌레나 번데기의 시기를 거쳐요. 이처럼 모습이 바뀌며 어른벌레가 되는 방식을 변태라고 하지요. ... 메뚜기목 여치과에 속하는 곤충이에요. 애벌레는 무더위가 한창인 7, 8월에 숲가장자리나
풀밭
에서 껍질을 벗고 어른벌레가 되지요 ... ...
화학나라 토끼의
풀밭
식사
과학동아
l
2007년 05호
화학나라 초원에는 토끼가 산다. 드넓은 초원에 말뚝 하나가 서 있고 작은 토끼 한 마리가 튼튼한 고무줄에 묶여 있다. 고무줄의 길이는 1km 정도로 아주 길고 말뚝 위에 토끼가 좋아하는 당근이 있다. 토끼는 당근이 있는 말뚝 쪽으로 가려하지만 말뚝에 도착해도 높이 때문에 당근을 먹을 수 없다. ... ...
습지에 한번 빠져 보세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21호
가꾸는 사람들’이 한 달에 한 번씩 둘째 주 토요일에 견학 프로그램을 만들었어요.
풀밭
을 밟을 때마다 온갖 곤충들이 벌이는 뜀박질을 놓치지 마세요 ... ...
자연의 색을 돌려 줘!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20호
왔다. 우리 조상들이 가장 고귀한 색으로 여긴 보라색은 자초 혹은 지치(산이나 들의
풀밭
에 절로 나는데, 뿌리는 자줏빛이고 굵으며 높이는 30~35cm이다)라고 불리는 식물로부터 얻었다. 고려시대의 자초염색 기술은 세계적으로 유명했다고 전한다. 또 그 다음 중요한 색인 붉은색은 홍화에서 나오는 ... ...
패턴의 바다에서 솟아나는 직관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79세 되던 한해 동안에만 마네의 ‘
풀밭
위의 점심식사’라는 작품을 1백40번이나 모사했다. 당시는 피카소가 대화가로서 명예와 부를 동시에 거머쥐고 부러울 것 없이 지내던 시기였다. 그런 대가가 노령에 왜 남의 작품을 1백40번이나 베껴 그렸을까. 그는 자신의 새 작품들을 위해 모네의 창작 ... ...
20년 동안 은폐됐던 UFO 목격담 공개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단순히 근처 해안의 등대에서 나온 불빛이라고 주장한다.하지만 다음날 괴물체가 있던
풀밭
에는 45cm 정도의 깊이에 2m 정도의 크기를 가진 함몰부분이 세 군데 발견됐고, 이 부분에서 측정된 베타선과 감마선의 수치는 인근의 평균치보다 2배 가량 높게 나타났다. 또한 괴물체 출현 당시에는 공군 ... ...
식물에 빗댄 속담풀이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망가지고 폐허가 됐다는 의미로 쓰이는 것일까.쑥은 강한 생명력의 상징이다. 양지바른
풀밭
에서 잘 자라나지만, 건조하거나 추운 날씨에도 잘 적응한다. 이런 이유로 쑥은 빈 공터나 휴경지에서 쉽게 발견할 수 있다. 히로시마에 원자폭탄이 투하된 뒤에도 가장 먼저 돋아난 것이 바로 쑥이었다고 ... ...
3. 백두산에서 만나는 우리꽃 기행
과학동아
l
2001년 01호
벌레를 잡아먹는 식충식물이다. 이 식물 역시 우리나라에선 볼 수 없다. 벌목장의
풀밭
에 많은 끈끈이주걱도 식충식물이다. 잎이 계란모양으로 표면에 털이 있고 끈끈한 점액이 있어 작은 벌레가 붙으면 움직이지 못하는데, 털에서 분비되는 소화액이 벌레를 소화시키는 특이한 식물이다.나무가 ... ...
산불 그 후
과학동아
l
2000년 06호
복원시키자고 주장하고 있다. 다른 한편 초지(草地) 전문가들은 산불피해지를 먼저
풀밭
으로 만들어서 활용하자고 주장한다. 정부의 대책회의, 시민단체의 토론회, 그리고 언론매체를 통해서 제시된 산불피해지의 생태계 복구(복원) 방안의 장단점을 함께 살펴보고 다시 한번 최선의 방책을 ... ...
Ⅱ.
풀밭
에서 바늘 찾는 외계행성 탐색
과학동아
l
1999년 06호
우리는 우리가 살고 있는 태양계 바깥에 또다른 태양계가 있지 않을까 항상 궁금해 해왔다. 이 궁금증은 이해가 간다. 만약 또다른 태양계가 있다면 거기에 생물이 살고 있을 수 있고 나아가 거기에 지능을 가진 생명체가 살고 있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어떤 이들은 확실한 증거나 논거 없이 우리 인 ... ...
이전
1
2
3
4
5
6
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