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치료"(으)로 총 3,448건 검색되었습니다.
- [이달의 과학사] 1667년 6월 15일, 인간에게 첫 수혈, 성공!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2호
- 소년의 정맥에 수혈했어요. 이 소년은 수혈 후에도 살아남았지요. 이후 몇 차례 더 수혈 치료가 시도되었는데, 일부 환자가 수혈 후 사망하자 영국과 프랑스는 1668년, 수혈을 법으로 금지했어요. 150여 년이 흐른 뒤 1818년, 영국에서 인간 대 인간의 수혈을 최초로 시도하면서 현대 수혈의 첫걸음을 ... ...
- [수학 상위 1% 비밀무기] 준비기간 단 1달, 과학고 합격 비결은?수학동아 l2023년 12호
- 해요. 저는 이번에 수리생물학에 관심이 있는 친구와 함께 *푸아송 분포를 이용해 항암 치료할 때 약물 투여량을 계산하는 연구를 했어요. 또 국어, 영어를 제외한 모든 과목에서 탐구 보고서를 작성하는 수행평가가 있어요. 이때 관심 있는 분야를 자유롭게 융합해서 보고서를 쓸 수 있어요. 예를 ... ...
- 위로와 희망이 공존하는 실패 나눔의 장수학동아 l2023년 12호
- 상황이 심각했습니다. 다행히 8시간에 걸친 수술 후 진우 학생은 빠르게 회복했습니다. 치료를 마친 2020년 그는 박사 지도교수님을 찾아가 중단했던 연구를 다시 하고 싶다고 말했고, 교수님도 흔쾌히 이를 수락하면서 올해 3월 췌장암 연구로 박사 학위 논문을 발표했습니다. 문 학생은 “제 ... ...
- [과학사 극장] 지석영이 조선에 우두법을 처음 소개했다과학동아 l2023년 12호
- 일본 총독부에 의해 강조된) ‘근대 서양의 문명적 방법’인 우두법이 사실은 어떠한 치료도 제공하지 못하는 상황 속에서 (역시 총독부가 강조한) ‘구닥다리 조선의 비과학적 방법’인 민간 요법이 사람들을 구제했던 것이다. 나아가 일본 총독부의 폭력적인 강제 집행도 사람들의 반감을 키웠다. ... ...
- [DGIST@융복합 파트너] 몸속 의료용 로봇이 외과 수술을 대신하는 그날까지과학동아 l2023년 12호
- 운반함으로써 줄기세포가 잘 정착하도록 하는 기술이다. 이 밖에도 MBR Lab은 현재 다양한 치료세포와 약물을 소화기관 내에서 운반하고 전달하는 기술을 개발 중이다. 박 교수는 앞으로도 의료 로봇 기술 개발과 기술이전 및 상용화에 힘쓸 것이라고 밝혔다. 의료 로봇 기술이 상용화되려면 기술을 ... ...
- 불임 모기로 퇴치?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1호
- 같이 나타나는데, 치료가 늦어지면 목숨을 잃을 수 있는 확률이 20%에 달합니다. 특별한 치료제나 백신이 없어 더 위험하지요. 세계보건기구(WHO)에 따르면 전 세계에서 매년 1억~4억 명의 사람들이 뎅기열에 걸립니다. 세계모기프로그램(WMP)은 뎅기열 환자를 줄이기 위해 2024년부터 10년간 브라질에 ... ...
- [노벨상 2023] 생리의학상 - 대기만성의 mRNA백신과 꼭 닮은 과학자의 인생과학동아 l2023년 11호
- 만들어진 단백질에 대한 특이적인 면역반응을 유도하거나, 발현된 단백질 자체를 유전자 치료 교정용 단백질이나 항체로 사용하는 경우다. 선천면역반응의 핵심은 외부에서 들어온 RNA를 인식하는 인체의 패턴인식수용체(PRR), TLR(toll-like receptor)이다. 외부 RNA에 의해 활성화된 TLR은 선천면역반응을 ... ...
- [노벨상 2023] 30년 뒤 노벨상 수상자를 우리는 알아볼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23년 11호
- 연구까지 케일린 교수의 연구는 질문에서 질문으로 이어졌다. “그는 30여 년간 암 표적 치료와 관련된 연구를 했습니다. 사람들은 대부분 30년이라는 세월을 보고 수상자가 그 동안 한 가지 질문을 푸는 데 집중했으리라 생각하죠. 하지만 수상자들은 커리어를 시작했을 때부터 노벨상을 받기까지 ... ...
- [최신 이슈] 사회 곳곳의 언어장벽, 과학 연구에도?과학동아 l2023년 11호
- 수 있는 기회는 희귀한 질병을 앓는 환자들에겐 매우 소중하다. 가론 교수는 10년 전 폐암 치료제 임상시험에 이상적인 환자를 발견하고 그에게 임상시험에 참여할 것을 권유했다. 하지만 환자는 스페인어만 구사할 수 있었고, 온통 영어로 된 임상시험 관련 문서를 이해할 수 없었다. 당시 가론 ... ...
- [과학사 극장] 파스퇴르는 생명 윤리를 위반 했을까?과학동아 l2023년 11호
- 문제는 물론, 광견병 백신 자체에 관해서도 회의적인 시선이 존재했다. 처음 광견병 치료를 받은 메스테르와 쥐필의 경우, 이들을 물은 개들이 실제로 광견병에 걸렸던 것인지에 대한 증거가 분명치 않았다. 1886년에는 광견병이 의심되는 개에게 물린 쥘 루예라는 열 살 소년이 백신을 접종받은 후 ... ...
이전12345678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