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처음"(으)로 총 10,974건 검색되었습니다.
- “공학도로서 연구자 평가제도 다각화에 기여하고파”_박충권과학동아 l2024년 04호
- 교수님의 배려로 연구실 인턴을 경험하고 대학원 입학까지 할 수 있었습니다. 대학원에 처음 갔을 땐 완전히 부서지는 느낌이었어요. 북한에서 손꼽히는 대학을 나왔으니 나름 자부심이 컸는데, 국방대는 무기 쪽에 특화돼 있어 아직까지 배우지 못한 학과 기초과학 과목이 너무 많았습니다. 다시 ... ...
- [인터뷰] 전 국민의 화학 선생님, 여인형 교수 “이 세상에 화학물질이 아닌 것이 있을까요?”과학동아 l2024년 04호
- 같은 길을 걸어온 부인에게 자문을 구하기도 한다”고 ‘영업 비밀’을 털어놨다. 그가 처음부터 화학 전도사에 뜻이 있었던 건 아니다. 여 교수는 미국 아이오와주립대에서 화학 박사를 취득한 뒤 한국에너지연구소(현재의 한국원자력연구원)에서 연구원으로 일하다 동국대 화학과로 옮겨 31년을 ... ...
- [SF소설] 코리아 닉테이션과학동아 l2024년 04호
- 선충과 관련된 수많은 논문을 살펴 보았지만 그렇게 푸르스름한 빛을 내는 경우는 처음이었다. 무엇 때문일까? 내가 먹이로 주었던 대장균에 이상이 있는 걸까? 아니면 상자에 우연히 들어간 지우개 가루 때문일까? 여러 물음이 떠올랐으나 어디까지나 표본을 확보해야 알 수 있는 것들이었다. ... ...
- [만화뉴스] 세상에서 가장 못생긴 잔디밭 선발 대회?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4호
- 역력했죠. 이 대회는 고틀란드 섬에 가뭄이 지속되자 물을 낭비하지 않기 위해 2022년 처음 시작됐어요. 잔디밭을 꾸미는 데 쓰이는 많은 양의 물을 아끼자는 취지예요. 이후 미국의 영화배우이자 환경운동가인 쉐일린 우들리가 대회에 참가하며, 전 세계에서 참가가 가능한 대회가 됐어요. 환경을 ... ...
- (광고)소니 더 헤지혹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4호
- 소닉의 강력한 라이벌 중 한 명이며, 대립하는 상황도 많은 인기 캐릭터랍니다. 섀도우는 처음에 세계를 멸망시키려 소닉과 대적하지만, 그 후 함께 싸우며 세계를 구한 후로는 서로의 실력을 인정하면서도 친해지지는 않는 독특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어요. 고슴도치는 독립적인 성향이 강합니다. ... ...
- [과학뉴스] 소수점 사용 알려진 것보다 150년 빨랐다과학동아 l2024년 04호
- 트리니티웨스턴대 자연 및 응용과학부 교수는 15세기 중반인 1440년대 유럽에서 소수점이 처음 쓰였다는 연구 결과를 2월 17일, 국제학술지 ‘히스토리아 매스메티카’에 발표했다. doi: 10.1016/j.hm.2024.01.001 이는 그동안 수학계에 알려졌던 것보다 150년가량 앞선 시기다. 1보다 작은 수를 나타내기 위한 ... ...
- [화보] 바다생물을 찾아서 바다로 다이브!과학동아 l2024년 04호
- 접할 수 있는 행운입니다. Q. 다이빙을 하면서 바다생물을 찍게 된 계기가 있나요?처음엔 다이빙을 하며 만나는 바다생물을 기록하기 위해 작은 자동카메라로 사진을 찍어서 바다생물 관련 글을 연재했습니다. 의외로 너무나 많은 사람이 기본적인 바다생물의 종류도 모른다는 사실에 놀랐습니다. ... ...
- 전염병 방역에 수학이 필요한 이유수학동아 l2024년 04호
- 연구에 수학 모형 도입 지금까지 밝혀진 바로는 전염병 확산을 계산하는 수학 모형을 처음 만든 사람은 스위스 수학자 다니엘 베르누이다. 그가 살던 18세기 유럽에서는 매년 *천연두로 3,000~15,000명이 사망했다. 1766년 베르누이는 사람들이 천연두 때문에 얼마나 죽었는지 수학적으로 분석한 결과를 ... ...
- [뉴럴링크] 마비 환자가 다시 걷고 말하다... BCI 기술의 현재과학동아 l2024년 04호
- 28살 때 자전거를 타다 교통사고를 당한 이후로 처음 내딛는 걸음이다. “10여 년 만에 처음으로 일어나 친구들과 맥주를 마시러 갔습니다. 이 변화가 제게는 엄청난 기쁨이자 기적입니다.” 오스캄이 남긴 소회다. 2023년 5월, 그레고아르 쿠르틴 스위스 로잔공대 생명과학과 교수팀은 국제학술지 ... ...
- 상어의 무한재생 이빨 인간도 가능할까과학동아 l2024년 04호
- 컨베이어 벨트 같은 이빨 재생 및 재배치 능력은 1845년 영국의 고생물학자 리처드 오웬이 처음 보고했습니다. 상어 이빨이 쉽게 빠지는 이유는 잇몸만으로 이빨을 지지하기 때문입니다. 어떨 땐 먹잇감을 물기만 해도 ‘쑥’ 빠지곤 합니다. 반면 인간의 치아는 턱뼈에 단단히 박혀 있죠.인간이 수십 ... ...
이전12345678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