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척도"(으)로 총 385건 검색되었습니다.
- [시사기획] 남북 과학기술 협력 분야과학동아 l2018년 05호
- 1000년 전인 946년, 백두산이 분화했다. 화산폭발 지수 7(화산 분출물의 양을 기준으로 1~8의 척도로 나눔) 규모의 폭발로 남한 전역을 1m 두께로 뒤덮을 수 있는 화산재가 쏟아져 나왔다. 2002~2005년 백두산에서는 약 3000회의 지진이 발생하고, 천지 일대가 수십cm나 부풀어 올랐다. 전문가들이 백두산을 ... ...
- Part 1. 진화하는 사춘기 이론과학동아 l2018년 04호
- 소아과 의사인 제임스 태너가 사춘기의 신체 변화를 살필 수 있는 5단계 지표인 ‘태너 척도’를 발표했다. 태너는 신체 변화를 중심으로 사춘기를 정했다. 여아의 경우 11~15세, 남아의 경우 12~15세를 사춘기로 정의했다. 15세는 2차 성징이 완성돼 신체적으로 성인과 유사해지는 시점이다. 하지만 15세 ... ...
- [인터뷰] 경기북과학고등학교 입학부장 박창서과학동아 l2018년 04호
- 가리는 것이 목적이다. 서류평가와 면담은 교과, 인성 등 몇 가지 영역으로 나눠 5단계 척도로 평가하고 있다. 박 입학부장은 “진위 여부를 가리기 위한 면담인 만큼 학교생활기록부나 교사 추천서, 자기소개서에 기재된 내용에 대해 주로 묻는다”며 “지원자의 내신 성적은 대부분 유사하기 ... ...
- Part 2. 폭풍성장 사춘기의 몸과학동아 l2018년 04호
- 성장통도 따른다. 사춘기 남아의 절반가량은 일시적으로 여성형 유방을 보인다. 태너 척도의 2~3단계에서 여성형 유방이 나타날 수 있으며, 14세 전후에 흔하다. 이는 여성흐로몬에 대한 남성호르몬의 비율이 감소해 호르몬 균형이 깨지면서 나타나는 현상으로 수개월~2년 정도 지속된다. 혈중 호르몬 ... ...
- [Culture] 매, 매, 매운맛을 주세요과학동아 l2018년 04호
- 사우스캐롤라이나대와 퍼커버트 페퍼 컴퍼니가 개발한 ‘캐롤라이나 리퍼’는 스코빌 척도가 156만~220만SHU로, 시뻘건 색깔처럼 불타오르는 듯한 맛을 낸다. 지난해에는 약 318만SHU나 되는 신품종 ‘페퍼X’도 개발됐다. 이 고추는 피망처럼 생긴데다, 심지어 초록색을 띠고 있어 매우 순하게 ... ...
- [이투스교육] 지각과 생명체를 구성하는 물질과학동아 l2018년 03호
- 시대의 시작, 신소재 인간이 어떤 물질을 다루는지는 그 시대의 생활수준을 알려주는 척도다. 다루는 물질로 인류의 역사를 나눠보면 석기시대에서 청동기시대를 지나 철기시대를 넘어 현재는 플라스틱시대로 나눌 수 있다. 신소재도 비슷한 개념으로 생각할 수 있다. 석기시대에 등장한 청동기, ... ...
- [이승재의 매스일레븐3] 수학적 최적화수학동아 l2018년 03호
- 축구의 매력에 빠져들게 됩니다. 그렇기에 경기장의 최대 수용 인원은 그 팀의 인기의 척도이자 그 자체로 경기장의 수준을 평가하는 기준이 됩니다. 세계 최고의 축구클럽 중 하나인 FC 바르셀로나는 명성에 걸맞게 유럽 최대 규모의 홈구장을 가지고 있습니다. 캄 노우는 9만 9354명이 함께 경기를 ... ...
- [서울공대카페] 페로브스카이트 디스플레이 세계 첫 도전과학동아 l2018년 03호
- 발표를 들은 것이 계기였다. 색 순도는 발현되는 색이 원색과 얼마나 가까운지 나타내는 척도로, 색 순도가 높을수록 천연색에 가까운 이미지를 구현할 수 있다. 이 교수는 “이렇게 색 순도가 높은 물질을 LED에 활용하지 않고 있다니 너무 아까운 생각이 들어 연구를 시작했다”고 말했다. 일단 ... ...
- [가즈아! 평창] 2018 동계올림픽수학동아 l2018년 02호
- 효율적으로 날고 있다는 뜻이 돼. 따라서 양항비는 날아가는 물체의 성능을 판단하는 척도지. 시뮬레이션 결과 선수의 양항비는 골반 각도와 정확하게 비례했어. 그러나 골반 각도가 커질수록 비행은 불안정해져. 그러나 선수들은 불안정한 비행을 감수하면서 골반 각도를 크게 해야 먼 거리를 ... ...
- 다양한 관점에서 ‘행복’에 접근하기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상대적이다. 한때 전 세계적으로 물질적으로 풍요롭게 사는 것이 가장 중요한 척도로 여겨지기도 했기에, 행복지수에서 국내총생산(GDP)이 중요한 측정기준으로 활용됐다. 그러나 기본 욕구가 충족된 국가들에서는 소득이 지속적으로 증가해도 개인의 행복 체감도가 정체되는 현상인 ‘이스털린의 ... ...
이전12345678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