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통합
전집
대전
총괄
금성옥
집성
종합
d라이브러리
"
집대성
"(으)로 총 103건 검색되었습니다.
겨울 별미로 거듭난 꽁치
과학동아
l
2009년 02호
청어를 밀어내게 됐다.그러나 1918년경 최창선이 당시 민간에 구전되던 이야기를
집대성
한 ‘소천소지’(笑天笑地)라는 책에서 이같은 해석을 뒤집을 만한 단서가 발견된다.“과것길에 오른 한 선비가 해안가를 걸어가고 있었다. 민가는 보이지 않고 배는 고파왔다. 언덕 위에 서 있는 나무를 봤더니 ... ...
X선 영상에 예술 담는 의사
과학동아
l
2008년 07호
인물, 그리고 그 안에 감춰진 역사를 찾는 매력에 푹 빠진 그는 그때부터 ‘한국화폐를
집대성
하겠다’는 목표를 세우고 닥치는 대로 화폐를 사 모으기 시작했다.하지만 중학생에게 화폐수집은 돈이 많이 드는 취미였다. 그는 뛰어난 손재주를 이용해 돈을 벌기로 결심했고, 그래서 시작한 게 청계천 ... ...
수성을 스쳐 지나간 메신저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의서(醫書) 당시의 동양의학백과사전이라 할 만한 이 의서는 조선과 중국의 의서 153종을
집대성
하여 모든 병증들을 병문으로 나누고 각 병문에 대한 고금의 약방(藥方)들을 원문 그대로 취사선택해 게재했다 담즙산의 하나 담즙산과 같은 모핵구조(母核構造)를 가졌고 곁사슬은 스테롤과 같은 ... ...
물고기자리 춘분점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계산했고 이를 바탕으로 세차운동의 주기도 처음으로 계산했다.고대천문학을
집대성
했던 그리스의 천문학자 프톨레마이오스는 히파르쿠스의 기록을 토대로 ‘테트라비블로스’라는 점성술 책을 남겼다. 그는 여기에 황소자리에서 시작해 양자리와 물고기자리로 움직이는 춘분점의 위치를 상세히 ... ...
떠다니는 탄소를 거래한다?
과학동아
l
2007년 06호
의서(醫書) 당시의 동양의학백과사전이라 할 만한 이 의서는 조선과 중국의 의서 153종을
집대성
하여 모든 병증들을 병문으로 나누고 각 병문에 대한 고금의 약방(藥方)들을 원문 그대로 취사선택해 게재했다 담즙산의 하나 담즙산과 같은 모핵구조(母核構造)를 가졌고 곁사슬은 스테롤과 같은 ... ...
PART2 기후 백년지대계(百年之大計)
과학동아
l
2007년 06호
셈이다.IPCC의 4차 보고서를 위해 6년간 130개국 2500명의 과학자가 기후에 관한 연구결과를
집대성
했다. 전세계 전문가들의 역량이 집중된 것은 물론 모든 과정을 객관적이고 공개적으로 진행했다는 점에서 이 보고서의 신뢰도는 매우 높다.기후예측 시나리오 기상청 홈페이지에 수십년 뒤의 한반도 ... ...
세종 때 도입된 프톨레마이오스 천문학
과학동아
l
2007년 02호
천문학자 히파르코스가 축적해 놓은 관측데이터와 수학적 이론을 종합해 ‘수학
집대성
’(Syntaxis)이라는 책을 지었다.여기에는 천동설이라 부르는 지구 중심의 우주구조와, 이에 기초한 천체운동의 원리와 계산법이 총망라돼 있다. 이 책은 9세기 초 아랍어로 번역되면서 ‘알마게스트’(Almagest, ... ...
전기 자동차의 새 흐름
과학동아
l
2006년 09호
의서(醫書) 당시의 동양의학백과사전이라 할 만한 이 의서는 조선과 중국의 의서 153종을
집대성
하여 모든 병증들을 병문으로 나누고 각 병문에 대한 고금의 약방(藥方)들을 원문 그대로 취사선택해 게재했다 담즙산의 하나 담즙산과 같은 모핵구조(母核構造)를 가졌고 곁사슬은 스테롤과 같은 ... ...
움직이는 '붙박이별'
과학동아
l
2006년 06호
관측에 참가해 천체사진의 아름다움을 보여줬다. 1919년에는 그동안 찍은 은하수 사진을
집대성
해 182개의 암흑성운 목록을 작성했으며 평생 동안 16개의 혜성을 발견했다.1916년 여키즈천문대의 바너드는 새로운 별을 발견했다고 발표했다. 자기 이름이 붙은 별, ‘바너드 별’(Barnard's Star)을 발견한 ... ...
기술이 과학의 진보를 이끌었다
과학동아
l
2006년 03호
본 세계사 강의’는 선사시대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역사 속의 과학기술에 대한 내용을
집대성
한 책이다. 고대 문명기를 거쳐 그리스에서 과학이 지식의 한 분야로 자리 잡은 뒤 비잔틴, 페르시아, 중국, 인도 등 여러 제국에서 독자적 과학연구의 전통이 발전한 과정을 조명한다.11세기까지만 해도 ... ...
이전
1
2
3
4
5
6
7
8
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