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질병"(으)로 총 2,388건 검색되었습니다.
- [기획] 더워지고 밝아지는 도시, 하루살이 부른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3호
- 하루살이를 사람 사는 곳까지 불러들였을까요? (* 동양하루살이의 집단발생과 방제 – 질병관리본부) 하루살이는 사실 피해자?! 대량발생은 하루살이의 한살이 중 산란기인 5~6월 사이에 일어나는 자연스러운 현상입니다. 그런데 최근 몇 년 사이 사람들의 생활권이 강변으로 확장되며 대량발생을 ... ...
- [이달의 과학사] 1667년 6월 15일, 인간에게 첫 수혈, 성공!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2호
- 피가 부족한 사람에게 건강한 다른 사람의 피를 넣어 보충해 주는 치료예요. 사고나 질병으로 환자가 피를 너무 많이 흘렸을 때 모자란 피의 양을 채울 수 있습니다. 피는 우리 몸 안을 순환하며 산소를 구석구석 보내주고, 세포에 영양소를 공급해요. 또 노폐물을 배출시키기 때문에 생명을 ... ...
- [에디터노트] 인간 유전체 프로젝트 이후 20년과학동아 l2023년 12호
- 지금까지 쌓은 연구로 이미 생물학과 의학의 지형도가 바뀌고 있다는 점입니다. 건강과 질병, 생활습관에 영향을 미치는 유전자를 식별하고, 이것이 환경과 어떻게 상호작용하는지를 알아내 병을 일찍 진단하고 예방하는 게 가능해졌습니다. 인간 유전체 연구는 사회도 변화시킬 겁니다. 집단이 ... ...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용어] 내비게이션, GPS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2호
- 막히면 병이 생깁니다. 뇌 쪽의 동맥에 문제가 생기면 뇌경색이나 뇌출혈 등의 질병이 나타나고, 심장 쪽의 동맥이 막히면 심근경색에 걸리지요. 동맥이 막히는 명확한 이유는 밝혀지지 않았어요. 다만 고혈압, 또는 당뇨병이 있거나 운동이 부족한 경우 동맥 관련 질환이 생길 위험이 높아지는 ... ...
- [최신 이슈] 70년간 독도경비대원 괴롭힌 흡혈곤충의 정체, 모기점등에모기과학동아 l2023년 12호
- 연구원은 “(하지만) 한국도 아열대화 되면 점등에모기가 축산질병들을 옮기고, 새로운 질병을 매개할 수 있다”며 “점등에모기는 지속적인 모니터링 과 경계가 필요한 분류군”이라고 강조했다 ... ...
- [과학사 극장] 지석영이 조선에 우두법을 처음 소개했다과학동아 l2023년 12호
- ’을 보급해 유명해졌다. 우두법은 천연두와 비슷하나 훨씬 독성이 적은 소의 전염성 질병인 ‘우두’에서 나온 면역 물질을 활용하는 예방법이다. 우두를 앓은 소의 고름이나 딱지에서 백신을 뽑아내 사람들에게 접종하면 훨씬 안전하게 천연두에 대한 면역을 가질 수 있었던 것이다. 지석영은 187 ... ...
- [특집] Part2. 유전체 연구의 미래, 생물학에서 정밀의학으로과학동아 l2023년 12호
- 전체 유전체 염기서열을 분석한다는 것이 차이점이다. 이렇게 하면 7000종 이상의 희귀 질병을 한 번에 검사해 비용과 시간을 극적으로 절약할 수 있다. 금 대표는 “글로벌 표준 변이 병원석 해석 기준인 ACMG 가이드라인의 28개 기준을 통해 돌연변이의 병원성을 분석한다”고 설명했다. 이전에 ... ...
- 킬 스위치로 박멸?!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1호
- 이집트숲모기는 뇌신경 장애를 유발하는 지카 바이러스를 퍼뜨리기도 해. 일부 과학자들은 이집트숲모기의 개체수를 줄이는 걸 넘어 아예 모기를 박멸하는 것 ... 제대로 작동한다면 말라리아를 매개하는 모기를 없애 지구상에서 말라리아라는 질병을 아예 없앨 수 있다”고 전했습니다 ... ...
- 박멸이 답일까?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1호
- 등을 매개하는 흰줄숲모기가 성충인 상태로 겨울을 날 수 있어 우리나라에도 토착화하는 질병이 늘어날 수 있다”고 경고했습니다. 박멸 vs 공생, 정답은? 인류는 온갖 과학적 방법을 동원해 모기 개체수를 줄이려 노력하고 있어요. 모기의 개체수를 줄이려는 과학자들은 모기가 사람에게 미치는 ... ...
- [노벨상 2023] 미약한 첫걸음,인류의 빛이 되다과학동아 l2023년 11호
- 퀀텀닷) 연구로 나노 기술의 혁신을 가져온 이들이 받았다. 양자점은 디스플레이부터 질병 진단까지 폭 넓게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노벨 물리학상은 작디작은 원자와 분자 내부에서 벌어지는 일을 ‘순간포착’할 새로운 도구를 개발한 과학자들이 수상했다. 순간 포착은 아토초(100경분의1초 ... ...
이전123456789 다음